問題一覧
1
신경계는 두가지 신경계로 구분된다
중추 말초
2
중추신경계는 이것과 이것으로 구성된다
뇌 척수
3
중추신경계는 신경계의 이것과 이것으로 말초신경계에서 들어오는 감각을 받고 반응한다
통합중추 명령중추
4
말초신경계는 뇌신경 몇쌍과 척수신경 몇쌍으로 이루어져있다
12쌍 31쌍
5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이것또는 이것 사이를 연결하는 신경이다
효과기 감수체
6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로부터 이것(근육이나 샘 등)로, 이것으로부터 중추신경계로 신경 흥분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효과기 감수체
7
말초신경계에는 이것과 이것으로 나뉜다
들쪽(감각)뉴런 날쪽(운동)뉴런
8
이것은 인체의 여러 부위에 위치한 감수체로부터 중추신경계로 흥분을 전달하는 신경섬유이다
들쪽 뉴런 (구심성)
9
머리(눈, 귀 등), 피부, 뼈대근육, 근막, 관절주위에 있는 수용기에서 중추신경계로 전달하는 신경을 무엇이라 할까?
몸들쪽신경섬유(체성구심성 신경섬유)
10
내장의 감수체에 연결된 신경을 무엇이라 할까?
내장들쪽신경섬유(내장구심성 신경섬유)
11
중추신경계로부터 흥분을 효과기인 근육과 샘으로 전달하여 운동 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날쪽 뉴런
12
몸신경계의 운동기능이 의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무엇이라 할까?
수의적신경계
13
중추신경계로부터 골격근으로 흥분충동을 보내어 골격근을 수축시키는 세포는?
몸운동 신경세포
14
평활근, 심근, 샘의 활동과 같이 불수의적인 활동을 조절하는 것은?
자율신경계
15
자율신경계는 뭐라고 부를까?
불수의적신경계
16
자율신경계 불수의적신경계는 이것들로 나뉜다 그리고 이작용을 한다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 길항작용
17
신경계조직의 기본구성 단위인 신경세포를 뭐라고 할까?
뉴런
18
뉴런은 신경세포체와 여러개의 이것과 한개의 길게 뻗어나온 이것으로 되어있다 (답2개)
작은가지돌기 축삭돌기
19
인간의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이자 정보전달이라는 특수 기능을 갖게 된것은?
뉴런
20
신경계의 전깃줄에 해당하고 신경섬유가 모여서 다발을 이룬것은?
축삭(Axon)
21
축삭에 이것의 유무에 따라 이것들로 나뉜다 (답3개)
말이집 말이집신경 민말이집신경
22
a는 축삭이 중앙에 위치하고 말이집이 그 주위를 둘러 싸고있는데 이것을 b라고 한다
말이집신경섬유 슈반세포
23
신경세포가 성장 발생할 무렵 이것은 원형질이 밀려나간다
슈반세포
24
여러 층의 슈반세포 a인 세포막만 남게 되는데 이것이 a가 된다
말이집
25
슈반세포의 말이집에 20nm 간격으로 잘록 들어간 마디 부분을 뭐라고 할까?
신경섬유마디(랑비에결절)
26
신경섬유마디에의 활동전위의 a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말이집이 없는 민말이집 신경보다 말이집신경이 전도속도가 b다
도약전도 빠르다
27
세포체에서 뻗어나온 축삭 이외의 돌기를 뭐라고 할까?
가지돌기
28
가지돌기와 세포체는 다르 뉴런에서 뻗어 나온 축삭종말들과 함께 형성하는 것은?
시냅스
29
세포체 표면도 다른 뉴런이 a를 통하여 정보를 받아들인다
시냅스 틈새
30
정보는 세포체에서부터 단 하나인 축삭을 경유하여 a(다른 뉴런, 근육, 내분비세포)로 전달된다
표적세포
31
a의 경우 뉴런의 가지돌기에 수많은 작은 가시가 돋아 있다
대뇌겉질
32
대뇌겉질 뉴런은 가지돌기에 수많은 작은 가시가 돋아있는데 이 가시는 다른 뉴런의 a와 결합하여 b를 이룬다
축삭종말 시냅스
33
대뇌겉질 뉴런의 가시는 가지돌기에 속하기 때문에 a 부위이다
시냅스 후
34
a 축삭종말은 대뇌겉질 뉴런의 작은 가시에 연접하고 있다
시냅스 전
35
축삭종말과 다른 세포들을 기능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곳은?
시냅스
36
시냅스는 a와 b로 나뉜다
화학적시냅스 전기적시냅스
37
시냅스 전 축삭 종말단추에 수많은 소포가 모여있는 특징을 가진 것은?
화학적 시냅스
38
시냅스 전 종말 막과 시냅스 후 세포막 사이 공간은?
시냅스 틈새
39
시냅스 틈새 간격은?
20nm
40
시냅스 활성화 되어 정보 전달할 때 소포들은 시냅스 전 막에서 용해되어 소포속에 있던 전달물질이 a로 방출된다
시냅스 틈새
41
가시소포와 축삭종말로 이루어진 시냅스로서 시냅스 전 뉴런인 타원형의 시냅스이면서 흥분성을 나타내는 것은?
가시시냅스
42
시냅스 전달물질로 A 뉴런 세포막의 Na+에대한 투과성을 높여 b 가 발생되기 쉽게 한다
시냅스 후 활동전위
43
콜린의 아세트산 에스테르로 몸운동신경과 부교감신경섬유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되는 것은?
아세틸콜린
44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 아미노산은?
GABA
45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L-도파민 등을 포함하는 분자의 그룹으로 A의 효과는 교감신경의 활성에 의해 생긴 효과와 유사하다
카텔콜아민
46
편평한 소포가 있는 시냅스 전 뉴런에서 방출되는 시냅스 전 뉴런의 억제성 시냅스 전달물질은?
GABA
47
신경세포가 신경신호를 전도하지 않는 A상태에 있을때에는 K+은 세포막을 비교적 쉽게 투과한다
안정
48
A는 투과되기 매우 어려워 A의 투과성은 B의 약 1/100에 불과하다
NA+ K+
49
A는 세포 내외에 이미 설정된 30대 1의 높은 농도 기울기로 말미암아 세포 밖으로 확산되어 나오려고 한다. 전기적 양성을 띤 A이 확산되어 나오려는 힘은 곧 세포 속을 전기적 B로 만들게 되는 것이다
K+ 음성
50
세포 내 A는 B를 세포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안에 붙잡아 두는 힘이 되기도 한다
음전기 K+
51
세포내 A로 B을 세포 내 붙잡아 두는 힘과 농도 기울기로 인해 밖으로 확산되어 나가려는 힘이 어느시점에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음하전 K+
52
k+를 붙잡아두는 힘과 농도 기울기로 밖으로 확산되어 나가려는 힘이 어느 시점에 균형을 이루고 세포 안은 대략 -50~-90mV 전위를 나타내는데 이전위를 뭐라고 할까?
안정막전위
53
일련의 막전압의 변화과정을 뭐라고 할까?
활동전위
54
흥분된 조직에 자극을 주면 세포막의 Na+에 대한 투과도가 현저히 증가함으로써 막전압이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 A 상태와 B의 두 단계를 거친다
탈분극 재분극
55
뉴런에서 A는 세포체와 축삭의 둔덕(경계지점)에서 시작하여 축삭종말까지 이동한다
활동전위
56
축삭돌기의 막전위는 주로 농도 기울기에 의해 A가 밖으로 학산되어 나오려는 힘에 의한 것으로 안이 밖에 비해 B다
K+ 음성
57
활동전위는 막전위가 탈분극 되면 먼저 B의 투과성 높아져 세포안으로 들어가 세포안이 전기적 C가 되는 시기와 A 투과성이 높아져 이것이 세포 밖으로 나가게 되어 D로 회복되는 두 시기로 나뉜다
Na+ 양성 K+ 안정전위
58
축삭의 종말단추는 다른 신경세포의 세포체나 가지돌기에 접해있고 이 부분에 작은 틈이 있다 이 부분을 A라고 한다
시냅스 틈새
59
축삭종말을 A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냅스 연결
60
흥분이 종말단추에 도달하면 A나 B 등의 화학적 물질이 방출된고 시냅스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신경세포의 세포체나 가지돌기에 전위변화 일으키고 이것이 C다
아세틸콜린 노르아드네랄린 시냅스 후 전위
61
세포막전위가 영전위 쪽으로 a를 나타내는 것을 b 전위 라고 한다.
탈분극 시냅스 후
62
전위 변화 흥분성인 경우 A가 분비되어 세포막 전위가 0(zero)에서 멀어지는 이B상태로 되어 음성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c전위 라고 한다
아세틸콜린 탈분극 흥분성 시냅스 후
63
억제성 경우 주로 A의 작용에 의해 세포막 전위가 0(zero)에서 멀어지는 B상태로 되어 음성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c전위라고 한다
GABA 과분극상태 억제성 시냅스 후
64
한개 뉴런에서 A 전위와 B 전위는 서로 상반되어 흥분전도가 조절된다
흥분성 시냅스 후 억제성 시냅스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