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국한된 지역에서 일시에 많은 사람들에게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현상
불시유행
2
유행기간이 짧으면 발생률과 유병률은 비슷하다 ox
o
3
발생률은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쓰인다 ox
o
4
ㅡ
1
5
측정척도 순서로 알맞은 것은
명목 서열 구간 비율
6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이 드문 경우에도 가능한 연구는
코호트연구
7
기초감염재생산지수는 모든 인구가 감수성이 있다고 가정할 때 감염성이 있는 환자가 간접적으로 감염시키는 환자의 비율이다 ox
x
8
정신건강관리로 옳은 것은
자살, 치매, 중독, 지역사회 건강
9
같은 해에 일어난 50세 이상의 사망자수/ 일 년 간의 사망자 수 x100
비례사망지수
10
교차비(=대응위험도)로 요니과 질병의 관계를 검증하는 분석역학 방법은
환자군-대조군 연구
11
면역이 저하된 사람에게 생균 접종 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ox
o
12
병원체가 임상적으로 질병을 일으키는 능력은
병원력
13
상대위험비로 요인과 질병간의 연관성 검증하는 분석역학은
폭로군-비폭로군 연구
14
환자대조군 연구의 장점으로 옳은 건
한 질병과 관련 있는 여러 위험요인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다, 필요한 연구 대상 숫자가 적다
15
모기가 매개하는 감염병이 아닌 것은
발진열
16
유병률이 높으면 사망률이 증가한다 ox
x
17
질병이 수십 년 주기로 발생하는 것으로 00단위로 질병의 발생과 사망률을 추정하나?
시간적 변수 , 10년
18
환자군-대조군연구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건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9
역학 연구 설계 연구순서로 맞는 건
기술 분석 실험으로 순서 ㅇㅇ
20
시간적 변수를 대표하는 대표적 질환은
성홍열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21
접촉자 수 중에서 감염자수와 현성감염자수의 비율
감염력
22
생균/약화된 균으로 만들어진 예방접종은
경구소아마비백신, 풍진, 결핵, 홍역
23
성별 혈액형 인종의 척도수준은?
명목척도
24
ㅡ
1
25
동일 연도의 특정질환 사망자 수/특정 연도의 사망자 수 x100
비례사망률
26
질병 분포가 1년 주기로 많이 발생하는 달이나 계절이 있을 때
계절적변화
27
4
4번
28
연구 시작 시점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요인노출과 질병발생과의 관련성 추적하는 연구
후향적 코호트 연구
29
역사조사를 하기 위해 간호사가 젤 먼저 해야하는 일은
환자진단, 유행확인, 발생일시 확인, 유행의 지리적 분포 확인, 환자의 인적 특성 확인, 유행의 가설 설정 및 가설의 검증, 전파 예방 대책 수립
30
지정감염병은 제 1급 감염병부터 제 4급 감염병과 조사 및 감시활동이 필요하며 대통령이 지정하는 감염병이다 ox
x
31
일차 발병한 감수성 있는 가구원 중 최장 잠복기간 내 발병하는 환자 비율
2차 발병률
32
비감염성예방으로 옳은 것은
심뇌혈관질환, 손상, 암, 비만
33
장티푸스, 콜레라, 주사용 소아마비는 생균/약화된 균으로 만들어진 능동면역이다 ox
x
34
옥도의 측정수준 척도는
구간 척도
35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건강생활실천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심뇌혈관질환, 중독
36
기도분비물로 인한 감염이 아닌 것은
콜레라
37
일정한 기간을 두고 반복하여 질환이 발생될 때 , 집단 면역력이 저하될 때 발생되는 것 그리고 대표적 질환
순환 변화, 홍역 백일해 유행성독감
38
혈액감염으로 발생되는 질환이 아닌 것은
트라코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