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한계게이지
2
스트레이트 에지는 평면도 측정에 사용한다
3
7.87
4
카운터싱킹(countersinking)
5
12.45
6
Cu, Zn
7
스프링(spring)
8
M10 나사의 유효 지름
9
7.80mm
10
서피스게이지(surface gauge)
11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
12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13
공기는 압축되며, 오일도 압축된다.
14
탭은 한쪽 방향으로만 계속 돌린다.
15
숙련공이 있어야 한다
16
측정시간
17
공구와 칩의 친화력 촉진작용
18
절삭 저항이 약간 증가한다
19
작은구멍을 뚫고 큰 구멍을 다시 뚫는다.
20
42.219
21
직접 측정이 편리하다.
22
조합할 때 홀더가 필요하다.
23
주척의 1눈금이 1mm, 부척의 눈금이 19mm를 20등분 한 것.
24
절삭공구는 길게 설치하고 절삭성이 나쁘면 곧 바꾼다
25
한계 게이지
26
바늘이 있는 눈금판
27
V블록
28
큰 드릴로 뚫으면 치즐 에지부의 절삭 성능이 나빠 동력소모가 크기 때문이다.
29
다이스
30
작은 공작물은 한손으로 잡고 사용한다.
31
쇠톱은 당길 때 재료가 잘리므로, 톱날의 방향은 잘리는 방향으로 고정한다.
32
비교 측정기
33
스크레이퍼
34
3번 탭
35
광선정반
36
모든 공구는 그 용도이외에 다른 분야에도 사용해야 한다.
37
여름에는 땀이 많이 나므로 수건을 목에 걸고 작업 한다.
38
랙과 피니온
39
드릴 작업보다 저속에서 작업하고 이송을 크게 한다.
40
작은 일감은 손으로 붙잡고 작업한다.
41
힘이 부족할때에는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넣어 작업할 것
42
나사깎기작업
43
텔레스코핑 게이지(Telescoping gauge)
44
스스로 정지하도록 한다.
45
강인한 재료를 절삭할 때에는 절삭유를 사용하지 않는다.
46
나무판
47
공구는 기계나 재료 위에 놓고 사용한다.
48
사용전의 점검, 손질이 충분했다.
49
암나사와 맞는 숫나사의 바깥지름
50
-자 드라이버의 날끝은 둥글게 된 것을 사용한다.
51
날끝각은 굳은 재료일수록 적게하고 무른 재료 일수록 크게 한다.
52
모든 시설 및 장비를 정기적으로 안전 점검한다.
53
처음부터 큰 힘을 주어 작업한다.
54
블록게이지
55
각공구는 원래의 사용목적 외에 쓰지 않는다.
56
소화기 근처로 물건을 쌓아 놓는다.
57
측정 범위가 넓다.
58
바깥으로 열리는 문을 열 때에는 매우 빠르게 연다.
59
다이얼게이지(dial gauge)
60
장갑을 끼고 작업한다.
61
구멍 기준식 헐거운 끼워맞춤
62
직진법
63
탄소공구강
64
나사의 피치
65
심봉(mandrel)
66
절삭깊이/칩의 두께
67
선반
68
왕복대
69
테이블의 최대이동거리
70
이동식 방진구
71
깎을수 있는 공작물의 최대지름
72
유동형 칩
73
절삭속도의 증가에 따라 표면 거칠기는 처음 증가하였다가 차츰 감소된다
74
V-Block 지지구
75
소비동력이 적어지므로
76
절삭속도
77
절삭저항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을 때
78
칩(chip)의 일부가 날끝에 붙는 것
79
인화점이 낮을 것
80
절삭 중 측정기로 측정한다.
81
그냥 교환한다.
82
회전 기계 너머로 공구를 놓고 사용한다.
83
공작물을 회전시키며 홈을 가공할 수 있다.
84
공작물의 길이가 짧을 때
85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다.
86
취성이 높은 재료를 낮은 절삭속도로 가공할 때 발생한다.
87
하향절삭에 비해 커터의 수명이 짧고 동력 소비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