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420. 데이터 전송매체 중 동축케이블의 전송대여폭은?
10~12 [MHz]
2
382.OSI 7계층 모델 중 사용자가 통신하거나 참조할 수 있도록 정보의 표현형식에 관련된 일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계층은?
표현계층
3
358.OSI 7계층 중 송신측과 수신측의 표현계층에서 사용할 데이터의 교환을 위한 세션과 대화방식을 결정하는 계층은?
세션계층
4
381.OSI 7계층 모델 중 사용자와 전송계층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활을 하면서 양 사용자간의 데이터 교환을 조직화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은?
세션계층
5
348.데이터통신에서 에러검출 방식의 종류 중 옳지 않은 것은?
자동반복요청방식
6
341.데이터통신에서 하나의 장치에 다수개의 장치가 각자의 전용회선, 성형네트워크의 형태인 접속방식은?
멀티포트
7
357.OSI 7계층 중 컴퓨터가 인식할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계층은?
표현계층
8
377.OSI 7계층 모델 중 송수신측간에 물리적 링크를 설정, 유지 및 해제 하기 위한 물리적,전기적,기능적,절차적인 특성을 제공하는 계층은?
물리계층
9
328. 정보통신의 처리방식중 데이터가 입력됨과 동시에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고 원하는 시내에 처리결과를 받아 볼수 있는 빙식는?
실시간 처리
10
336.데이터통신에서 사용되는 유선매체 중 케이블 TV망의 가입자 선로에서 주로 사용되고 두개의 구리선으로 되어 있는 것은?
동축케이블
11
356.OSI 7계층 중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나 명령을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활을 하는 계층은?
응용계층
12
352.OSI 7계층 모델중 4계층?
전송계층
13
407.무선 LAN의 구성요소중 데이터의 전송과 버퍼링 기능을 제공하며, 대개 독립형 장치로서 이더넷 허브나 서버에 실장되어 사용하는 것은?
액세스 포인트
14
325.정보통신망의 전송매체에 의한 분류에서 대기 등과 같은 무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망은?
무선통신망
15
398.ISO 7계층 중 상위 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물리계층
16
329. 정보통신의 처리방식 중 일정한 시간 동안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은?
일괄 처리
17
340.데이터통신에서 하나의 회선에 여러 단말을 접속하는 방식으로 멀티포인트 방식 또는 멀티드롭방식은?
다중점
18
337.데이터통신에서 사용되는 유선매체 중 초당 10~100기가 비트의 대여폭을 가지고 감쇠율이 적으며 충격잡음이나 누화등의 잡음에 강한 것은?
광케이블
19
413.정보통신망의 특징 중 대용량의 정보저장 및 처리가 가능한 것은?
대용량성
20
364.전송계층 프로토콜 중 비연결형 데이터그램 전달서비스를 제공하며 메시지를 세그먼트로 나누지 않고 블록의 형태로 전송하는 프로토콜은?
UDP프로토콜
21
419. 데이터통신 전송매체 중 이중꼬임선의 전송대역폭은?
20[MHz]
22
374.LAN의 기본적인 망 구성형태 중 허브장치를 사용하여 호스트를 연결하며 각 노드는 UTP케이블을 사용하여 중앙의 허브에 점대점으로 연결되는 형태는?
스타형
23
372.LAN의 기본적인 망 구성형태 중 케이블 링에 사용되는 비용이 최소이고 각 노드의 고장이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신뢰성과 확장성이 좋은 형태는?
버스형
24
331.프로토콜의 구성요소 중 구문에서 약속된 데이터의 각 필드의 의미를 나타내며 그 의미에 따라 전송, 에러,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하게 되는 것은?
의미
25
322.정보통신망의 특성에서 옳지 않은 것은?
융통성
26
332.프로토콜의 구성요소 중 송신자와 수신자의 통신속도, 전송시간 및 순서 등을 나타내는 것은?
타이밍
27
327.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중 기능적 분류에서 통신회선의 종단에 위치하여 회선종단장치라고도 부르는 것은?
신호변환장치(DCE)
28
399.ISO 7계층 중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것은?
표현계층
29
396.프로토콜의 기능 중 다수의 통신 실체가 다중 연결시 각 통신 실체를 구분하는 고유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은?
주소설정
30
375.LAN의 기본적인 망 구성형태 중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는 두개 이상의 선로를 보유하면서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다른 네트워크 장비에 연결하는 형태는?
그물형
31
378.OSI 7계층 모델 중 노드와 노드사이의 접속링크를 제공하고 프레임의 경계표시 플래그와 동기문자 등을 이용한 송수 동기를 실시하는 계층은?
데이터링크계층
32
369.네트워크 통신장비 중 목적지의 주소 정보와 그곳으로 가는 경로 정보를 저장하여 통신망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역활을 하는 장비는?
라우터
33
387.에러검출 방식중 송신자에 의해 계산되어 패킷헤더에 실려 보내면 수신자는 검사합을 포함하고 있는 전체 패킷에 대한 계산을 반복 하는 방식은?
검사합방식
34
323.정보통신망은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되고 있다. 정보형태의 분류기준에 따른 통신망의 분류가 아닌것은?
공중통신망
35
360.OSI 7계층 중 전송 계층으로부터 받은 패킷 데이터에서 주소 정보를 발췌하여 그 정보를 근간으로 패킷 데이터가 목적지로 이용할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계층은?
네트워크계층
36
376.LAN의 하드웨어적 구성요소 중 옳지 않은 것은?
네트워크관리시스템
37
345.데이터 전송방향에 따른 전송방식 중 양쪽방향으로 2개의 시스템이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은?
전이중통신방식
38
394. 프로토콜의 기능 중 통신하는 송수신측의 두 실체 간 초기화 상태, 검사 전 상태, 종료상태 등과 같이 명확히 정의된 상태를 두고 통신의 개시와 종료 등을 유지하는 기능은?
동기화
39
371.LAN에 연결되는 장치를 노드라고 부르며 노드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전원케이블
40
417.정보통신망의 특징 중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것은?
경제성
41
395.프로토콜의 기능 중 하나의 통신로를 다수의 가입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능은?
다중화
42
334.데이터통신에서 전송매체을 선정할때 고려해야 할 사항중 옳지 않은 것은?
노드간 전송 최소 거리
43
344.데이터 전송방향에 따른 전송방식중 양방향 어느쪽으로도 데이터를 전송 할수 있으나 동시에 전송할수 없는 방식는?
반이중통신방식
44
366.네트워크 통신장비 중 물리계층 장비로서 파형의 재생, 파형의 증폭, 신호의 재 타이밍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는?
리피터
45
416.정보통신망의 특징 중 다치(multi-level)전송이나 광대역 전송이 가능한 것은?
광대역성
46
343.데이터전송방향에 따른 전송방식중 송신과 수신측이 고장되어 있고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가 전달되는 방식은?
단방향통신방식
47
410. 뉴미디어 응용서비스 중 원거리 통싱망이라 부르며 서로 관련있는 연구소간 다국적기업간 LAN을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은?
광대역통신망
48
386.에러검출 방식 중 전송되어지는 데이터의 전체 1의 개수를 홀수가 되게 패리티 비트를 만들어 전송하는 방식은?
홀수패리티검사방식
49
335.데이터통신에서 사용되는 유선매체 중 나선형의 절연된 두개의 구리선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중 꼬임선이라고 불리는 것은?
UTP
50
383.OSI 7계층 모델 중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램 등의 응용 프로세서가 네트워크 환경에 접근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은?
응용계층
51
404. 무선 LAN 전송방식 중 고속전송이 가능하고 전기적인 잡음이나 전파장애를 받지 않아 신회성이 높은 방식은?
적외선방식
52
379.OSI 7계층 모델 중 발신자로부터 들어온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무사히 전달하는 종단간 논리적 링크를 구성하며 이를 위한 경로제어 기능으로 스위칭과 라우팅이라는 기법이 사용되는 계층은?
네트워크계층
53
402.무선 LAN 의 전송방식중 산업, 과학 및 의료계의 용도를 위해 지정된 ISM대역의 주파수로 사용되는 방식은?
협대역 마이크로웨이브
54
406.무선 LAN의 구성요소중 무선매체에 적합한 MAC 인터페이스 및 물리계층 인터페이스를 갖는 장치는?
단말/노드
55
401. 무선 LAN의 전송방식 종류 중 옳지 않은 것은?
자외선방식
56
350.OSI 7계층 모델중 2계층?
데이터링크계층
57
353.OSI 7계층 모델중 5계층?
세션계층
58
373.LAN의 기본적인 망 구성형태 중 각각의 노드가 원 모양을 이루면서 인접한 노드간에만 점대점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는?
링형
59
339.데이터통신에서 두 장치가 일대일로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2개의 단말 또는 컴퓨터를 전용회선으로 항상 접속하여 두는 방식은?
점대점
60
361.OSI 7계층 중 서버, 워크스테이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매체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함께 결합하여 데이터링크 서비스와 물리 링크 서비스를 제공라는 계층은?
데이터링크계층
61
347.데이터 통신에서 디지털 전송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장거리 전송에 주로 사용
62
388. 에러검출 방식 중 강력하면서도 구현하기 쉽고 현재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할때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은?
순환중복검사
63
380.OSI 7계층 모델 중 세션을 맺고 있는 두 사용자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단간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은?
전송계층
64
349.OSI 7계층 모델중 1계층은?
물리계층
65
391.프로토콜의 기능 중 사용자 데이터에 제어정보를 첨가 또는 제거하는 기능은?
캡슐화와 캡슐해제
66
408.무선 LAN의 구성요소중 무선MAC 프로토콜과 물리계층 전송방식이 구현된 장치로서 단말(노드)에 접속하여 사용하는것은?
무선 LAN카드
67
363.전송계층 프로토콜 중 양 종단시스템 사이의 오류를 감지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달을 제공해 주는 프로토콜은?
TCP프로토콜
68
393.프로토콜의 기능중 송신측에서 보내진 순서대로 수신측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은?
순서제어
69
390.프로토콜의 기능 중 긴 메시지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보다 작은 길이의 데이터 블록으로 나누는 분할기능과 분할된 데이터 블록을 다시 원래의 메시지로 합성하는 재조립 기능은?
분할 및 재조립
70
384.인터넷 주소체계의 3단계 구분에 옳지 않은 것은?
일반주소
71
330.프로토콜의 구성요소 중 전송되어지는 데이터 형식, 부호화방식, 신호의 레벨 등을 의미하며 데이터의 구조화 순서가 어떻게 표현되어 지는지를 나타내는 것은?
구문
72
418.정보통신망의 특징 중 대형 컴퓨터 및 정보(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은?
공유성
73
368.네트워크 통신장비 중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AN들을 연결시켜주는 역활을 하는 장비는?
브리지
74
385.에러검출 방식 중 전송되어지는 데이터의 전체 1의 개수를 짝수가 되게 패리티 비트를 만들어 전송하는 방식은?
짝수패리티검사방식
75
365.응용계층 프로토콜 중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로컬 호스트와 원격 호스트간에 양방향으로 파일을 전달할수 있게 해주는 파일전달 프로토콜은?
FTP프로토콜
76
367.네트워크 통신장비 중 주로 이더넷에서 본래 몇개의 사용자 장비들을 묶어서 LAN의한 부분에 접속시키기 위한 장비는
허브
77
403.무선LAN의 전송방식 중 기본적으로 ISM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지만 전송하고 싶은 정보를 넒은 주파수대여폭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확산대역
78
326.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중 기능적 분류에서 이용자의 각 사무실에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역활을 담당하는 것은?
단말장치(DTE)
79
362.OSI 7계층 중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받은 프레임을 비트 단위의 신호로 바꾸어 NIC의 하드웨어적인 주소를 사용하여 물리적인 전송매체을 통해 전달하는 일을 수행하는 계층은?
물리계층
80
359.OSI 7계층 중 연결 지향서비스를 제공하며 TCP/IP 에 해당하는 계층은?
전송계층
81
409.무선 LAN의 구성요소중 무선전파를 송수신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안테나
82
351.OSI 7계층 모델중 3계층?
네트워크계층
83
414.정보통신망의 특징 중 오류제어 방식을 이용한 정보의 정확한 전송이 가능한 것은?
정확성
84
415.정보통신망의 특징 중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은?
신속성
85
346.데이터통신에서 아날로그 전송의 특징중 옳지 않은 것은?
리피터 사용
86
412.정보통신망의 특징 중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복잡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것은?
멀티미디어성
87
354.OSI 7계층 모델중 6계층?
표현계층
88
355.OSI 7계층 모델중 7계층?
응용계층
89
324.정보통신망의 전송매체에 의한 분류에서 유선통신망의 전송매체는?
케이블
90
321.정보를 전송하는 체계인 통신망의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통신비용
91
400.ISO 7계층 중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것은?
데이터링크계층
92
338.데이터통신에서 통신회선의 구성과 형태중 접속방식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단일포트
93
397.ISO계층 중 하위 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표현계층
94
342.데이터통신에서교환기를 통하여 연결된 여러 단말기에 대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접속방식은?
교환
95
405.무선 LAN의 구성요소 중 옳지 않은 것은?
NIC카드
96
389.에러복구 방식중 송신된 데이터의 에러 유무를 수신자에서 검사하여 송신자에게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송신자는 에러가 검출되었던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식은
자동반복요청
97
333.프로토콜의 기능중 옳지 않은 것은?
분리제어
98
411.정보통신망의 특징중 거리와 시간을 극복한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한 것은?
실시간성
99
370.근거리통신망이라고 하는 LAN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보안성
100
392.프로토콜의 기능 중 정보의 신뢰성을 위해 데이터 전송시 발생한 오류를 검색하고 복구하는 기능은?
오류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