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재건 국민 운동 본부를 중심으로 혼.분식 장려 운동이 전개되었다
박정희
2
김영삼과 김대중을 공동 의장으로 한 민주화 추진 협의회가 조직되었다
전두환
3
시위 도중 대학생 이한열이 희생되었다
6월민주항쟁
4
조선 노동 총동맹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시기)
일제강점기
5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6월 민주항쟁
6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냈다
6월 민주항쟁
7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6월 민주항쟁
8
유신 체제에 저항하여 부산, 마산 등지에서 시위가 일어났다
부.마 민주항쟁
9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이 실시되었다
김대중
10
양성평등의 실현을 위해 호주제가 폐지되었다
노무현
11
친일 반민족 행위 진상 규명 위원회가 출범했다
노무현
12
사회 통합을 위한 다문화 가족 지원법을 시행했다
이명박
13
공직자 윤리법을 개정하여 재산 등록을 의무화했다
김영삼
14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가 처음으로 출범했다
노무현
15
한.미 원조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승만
16
제분.제당.면방직의 삼백 산업이 성장했다
이승만
17
귀속 재산 처리를 위해 신한 공사가 설립되었다
미군정기
18
농촌 근대화를 표방한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었다
박정희
19
유상 매수,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법이 제정되었다
이승만
20
농민의 자력갱생을 내세운 농촌 진흥 운동을 실시했다(시기)
일제강점기
21
경부 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박정희
22
포항 제철소 1기 설비가 준공되었다
박정희
23
연간 수출액 100억 달러가 달성되었다
박정희
24
미국과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노무현
25
제 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박정희
26
제 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박정희
27
제2차 석유 파동으로 경제 불황이 심화되었다
박정희
28
원조 물자를 가공하는 삼백 산업이 발달했다
이승만
29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가 실시되었다
김영삼
30
전태일이 근로 기준법 준수를 외치며 분신했다
박정희
31
3저 호황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수출이 증가했다
전두환
32
8.3조치로 사채 동결 등의 특혜가 기업에게 제공되었다
박정희
33
세계 무역 기구의 출범으로 시장 개방이 가속화되었다
김영삼
34
서울 올림픽 대회가 개최되었다
노태우
35
지방 자치제가 전면 시행되었다
김영삼
36
노인 장기 요양 보험법이 제정되었다
노무현
37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이 창립되었다
김영삼
38
칠레와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김대중
39
경제 협력 개발 기구에 가입했다
김영삼
40
국제 통화 기금의 구제 금융을 받게 되었다
김영삼
41
최저 임금 결정을 위한 최저 임금 외원회를 설치했다
전두환
42
G20 서울 정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명박
43
경제 정의 실천 시민 연합 창립 대회가 개최되었다
노태우
44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해 금 모으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김대중
45
대통령 직속 자문 기구인 노사정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김대중
46
남북 경제 교류 증진을 위한 경의선 복원 공사가 시작되었다
김대중
47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했다
노태우
48
남북 조절 위원회를 구성했다
박정희
49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박정희
50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노태우
51
10.4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노무현
52
6.15 남북 공동 선언을 채택했다
김대중
53
금강산 해로 관광 사업을 시작했다
김대중
54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을 채택했다
노태우
55
남북 정상 회담을 처음으로 개최했다
김대중
56
남북 간 이산가족 상봉을 최초로 실현했다
전두환
57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7.7 선언을 발표했다
노태우
58
남북한의 교류 협력을 위한 개성 공단 건설에 착수했다
노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