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각 물질과 물이 반응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스의 연결이 틀린 것은?
탄화알루미늄 - 이산화황
2
이 전압의 실횻값
2
3
평행한 두 도선 사이의 거리가 r이고, 각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두 도선 간의 작용력이 F1일 때, 두 도선 사이의 거리를 2r로 하면 두 도선 간의 작용력 F2 는?
F2 = 1/2 * F1
4
정전용량이 0.02㎌인 커패시터 2개와 정전용량이 0.01㎌인 커패시터 1개를 모두 병렬로 접속하여 24V의 전압을 가하였다. 이 병렬회로의 합성 정전용량(㎌)과 0.01㎌의 커패시터에 축적되는 전하량(C)은?
0.05, 0.24×10-6
5
전달함수는 ?
1
6
0℃에서 저항이 10Ω이고, 저항의 온도계수가 0.0043인 전선이 있다. 30℃에서 이 전선의 저항은 약 몇 Ω 인가?
11.3
7
자기 인덕턴스 L1, L2가 각각 4mH, 9mH인 두 코일이 이상적인 결합이 되었다면 상호 인덕턴스는 몇 mH인가? (단, 결합계수는 1이다.)
6
8
내압이 1.0kV이고 정전용량이 각각 0.01μF, 0.02μF, 0.04μF인 3개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 전체 내압은 몇 V 인가?
1,750
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허가 등의 동의대상물의 범위로 틀린 것은?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50제곱미터 이상인 층이 있는 것
10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5)에 따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는? (단, 해당 누전경보기에 대하여 방폭ㆍ방식ㆍ방습ㆍ방온ㆍ방진 및 정전기 차폐등의 방호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이다.)
습도가 낮은 장소
11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외함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며, 누전경보기의 외함의 두께는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직접 벽면에 접하여 벽 속에 매립되는 외함의 부분은 제외한다.)
1
12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누전경보기에 사용되는 표시등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방전등 또는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전구는 2개 이상을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1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6류 위험물을 수납하는 운반용기의 외부에 주의사항을 표시하여야 할 경우, 어떤 내용을 표시하여야 하는가?
가연물접촉주의
14
인화점이 낮은 것부터 높은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이황화탄소 <아세톤 <에틸알코올
15
그림 (a)와 그림 (b)의 각 블록선도가 등가인 경우 전달함수 G(s)는?
3
16
200V의 교류전압에서 30A의 전류가 흐르는 부하가 4.8KW의 유효전력을 소비하고 있을 때 이 부하의 리액턴스(Ω)는?
4.0
17
회로에서 전압계 Ⓥ가 지시하는 전압의 크기는 몇 V 인가?
100
18
60Hz, 4극 3상 유도전동기가 정격 출력일 때 슬립이 2%이다. 이 전동기의 동기속도(rpm)는?
1,800
1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을 취급함에 있어서 정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 설치할 수 있는 정전기 제거설비 방법이 아닌 것은?
자동적으로 압력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방법
20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에따라 일반전기사업자로부터 특별고압 또는 고압으로 수전하는 비상전원수전설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축전지형
2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감지기의 설치 제외 장소가 아닌 것은?
실내의 용적이 20m3 이하인 장소
22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에 따라 비상방송설비 음향장치의 설치기준 중 다음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층수가 ( ㄱ )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 ㄴ )㎡
㉠ 5, ㉡ 3000
23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누전경보기의 변류기는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절연된 1차권선과 2차권선 간의 절연저항 시험을 할 때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5
24
0℃, 1기압에서 44.8m3의 용적을 가진 이산화탄소를 액화하여 얻을 수 있는 액화탄산 가스의 무게는 약 몇 ㎏인가?
88
25
R=10Ω, ωL=20Ω인 직렬회로에 220∠0° V의 교류 전압을 가하는 경우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인가?
9.8∠-63.4°
26
100V, 500W의 전열선 2개를 같은 전압에서 직렬로 접속한 경우와 병렬로 접속한 경우에 각 전열선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각각 몇 W 인가?
직렬 : 250, 병렬 : 1000
27
3상 유도 전동기의 출력이 25HP, 전압이 220V, 효율이 85%, 역률이 85%일 때, 이 전동기로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 인가? (단, 1HP=0.746kW)
68
2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다음의 규정을 위반하여 위험물의 운송에 관한 기준을 따르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기준은?(2021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 위험물운송자는 이동탱크저장소에 의하여 위험물을 운송하는 때에는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준수하는 등 당해 위험물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00만원 이하
2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또는 지하구는 제외한다.)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3500m2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층
30
비상조명등의 화재안전기준(NFSC 304)에 따른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 a )m 이내마다 ( b )개 이상 설치할 것
ⓐ 25, ⓑ 3
31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라 바닥면적이 450m2일 경우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최소 설치개수는?
3개
32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라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 설치 시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몇 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40
33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지하층·무장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되지 아니하거나 실내 면적이 40m2 미만인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가 아닌 것은?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
34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 )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 ㄱ )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 ㄴ )회 이상 속보 할 수 있어야한다.
㉠ 20, ㉡ 3
35
직류전원이 연결된 코일에 10A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 이 코일에 연결된 전원을 제거하는 즉시 저항을 연결하여 폐회로를 구성하였을 때 저항에서 소비된 열량이 24cal이었다. 이 코일의 인덕턴스는 약 몇 H 인가?
2.0
36
50Hz의 주파수에서 유도성 리액턴스가 4Ω인 인덕터와 용량성 리액턴스가 1Ω인 커패시터와 4Ω의 저항이 모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 회로에 100V, 50Hz의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때 무효전력(var)은?
1200
3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설치의 면제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물분무등 소화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차고/주차장에 ( )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설비의 유효범위내에서 설치가 면제된다.
스프링클러설비
38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제2종 연기감지기를 부착높이가 4m 미만인 장소에 설치 시 기준 바닥면적은?
150m2
39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감도조정장치를 갖는 누전경보기에 있어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치가 몇 A이어야 하는가?
1.0
40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른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시설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독경보형감지기는 바닥면적이 ( ㄱ )m2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 ㄴ )m2마다 1개 이상을 설치하여야 한다.
㉠ 150, ㉡ 150
4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로 분류되는 것은?
과산화수소
42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주된 소화효과는?
질식소화
43
어떤 코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 코일에 30V의 직류전압을 가했을 때 300W가 소비되었고, 100V의 실효치 교류전압을 가했을 때 1200W가 소비되었다. 이 코일의 리액턴스(Ω)는?
4
44
각 상의 임피던스가 Z = 4+j3(Ω)인 △결선의 평형 3상 부하에 선간전압이 200V인 대칭 3상 전압을 가했을 때 이 부하로 흐르는 선전류의 크기는 몇 A 인가?
40√3
45
각 상의 임피던스가 Z=6+j8(Ω)인 △결선의 평형 3상 부하에 선간전압이 220v인 대칭 3상 전압을 가했을 때 이 부하로 흐르는 선전류의 크기는 약 몇 A 인가?
38
46
균일한 자기장 내에서 운동하는 도체에 유도된 기전력의 방향을 나타내는 법칙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4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허가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 등의 범위가 아닌 것은?
차고·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이 1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건축물
48
소방기본법령상 일반음식점에서 음식조리를 위해 불을 사용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지켜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주방설비에 부속된 배출덕트는 0.2밀리미터 이상의 아연도금강판으로 설치할 것
49
다음은 소방기본법령상 소방본부에 대한 설명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소방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 ) 직속으로 소방본부를 둔다.
시·도지사
50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일반 소방시설설계업(기계분야)의 영업범위에 대한 기준 중 ( )에 알맞은 내용은? (단, 공장의 경우는 제외한다.) 연면적 ( )m2 미만의 특정소방대상물(제연설비가 설치되는 특정 소방대상물은 제외한다.)에 설치되는 기계분야 소방시설의 설계
30000
5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지하가(터널은 제외한다)로서 연면적 600m2 이상인 것
5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종합정밀점검 실시 대상이 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물분무등소화설비[호스릴 방식의 물분무등소화설비만을 설치한 경우는 제외한다.]가 설치된 연면적 ( )m2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위험물 제조소등은 제외한다.
5000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관계인이 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하는 위험물 제조소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지정수량 40배의 제3석유류를 용기에 옮겨 담는 일반취급소
5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무창층으로 판정하기 위한 개구부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틀린 것은?
크기는 반지름 30㎝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을 것
5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그 장소에 상시 근무하거나 거주하는 사람에게 소방훈련과 소방안전관리에 필요한 교육을 하여야 한다. 다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설명 중 ( )에 알맞은 내용은? 특정소방대상물 중 상시 근무하거나 거주하는 인원(숙박시설의 경우에는 상시 근무하는 인원)이 ( )명 이하인 특정소방대상물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10
56
비상콘센트설비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비상콘센트설비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 간의 절연내력은 정격전압 150V이하의 경우 60Hz의 정현파에 가까운 실효전압 1000V 교류전압을 가하는 시험에서 몇 분간 견디어야 하는가?
1
57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비호환성형 수신부는 신호입력회로에 공칭작동전류치의 42%에 대응하는 변류기의 설계출력전압을 가하는 경우 몇 초 이내에 작동하지 아니하여야 하는가?
60초
58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감지기의 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3.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 시 최고 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59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 속보기의 기능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 a )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 b )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한다.
ⓐ 20, ⓑ 3
60
시각경보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시각 경보장치의 전원부 양단자 또는 양선을 단락시킨 부분과 비충전부를 DC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는 경우 절연저항이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5
6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광전식분리형감지기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천장의 실내에 면한 부분 또는 상층의 바닥하부면을 말한다) 높이의 70% 이상일 것
62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유도등의 교류입력측과 외함 사이, 교류입력측과 충전부 사이 및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 사이의 각 절연저항을 DC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5
63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감지기 상호 간 또는 감지기로부터 수신기에 이르는 감지기회로의 배선 중 전자파 방해를 받지 아니하는 쉴드선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차동식 감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