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활선작업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활선 작업은 4.0mm 경동선 또는 ACSR 32mm2 이상인 선로에서만 시행해야 한다.
2
무정전 (활선) 작업 기타안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정전(활선) 작업 시는 전선,완철,애자 등을 단위별로 각각 작업하여야 하며 서로 다른 상( 접지측 포함) 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3
무정전(활선) 장구의 취급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정전(활선) 장구는 규정용도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22.9kv 배전선로에서 유지해야할 접근한계거리는 무엇인가?
90cm
5
작업중 강우 또는 강설이 있을 때는 즉각 작업을 중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부득이 간접활선작업을 계속할 경우에 활선작업거리를 어느 정도 유지해야하는가?
평소의 1.2배 이상
6
무정전(활선) 작업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작업자는 무정전(활선)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도체나 작업기구 바로 밑에 위치할 수 있다.
7
다음 설명 중 괄호안에 들어갈 말은? 충분한 조명은 지상감시자가 주상에서 작업하는 주상작업자의 간접활선 작업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이며 이를 위해서( ) 대 이상의 투광등을 사용하여 작업개소를 비추어야 한다.
2
8
활선작업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활선작업은 활선작업통보서에 의거 활선작업 공법상의 인원보다 적게 시행가능하며, 작업통보서에 임명된 작업책임자의 지시 .감독 하에 따라 시행해야 한다.
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작업책임자는 작업중 강우 또는 강설이 있을 때는 즉각 작업을 중지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부득이 간접활선작업을 계속할 경우에는 활선 작업거리를 1.2배 이상로 하고 ( ) 를 강화 아여야 한다.
충전부 방호조치
10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작업책임자는 지상에서 작업지시를 하여야 하며 , 활선부위와 ( ) 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서 주상작업자의 동태를 항시 감시하고 만일 활선에 접근 시는 즉시 경고해야 한다.
작업자의 거리
1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무정전(활선)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다른 작업을 ( ) 또는 가까운 전주에서 시행하지 못한다.
동일 장주
1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작업자는 작업책임자의 지휘에 따라야 하며, 작업책임자로부터 지시받은 작업 이오의 어떠한 작업 ( ) 도 시행해서는 안된다.
임의 및 단독작업
1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작업자는 무정전(활선) 작업이 진해되는 동안 도체나 작업기구 ( ) 에 위치하지 말아야 한다.
바로 밑
1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작업자들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 ) 또는 작업 책임자로부터 지시받지 않은 행동을 서로 감시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안전작업 수칙 미준수
15
무정전(활선) 작업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정전(활선)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다른 작업을 동일 장주 또는 가까운 전주에서 시행하지 못한다.
16
무정전(활선) 작업시 작업전에 통보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작업 완료시간
1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무정전(활선) 작업 전에는 변전소 차단기(CB) 또는 전원측 리크로져(R/C) 등의 ( ) 을 정지한 후 작업 하여야 한다.
재폐로 동작 기능
1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무정전(활선)작업 시는 전선,완철,애자 등을 단위별로 각각 작업하여야 하며 서로 다른 상(접지측 포함 ) 을 동시에 작업하여도 된다.
1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돌발정전으로 인하여 불순한 일기에서 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는 간접활선작업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반드시 규정된 ( ) 보다 여유있는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접근한계거리
20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무정전(활선) 장구는 지지물에 견고하게 설치된다면, 지지물에 안전하게 지지하지 않아도 된다.
21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 ?
도로변 차량정차 작업시에는 음주,졸음 운전 가해사고 등 제 3자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작업구간을 식별할 수 있는 교통안전표지물을 도로의 종류에 따라 규정된 간격으로 반드시 설치하고 작업하여야 한다.(경광등,점멸등)
2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불량으로 판정된 무정전(활선)장구는 재사용이 되지 않도록 식별 및 별도 보관하고 조속히 ( ) 하여야 한다.
폐기처리
2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고압이 가압된 선로나 기기를 접근한계거리 내에서 취급할 때는 항상 착용해야 한다. 단 간접활선으로 작업하는 경우로서 충전부가 다른 전위를 갖는 도전체 또는 근로자와 ( )경우는 착용을 생략할 수 있다.
완전히 절연된
24
고무소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고무소매는 작업복 위에 착용하되 손목부분은 고무절연장갑 밖으로 입어야 한다.
25
특고압 작업시 절연붐의 최소 연장 길이는 ?
50cm
26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 활선 작업차는 반드시 지정된 ( ) 가 운전하여야 하고, 활선작업 중 조작은 활선 작업차 작업훈련을 이수한 작업자가 하여야 한다.
면허소지자
27
활선잗업차(버킷트럭) 사용 작업방법으로 틀린 것은?
절연버켓에 임의로 구조변경 해도 된다.
28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붐이나 버켓으로 물체를 밀거나 당기는 작업을 하여도 된다.
2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순서대로 짝지은 것은? 활선작업차( ) 또는 복사본 , ( ),( ) 을 해당차량 내 비치해야 한다.
시험성적서, 자동차 정기검사필증, 고소작업대 검사필증
30
활선작업차 점검 및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활선작업차를 점검한 결과 절연붐이나 라이너에 흠 ,균열 등이 있을 때는 즉시 내압시험을 실시하고 절연성능이 불량일 경우는 절연성능이 기준치 이상인 1년이상 신품으로 교체하지 않아도 문제 없다.
31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작업자는 단독으로 작업하여도 무방하며, 버킷에 승탑한 보조작업자나 지상감시자의 감시 하에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32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작업 중인 동안에는 활선작업차를 가압장비로 간주하지 않으며 보호장비 없이 접근 접촉이 가능하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작업책임자는 작업 전에 작업내용과 관련되는 기본적인 ( ) 를 작성하고 현장의설비형태 도로상황 및 교통량 등을 확인하여 최종적인 ( )를 작성하여야 한다.
작업 절차서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차례대로 나열한 것은?
A-고무절연 장갑 B-고무소매 C-50cm
35
안전회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기계적 혹은 신체적 불안전 상태를 사후 제거 한다.
36
배전센터에 통보하는 내용 중 틀린 것은 ?
작업장소(주소)
3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라인호스,애자호스,고무브래킷,전선덮개로 중성선 중성선 애자 저압전선을 방호하고 ( )으로 고정시킨다.(분기선로 포함)
클램프 핀
38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활선작업차 붐 이동시 중성선이 지장된다고 판단되면, 중성선을 지지애자에서 분리한 후, ( )을 사용하여 지장이 없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링크스틱
39
방호를 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 중 틀린 것은?
버킷이 접근하는 인도측에서부터
40
방호관 및 위험 표지판 시공에 대해 설명중 틀린 것은?
방호판은 한전관리법에 의거 안전인증을 득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41
계통조작이 수반되는 공사는 몇일 전 작업 관계자 회의를 하여야 하는가?
3일
4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점퍼선 분리 연결시 간접활선공구를 활용하여 안전에 유의하여 작업하고 점퍼선의 끝단은 절연캡으로 방호하여야 하며 반드시 ( )을 사용하여 흔들리지 않게고정시켜야 한다.
점퍼선 홀딩스틱
4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작업공구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작업준비 시 낙하가 예상되는 구역의 ( ) 을 마련한다.
안전대책
44
다음은 고압선 교체공사 중 가선용 로프바를 롤러에 연결하고 당기는 중 점퍼선이 롤러방향으로 움직이며 점퍼선 풍전부와 롤러가 혼촉 아크가 발생된 사례이다. 점퍼선 혼촉 사고예방을 위해 필요한 공구는?
점퍼선 고정공구
45
점퍼선 고정공구를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개소로 틀린 것은?
중간피박을 한 점퍼선 절단개소
46
그림과 같이 점퍼선 절분개소 사전표식을 위해 설치하는 공구는 ?
시트클립
47
다음은 시트클립을 활용하여 점퍼선 절분개소 사전표식 작업절차다. 작업순서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점퍼선 절분대상 사전확인 ㅡ시트클립 표식(점퍼선 절분대상)ㅡ클램프 체결 ㅡ 점퍼선 절분
48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보조작업자는 주작업자를 근접 감시하는 ( ) 역할을 수행하며, 활선절연버킷에 탑승하여 원활한 작업이 되도록 주 작업자를 보조
감시자
49
점퍼선 절단 작업에 대한 내용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주작업자-절단기를 이용 점퍼선 절단 보조작업자- 그랩스틱을 이용 전선 장악->( )으로 점퍼선 혼촉에방 필수
2인작업
50
분기고리 절분작업중 작업자 착오로 인한 고압전선 절단 에방을 위해 필요한 절분 방법은?
수평절분
51
그림과 같이 유압식 절단기 및 압축기로 수평작업시 필요한 조치는?
수평작업 시 하단 방호시행
52
다음 그림에서 무엇이 잘못됐는가?
기계확(기계화)공간확장 장치를 절연버켓에 임의로 설치
5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윈치에 설치
54
버켓을 사용하여 기자재 인양 시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를 에방하기 위한 조치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안전고리
55
버켓을 사용하여 기자재 인양 시 작업절차 순서로 올바른 것은?
안전고리 체결(지상)->버켓으로 기자재 인양->기자재 설치(주상)->안전고리 분리 (주상)
56
버켓을 사용하여 기자재 하강 시 작업절차 순서로 올바른 것은?
안전고리 체결(주상)->기자재 철거(주상)->버켓으로 기자재 하강->안전고리 분리(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