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제품의 부피를 우선으로 할 목적으로 쇼트닝과 설탕을 넣고 먼저 믹싱하는 방법은?
크림법
2
다음 제품 중 일반적으로 비중이 가장 낮은 것은?
스펀지 케이크
3
케이크 도넛의 튀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90~196⁰c
4
퍼프 페이스트리를 알맞게 설명한 것은?
1차 및 2차 발효과정이 없다.
5
파운드케이크의 배합율 조정에 관한 사항 중 밀가루, 설탕을 일정하게 하고 쇼트닝을 증가시킬 때 조치 중 틀리는 것은?
베이킹 파우더를 증가시킨다.
6
계란이 기포성과 포집성이 가장 좋은 것은 몇 도에서인가?
30⁰c
7
슈 제조 시 굽기 중간에 오븐문을 자주 열어주면 완제품은 어떻게 되는가?
부피 팽창이 적게 된다.
8
화이트 레이어 케이크 제조 시 주석산 크림을 사용하는 목적 중 틀린 것은?
제품의 색깔을 진하게 하기 위해여
9
다음 중 무스 제조 시 젤라틴을 팽윤시키려 할 때 물 사용량으로 알맞은 것은?
젤라틴의 4-5배
10
다음 제품 중 굽기 전 침지 또는 분무하여 굽는 제품은
슈
11
일반적인 제과작업장의 기준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조명은 50Lux 이하가 좋다.
12
쿠키의 포장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0⁰c
13
식빵을 만들 때 필요한 기계 중성형기와 바로 연결하여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믹서
14
빵 제조 시 경수를 사용해야만 하는 지역에 있어서 조치 사항 중 틀린 것은?
소금 사용량 증가
15
식빵 배합을 할 때 반죽의 온도 조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밀가루는?
물
16
빵의 노화를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첨가물은?
모노글리세라이드
17
펀치의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
18
2차 발효실의 온도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32~45⁰c
19
굽기 중 일어나는 변화로 가장 높은 온도에서 발생하는 것은?
단백질 변성
20
식빵 제조 시 낮은 부피의 제품이 되는 원인은?
이스트 사용량이 부족한 경우
21
다음 중 빵의 노화속도가 가장 빠른 온도는?
0~8⁰c
22
스펀지법에서 스펀지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재료가 아닌 것은?
소금
23
식빵의 믹싱공정 중 반죽의 신장성이 최대가 되는 단계는?
최종단계
24
데니시 페이스트리에서 롤인 유지함량 및 접기 횟수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롤인 유지함량이 많은 것이 롤인 유지함량이 적은 것보다 접기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한다. 최고점을 지나면 감소하는 형상이 현저한다
25
빵의 포장재 특성으로 부적합한 것은?
단열성
26
반죽 10kg을 믹싱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믹서의 용량은?
15kg
27
α전분과 β전분의 차이에 관해서 옮은 것은?
호화전분과 생전분의 차이
28
다음 제법 중 비교적 스크래핑을 가장 많이 해야하는 제법은?
크림법
29
다읍 곡물 전분입자 중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쌀전분
30
소맥분의 등급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회분
31
냉동반죽의 해동방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리타더해동
32
우유의 성분 중 제품의 껍질색을 개선시켜 주는 것은?
유당
33
커스터드 크림에서 계란은 주로 어떤 역할을 하는가?
결합제
34
일시적 경수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끊임으로 물의 경도가 제거되는 물
35
이스트푸드의 구성성분 칼슘염의 주 기능은?
물 조절제의 역할을 한다.
36
패리노그래프에 의한 측정으로 알 수 있는 반죽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반죽의 효소력
37
밀단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글루텐은 응집성, 탄력성, 점성이 없다.
38
빵의 제품평가에서 브레이크와 슈레드 부족현상의 이유가 아닌 것은?
오븐의 증기가 너무 많았다.
39
칼슘 흡수를 방해하는 인자는?
옥살산의 섭취증가
40
식물체에 함유된 단백질 분해 효소는?
브로멜린
41
아밀로그래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산화제와 발효시간의 관계 이해
42
다음 중 반죽의 희망 결과온도가 가장 낮은 제품은?
퍼프 페이스트리
43
굽기 공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빵의 옆면에 슈레드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44
제빵시 소금 사용량이 전량보다 많으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세포벽이 얇다.
45
빵의 노화가 가장 빠른 온도는?
5⁰c
46
2차 발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차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는 3.13에서 5.49로 상승한다.
47
이스트가 오븐 내에서 사멸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60⁰c
48
빵의 포장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35~40⁰c
49
빵의 내부에 줄무늬가 생기는 원인이 아닌 것은?
건조한 2차 발효
50
다음 제과용 포장 재료로 알맞지 않는 것은?
일반 형광종이
51
영구적 경수(센물)를 사용 시 취해야 할 조치로 틀린 것은?
소금 증가
52
과당이나 포도당을 부내하요 CO2 가스와 알코올을 민드는 효소는?
찌마아제
53
다음 제품 중 반죽이 가장 진 것은?
잉글리쉬 머핀
54
일반 제품의 메이크업(Make up) 과정 중 작업실의 온도 및 습도가 맞는 것은?
온도 25~28⁰c, 습도 65~70%
55
스폰지 발효에 생기는 결함을 없애기 위하여 만들어진 제조법으로 ADMI법이라고 불리우는 제빵법은?
액체 발효법
56
고율배합 제품과 저율배합 제품의 비중을 비교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맞는 것은?
저율배합 제품의 비중이 높다.
57
빵의 밑바닥이 움푹 들어가는 이유가 아닌 것은?
팬의 기름칠 과다
58
슈 바닥 껍질 가운데가 위로 올라가는 이유 중 틀리게 설명할 것은?
표피가 거북이 등처럼 되고 색깔이 날 때 밑불을 낮추어서 굽는다.
59
제빵시 생이스트(효모) 첨가에 가장 적당한 물의 온도는?
30⁰c
60
냉동반죽법의 재료 준비에 사항에 틀린 사항은?
저장 온도는 -5⁰c가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