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담배 식물에 들어있는 천연살충 성분은?
아나바신(anabasine)
2
계면활성제를 구성하는 원자단 중 친유성(親油性)이 가장 강한 것은?
-CnH2n+1
3
살충제 카보(carbofuran)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식독제로 입을 통해 충체 내로 들어가 독작용을 하는 살충제이다.
4
manganese ethylenebis(dithiocarbamate)이 주성분인 아연 배위화합물로서 광범위한 작물의 탄저병을 포함한 광범위한 병해에 적용되는 보호살균제 농약은?
만코제브(Mancozeb)
5
약해가 일어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낙엽 후 기계유 유제의 살포
6
다음 농약 중 살비제(acaricide)가 아닌 것은?
싸이스린(cyfluthrin)
7
피리다명, 페나자퀸은 일반적으로 어떤 농약에 속하는가?
살충제
8
살충제 파라티온(Parathion)의 성상 및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불용이며 알칼리에는 안정하다.
9
자체검사 및 신청검사 시 입제에 대한 최대모집단 수량은 얼마로 정해져 있는가?
50톤
10
농약의 생물농축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생물농축계수(BCF)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수질환경 중 화합물의 농도에 대한 생물체 내에 축적된 화합물의 농도비를 말한다.
11
석회유황합제의 주된 유효성분은?
CaS5
12
다음 중 전착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은?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13
다음 농약 중 사과의 부란병에 주로 적용되는 것은?
사이프로코나졸 액제(아테미)
14
살충제와 같은 유기화합물에 함유된 할로겐 원소에 선택적으로 감응하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검출기는?
전자포획검출기(ECD)
15
다음 중 보호살균제인 농약은?
석회보르도액
16
포인세티아에 대하여 식물호르몬인 지베렐린의 작용을 저해하여 식물의 신장억제 작용을 하는 약제는?
클로르메콰클로라이드
17
석회유황합제(石灰硫黃合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일반적으로 겨울에는 300~600배액을, 여름철에는 20~30배액을 사용한다.
18
유기인계 살균제로서 도열병에 대한 효과가 가장 큰 농약은?
아이비(IBP)
19
농약조제용 증량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수분함량과 입자의 흡습성이 낮은 증량제가 좋다.
20
다음 농약의 약해증상 중 만성적 약해에 해당하는 것은?
화아(花芽) 형성
21
유기인계 계통의 침투성 살충제로서 감자의 거세미나방, 마늘의 뿌리응애에 주로 적용할 수 있는 농약은?
포레이트
22
종자 소독제로 주로 사용되는 농약은?
베노밀, 티람
23
트리아졸(Triazole)계 살균제의 작용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세포막 성분인 ergosterol 생합성 저해
24
결정석회황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강한 산성을 나타낸다.
25
계면활성제를 구성하는 주요 원자단 중 친수성(hydrophilic)을 갖는 원자단이 아닌 것은?
-CH2OR
26
다음 중 보르도액의 주성분은?
황산구리(CuSO4ㆍ5H2O)
27
방사상균인 Streptomyces avermitilis가 주성분인 농약은?
Abamectin
28
농약 유효성분의 효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협력제가 아닌 것은?
Fenclorin
29
말라치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대표적인 고독성 약제이다.
30
미생물 살충제인 BT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산성조건에서 용해되어 살충성 독소로 작용한다.
31
원제의 독성정도에 따른 구분에서 급성독성 물질은 입이나 피부를 통하여 1회 또는 24시간 이내에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몇 시간 동안 흡입노출시켰을 때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말하는가?
4시간
32
살충제 농약의 작용기작이 바르게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은?
데리스제 - 피부부식
33
유기인계 살충제에 있어서 인산기의 화합물과 티오 인산기의 화합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인산기의 화합물이 티오인산기의 화합물보다 생리적 작용이 강하다.
34
농약과 그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로 틀린 것은?
나드 - 생장억제
35
미생물 농약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광범위 적용
36
농약의 안전사용수칙 등을 잘 지키지 않아 농약중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농약사용자의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사용액은 반드시 사용하기 24시간 이전에 만든다.
37
이프로디온(Iprodion), 프로사미디온(Procymidione)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살균제
38
급성 경구독성이 가장 강한 농약은?
Parathion 제
39
유기인제 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유기인제는 강력한 Choline - esterase (ChE) 의 활성제가 된다.
40
BHC제 중 살충력이 가장 강한 γ-BHC 의 광학적 제법에 있어서 가장 적당한 빛의 파장은?
300 - 500 nm
41
마늘, 백합의 뿌리응애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유기인계 약제는?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42
토마토, 참외와 같은 장기재배형 작물에 적합하며 각종 선충에 전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기인계통의 농약은?
포스티아제이트
43
구리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석회유황합제나 기계유 유제 등과 혼용하면 약효의 증진을 가져온다.
44
농용항생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글리서풀빈(griseofulvin)은 토마토의 궤양병방제제이다.
45
입제 제조시 사용되는 붕괴촉진제가 아닌 것은?
아교
46
농약의 약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실제 포장에서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약효상승율이 "0"인 때의 살포량보다 감량하여 살포하는 것이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