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삼국시대에 귀족의 음식은 주로 ( ) 섭취이다
쌀
2
고구려 고대 고분 문화에 대한 설명
초기-풍속,주인 묘사 불교유행 후-불교 관련 장식 후기-사신도
3
고구려 고분양식의 변화는 ( )무덤에서 ( )무덤이다
돌무지, 굴식 돌방
4
백제 고분 양식 변화는 ( ) 무덤에서 ( )무덤이다
돌무지, 굴식돌방,벽돌
5
신라 고분 문화 양식 변화는 ( )무덤에서 ( )무덤이다.
돌무지 덧널, 굴식 돌방
6
가야 고분 문화 양식 변화는 ( )무덤에서 ( )무덤이다.
구덩식 덧널, 굴식 돌방
7
삼국의 불교 관련 유물이 아닌것
백제-황룡사 9층 목탑
8
신라의 불상 이름은 ( )이다.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 입상
9
삼국의 ( )보급은 ( )와 함께 보급되었다.
유교, 한자
10
삼국의 유교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
고구려-태학
11
도교는 ( )이어서 ( )적인 접근은 저조했다.
통치수단, 학문
12
고구려의 역사서는 ( )이고 ( )시기에 써졌다. 백제의 역사서는 ( )이고 ( )시기에 써졌다. 신라의 역사서는 ( )이고 ( )시기에 써졌다.
신집,영양왕, 서기,근초고왕, 국사,진흥왕
13
백제의 멸망은 ___년이고, 고구려의 멸망은 ____년이다.
660, 668
14
백제의 ( )장군이 ( )전투에서 패했다.
계백, 황산벌
15
백제 부흥운동을 한 사람
복신,도침,흑치상지
16
고구려의 멸망 과정으로 틀린 것
웅진성이 함락되었다
17
고구려의 부흥운동을 한 인물
안승,검모잠,고연무
18
나당전쟁의 배경은 ( )이다.
당의 한반도 전체 지배 야욕 때문
19
삼국통일은 이룬 나라는( )이고, 년도는 ( )년이다.
신라, 676
20
삼국통일의 의의는 ( ),( )이다.
민족통합, 삼국의 문화 융합
21
발해를 건국한 사람은?
대조영
22
통일신라 태종 무열왕의 출신은?
진골
23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나당전쟁을 승리시킨 인물은?
문무왕
24
대왕암의 주인은?
문무왕
25
신라의 중앙정치의 중심
집사부,시중
26
통일신라때 통치제도를 정비한 인물은?
신문왕
27
만파식적 설화는 무엇인가
신문왕이 만파식적이라는 피리를 불면 질병이 없어지고 전쟁이 끝나고 농사가 잘된다
28
9주 5소경은 어느 나라의 통치제도 인가
통일신라
29
발해의 교육기관
주자감
30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 용천부로 천도한 인물
문왕
31
발해의 지방 통치제도
5경 15부 62주
32
신라의 군사제도
9서당 10정
33
통일신라가 5소경을 설치한 목적
수도 금성이 동남쪽에 치우져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이다.
34
발해의 어떤 사람이 산둥지방을 선제공격 했나
장문휴
35
발해를 해동성국이라고 불리게 한 왕은?
선왕
36
인안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왕
무왕
37
발해의 중앙 통치제도
3성 6부제
38
정당성,선조성,중대성의 역할
정당성은 최고 행정 총괄, 선조성은 왕명 출납, 중대성은 심의기관이다.
39
3성 6부에서 6부의 이름
충부,인부,의부,지부,예부,신부
40
발해의 중앙통치제도 독자적 운영의 특징 4가지
중국 3성 6부제를 변형하고 정당성 중심으로 운영이 되었고 좌사정,우사정으로 이원화 되었고 6부 명칭이 유교적이다.
41
김헌창의 난이 일어난 시대
신라 하대
42
신라 말에 일어난 농민 봉기
원종과 애노의 난, 적고적의 난
43
호족이란 무엇인가
중앙 정치에 도전하는 반독립적인 지방 세력
44
후백제를 건국한 사람과 년도와 수도
견훤, 900년, 완산주
45
후고구려를 건국한 사람,년도
궁예, 901년
46
후고구려의 수도 변천
송악-철원
47
후고구려의 국호 변화
후고구려,마진,태봉
48
김대문이 저술한 책
화랑세기, 고승전
49
강수가 한 일
외교문서 작성
50
혜초가 저술한 것
왕오천축국전
51
원효의 사상,의상의 사상
화생사상,화엄사상
52
통일신라의 교육기관
국학
53
풍수지리설이란
자연의 형세 관찰하여 좋은 조건의 땅 구하기 위한 사상
54
발해의 대표유물
이불병좌상, 돌사자상, 영광탑
55
정혜공주의 무덤의 영향이 간 나라
고구려
56
완도에 청해진 건설한 사람
장보고
57
고려 건국 의의
민족 재통합,호족과 6두품이 정치에 참여
58
고려 건국한 사람
왕건
59
태조 왕건의 업적
북진 정책, 민족통합 정책, 호족 정책, 민심안정책, 훈요 10조
60
훈요 10조의 5조
서경에 3달마다 가서 100일 이상 머물것
61
광종의 정책
노비안검법 시행, 과거제 시행, 왕권 강화 노력
62
태조 왕건의 호족 견제에서 실시한 제도
사심관제도,기인제도
63
민심안정책 내용
불교 숭상, 연등회•팔관회 개최, 빈민구제, 세금 감면
64
성종의 업적
시무28조, 12목 설치, 유학교육
65
시무 28조의 20조
불교는 자신을 믿는것이고 유교는 나라를 다스리는 것인데 지금은 나라를 다스리는것이 급하다
66
고려의 중앙 통치제도
2성 6부
67
2성의 종류
중서문하성, 상서성
68
6부의 종류
이부,병부,호부,형부,예부,공부
69
상서성의 역할
6부를 통해 정책을 집행한다, 중추원에서 받은 왕명을 6부에서 나누어 진행
70
고려 통치체제에서 고려만의 독자적 기구
도병마사 ,식목도감
71
어사대의 역할
관리 감찰, 풍기 단속
72
대간의 역할
왕,고위관료 견제해서 정치 권력의 균형 잡았다. 정치의 잘잘못 논하고 관리 비리 관찰하고 사회 풍속을 관리한다
73
고려의 지방 행정 조직
5도,양계,경기
74
5도에 파견하는 지방관
안찰사
75
고려의 특수 행정 구역
향,부곡,소
76
고려의 군사 조직
2군 6위
77
고려의 관리 등용제도
과거제,음서제
78
음서란
왕족 후손,공신,5품 이상 관료의 자손을 과거 합격여부와 상관없이 관직에 임명
79
이자겸의 난의 배경
이자겸이 왕권 위협
80
서경파의 대외정책
금 정벌
81
개경파의 중심인물
김부식
82
무신정권의 최고 권력자
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최우,최항,최의,김준,임윤,임유무
83
최씨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
도방, 삼별초
84
초기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중방
85
최충헌이 설치한것
교정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