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중 종자의 수확시기가 적기보다 지나치게 빠를 경우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종자 품질이 좋아진다.
2
암술과 수술이 서로 다른 개체에서 생기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자웅이주
3
벼의 생력화 재배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요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고품질품종
4
보족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스위트피 F 2에서 자색꽃과 황색꽃의 분리비율은?
9 : 7
5
서로 다른 2개의 유전자좌간 비대립유전자 상호작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치사유전자
6
산성 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강한 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벼, 호밀
7
다음 중 이형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형주는 구분이 잘 되지 않아도 생육초기부터 의심 개체를 많이 제거해야 한다.
8
다음 중 식물의 발근 촉진에 가장 효과적인 식물 호르몬은?
옥 신
9
다음 중 종자병해검정 방법에 있어 세균과 바이러스를 신속히 검정하는 데 주로 이용하는 것은?
혈청학적 검정법
10
다음 중 생식세포로 이루어진 기관은?
꽃가루
11
다음 중 수확 전 종자전염병의 방제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이병된 식물체의 제거
12
벼의 안전저장 조건으로 가장 옳은 것은?
온도 : 15℃, 상대습도 : 약 70%
13
감자의 휴면타파를 위해 사용하는 생장조절물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
지베렐린
14
다음 중 품종의 조만성과 관련 없는 것은?
내냉성
15
인공교배를 할 때 꽃에 봉지를 씌우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화분이 섞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16
1개의 유전자가 2개 이상의 형질발현에 관여하는 경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다면적 발현
17
다음 중 멘델의 유전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분리의 법칙은 잡종2세대(F 2)에서 우성과 열성이 2 : 1로 분리하는 현상을 말한다.
18
종자의 씨껍질을 구성하는 세포층이 아닌 것은?
기모층(基毛層)
19
다음 중 밭에 주로 발생하는 잡초로 가장 적당한 것은?
바랭이
20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자급률이 가장 높은 양곡은?
벼
21
양적 형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소수의 주동유전자에 의해서 나타난다.
22
우리나라에서 벼 재배 시 이화명나방이 많이 발생하는 월로 짝지어진 것은?
6월, 8월
23
씨 없는 수박이란 유전적으로 보아 다음 중 어느 방법을 이용한 것인가?
3배체의 배수성을 이용한 것
24
대립유전자가 5쌍일 경우 F 1 배우자형의 종류수는?
32가지
25
가을보리를 봄에 씨뿌리기를 하려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가?
저온처리
26
종간잡종 또는 속간잡종교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후대의 유전양상이 단순하다.
27
저장 중에 있는 종자를 가해하는 해충은?
쌀바구미
28
다음 중 자가수정을 촉진하는 식물학적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
폐화수정
29
다음 중 논과 밭 주변의 둑을 태워 병균과 해충을 제거하는 방제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물리적 방제
30
딴꽃가루받이(타가수분)를 하는 작물은?
옥수수
31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발아기(發芽期)는 대부분(80% 이상)이 발아한 날이다.
32
다음 중 차나무의 작물학적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기호작물
33
다음 중 작물생육에 필요한 필수 미량원소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은?
인, 망간, 붕소, 마그네슘
34
다음 중 종자가 퇴화할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종자침출물의 감소
35
육종의 성과가 아닌 것은?
재래종 감소
36
무 종자 검사를 위하여 소집단에서 400g의 시료를 채취하여 검정기관(검정실)에 제출하였다. 이 시료의 명칭은?
제출시료(Submitted Sample)
37
다음 중 씨껍질이 두꺼운 채소종자에 대한 휴면타파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유황처리
38
다음 중 볍씨뿌리기의 준비과정을 가장 적합하게 나열한 것은?
씨가리기 → 종자소독 → 씨담그기 → 싹틔우기
39
종자가 발아하기에 알맞은 내부조건과 환경조건이 되어도 발아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은?
휴 면
40
다음 중 종자의 크기가 가장 큰 식물은?
야자나무
41
고구마 수확시 상처와 병반부를 아물게 하고 당분을 증가시켜 저장하는 방법은?
큐어링
42
배추, 브로콜리, 무의 안전저장을 위한 종자의 최대수분함량의 한계값으로 적당한 것은?
5.0% 정도
43
다음 중 종자의 타발적 휴면에 해당하는 것은?
수분이나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경우
44
신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법 중 원원종포에서 하는 방법으로 개체선발과 계통재배를 통하여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법은?
계통집단선발법
45
다음 중 옥수수의 생육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한다.
46
종자생산에 있어서 녹식물(綠植物) 춘화처리(春花 處理)에 의하여 꽃눈의 분화가 촉진되는 작물은?
당 근
47
벼의 특성 중 특히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은?
이삭의 길이
48
작물의 온도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적산온도란 작물의 정식에서부터 개화까지의 일 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를 말한다.
49
작물육종의 긍정적 성과로 볼 수 없는 것은?
재래종 감소, 품종의 획일화로 유전적 취약성이 초래되었다.
50
씨감자 준비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싹이 터 있는 것으로 한다.
51
다음 중 종자저장 시 건조제로 쓰이는 것은?
염화칼슘
52
다음 중 벼의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애멸구
53
작물의 수량 결정 3요소로 옳은 것은?
환경조건, 재배기술, 품종
54
토양이 너무 산성화되면 이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양분은?
인 산
55
다음 중 작물생육에 미치는 바람의 영향으로서 잘못 설명한 것은?
연한 바람은 양분의 흡수를 저해한다.
56
비가 적게 내리는 건조지대에서의 재배작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고구마
57
다음 중 벼의 줄기 속을 갉아먹는 해충은?
이화명나방
58
다음 중 속씨(피자)식물에서 일어나는 중복수정을 설명한 것은?
난핵+ 제1웅핵 → 씨눈(2n), 극핵+ 제2웅핵 → 배젖(3n)
59
오래 전부터 특정한 지방에서 계속 재배되고 있는 품종을 무엇이라 하는가?
재래종
60
멀칭재료를 용도에 맞게 가장 잘 선택한 것은?
여름철 지온상승의 억제 - 볏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