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공정계획을 도표화한 것으로 착공에서 준공까지 공사의 진도, 평가의 척도이며, 공사기간 중 단위 작업 내용을 미리 지정하는 것
공정표
2
설계도서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결정하는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질의응답, 현장설명서, 특기시방서, 설계도면, 표준시방서
3
실내건축공사의 5가지 생산수단
재료, 인력, 기계, 예산, 공사방법
4
실내건축공사의 5가지의 생산목표
양질의 생산물, 적정한 품질, 물량, 기간, 원가
5
설계 및 시방 규격의 준수 여부 및 후속 공정과의 적정성, 제반 사항 등을 사전에 확인하고, 시공상 문제점 및 개선 사항을 도출하여 정비함으로써 부실 시공 및 재시공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
현장검측
6
실내공간의 제작물이 완료되어지는 과정이 설계와 시방서대로 제작되어있는 지를 감독하는 것
하자점검
7
건설공사가 설계도서 및 그 밖의 관계 서류와 법령의 내용대로 시공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
검측관리
8
공사 착공부터 준공에 이르기까지 착공 전후 현황 및 작업공정, 진척사항, 시공법, 기상조건, 시험성적 등 필요한 공사 전반 사항을 기록, 관리하는 것
공사기록
9
업체가 발주자의 권한을 위임받아 모든 공사를 총괄하는 것으로 공사비 최대한도와 공사기간을 미리 정해 놓고 공사의 품질과 원가에 대해 모든 책임을 가지고 수행하는 방식
건설사업관리
10
공사 시행에 필요한 공사 수량을 정밀히 예상하고 재료 및 인건비의 실시 원가를 기입하여 공사원가를 산출하는 예산서
실행예산
11
방수공사의 방수공법 3가지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수 2가지
도막방수공법, 침투공법, 수밀재붙임공법, 시멘트 액체 방수, 우레탄 방수
12
품질관리의 과정 3단계(타이틀)
품질관리계획, 작업표준화, 지속적관리
13
공사를 진행하는 시공업체가 설계도서와 관련 규정대로 공사를 진행하는지를 발주처를 대신하여 관리, 감독, 지도하는 업무
감리
14
직영공사 방식의 일종으로 원도급자의 하도급에 많이 이용되는 방식
직종별 분할도급
15
시공계획을 세워 직접 재료를 구입하고, 인력을 동원하며, 장비를 투여해 모든 공사를 건축주의 책임으로 진행하는 공사 방식
직영공사
16
실행예산의 구성 3가지
직접공사비, 간접공사비, 본사관리비
17
품질 관리, 시공 관리, 안전 관리 등에 기술 지도와 검측 감리를 하는 것
시공감리
18
벽, 천장, 바닥 등에 몰탈, 회반죽 등을 바르는 마무리 공사
미장공사
19
작성된 공정표의 기간에 공사를 진행시키고 관리하는 계획
공정계획
20
매일 공사 진행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지
공사일보
21
실내공사 수립 단계 4단계
계획, 실시, 검토, 시행
22
공사종목을 세로에 공사기간을 가로에 기입하고 각 공종별 공사일정을 기입하는 방법의 공정표
횡선식 막대 공정표
23
직영공사 및 각종 도급제도 중에서 장점만을 택한 제도로 시행자, 감리자, 시공자 3인이 사용되는 실비와 이에 대한 보수를 미리 협의하고 정한 후 계약하는 방식
실비정산식 도급
24
공사 관리의 4대 목표
품질관리, 안전관리, 공정관리, 원가관리
25
수급 공사의 입찰 또는 자체 공사의 계획수립을 위하여 실행예산을 수립하는 근거가 되는 것
가 실행예산
26
착공 신고는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한 건축물의 공사를 착수하려는 ( )는 ( )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허가권자에게 공사계획을 신고해야한다. 이 경우 공사 ( )와 공사 ( )가 신고서에 함께 서명해야 한다
건축주, 국토교통부령, 감리자, 시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