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산업재해방지기술이론 중간
  • cok

  • 問題数 20 • 10/21/2024

    記憶度

    完璧

    3

    覚えた

    7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사망사고만인율

    1만명당 업무상 사고로 인하여 사망한 근로자 수의 비율

  • 2

    떨어짐

    사람이 인력에 의하여 건축물, 구조물, 가설물, 수목, 사다리 등의 높은 장소에서 떨어지는 것

  • 3

    끼임

    두 물체 사이의 움직임에 의하여 일어난 것으로 직선운동하는 물체 사이의 끼임, 회전부와 고정체 사이의 끼임, 롤러 등 회전체 사이에 물리거나 또는 회전체 돌기부 등에 감긴 경우

  • 4

    부딪힘

    재해자 자신의 움직임 동작으로 인하여 기인물에 접촉 또는 부딪히거나, 물체가 고정부에서 이탈하지 않은 상태로 움직임 등에 의하여 부딪히거나, 접촉한 경우

  • 5

    무너짐

    토사, 적재물, 구조물, 건축물, 가설물 등이 전체적으로 허물어져 내리거나 또는 주요 부분이 꺾어져 무너지는 경우

  • 6

    근로자가 상시 작업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

    초정밀작업 750럭스 이상, 정밀작업 300럭스 이상, 보통작업 150럭스 이상, 그 밖의 작업 75럭스 이상

  • 7

    안전난간의 구조

    상부난간대 90cm이상, 중간난간대 상부난간대와 바닥면의 중간높이, 발끝막이판 10cm이상

  • 8

    안전인증대상 기계 또는 설비

    프레스, 전단기 및 절곡기, 크레인, 리프트, 압력용기, 롤러기, 사출성형기, 고소작업대, 곤돌라

  • 9

    설치 이전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 10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 또는 설비

    연삭기 또는 연마기, 산업용로봇, 혼합기, 파쇄기 또는 분쇄기, 식품가공용기계, 컨베이어, 자동차정비용리프트, 공작기계, 고정용 목재가공용기계, 인쇄기

  • 11

    기계설비의 근원적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화 방법

    외형상의 안전화, 기능상의 안전화, 구조상의 안전화, 작업상의 안전화, 보전상의 안전화

  • 12

    근로자가 실수하여도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

    풀프루프

  • 13

    기계설비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이것이 사고나 재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안전한 방향으로 기계를 정지시키는 개념

    페일세이프

  • 14

    와이어로프의 폐기 기준

    이음매가 있는 것,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한 것, 꼬인것,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 것,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 15

    달기체인의 폐기 기준

    달기체인의 길이가 제조된 때의 길이의 5%를 초과한 것, 링 단면의 지름이 제조된 때의 링 지름의 10%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된 것

  • 16

    지게차의 방호장치

    헤드가드, 백레스트, 전조등, 후미등, 안전벨트

  • 17

    연삭숫돌을 사용하는 작업의 경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분 이상, 연삭숫돌을 교체한 후에는 ?분 이상 시험운전을 하고 해당 기계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1, 3

  • 18

    크레인에 설치해야 하는 방호장치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해지장치, 비상정지장치

  • 19

    보일러에 설치해야 하는 방호장치

    압력방출장치, 압력제한스위치, 고저수위조절장치, 화염검출기

  • 20

    프레스 및 전단기의 방호장치

    광전자식 방호장치,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가드식 방호방치,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수인식 방호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