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조선독립동맹은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국가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X
2
조선건국동맹은 국내에 위치하였다.
O
3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미국 전략 정보국과 함께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O
4
광복은 1945년 8월 15일에 했다.
O
5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여운형 등의 좌파 세력 중심으로 조직하였다.
X
6
미군정은 조선 인민 공화국을 인정하였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X
7
김구는 한국독립당을 정비하고, 각 정파의 통합을 모색하였다.
O
8
소련군은 김일성을 후원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하게 하였다.
O
9
제 1차 미소 공동 위원회에서 한국의 최대 5년 이내 신탁 통치를 결정하였다.
X
10
우익 세력은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고, 민중의 호응을 얻었다.
O
11
이승만은 남한만이라도 정부 수립을 주장해야한다는 정읍 발언을 하였다.
O
12
좌우합작 운동은 미군정이 지원을 거절하였지만, 중도파가 이끌어 전개되었다.
X
13
제 2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실질적으로 결렬되자, 소련은 한국 문제를 유엔에 상정하였다.
X
14
남북협상에서, 통일 정부 수립 등의 합의가 있었지만, 미국과 소련이 합의안을 거부하였다.
O
15
5•10 총선거로, 제헌 국회가 구성되었으며, 특히 무소속이 많이 당선 되었다.
O
16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에서, 5정보 초과 토지에 대한 유상 몰수, 유상 분배 토지 개혁을 지정하였다.
X
17
정부는 제주 4•3 사건을 계기로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고, 반공주의를 강화하였다.
X
18
제헌국회는 친일파 청산을 위해 반민족 행위 처벌법 을 제정하였다.
O
19
농지 개혁의 진행 과정중 하나는, 땅을 산 농민에게 지가 증권을 발행하는 것이었다.
X
20
미국이 처음 애치슨 선언을 발표했을 때, 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O
21
6.25 전쟁에서 국군과 유엔의 인천 상륙 작전으로 인해 전황은 크게 바뀌었다.
O
22
정전 협정 중, 포로 문제에 관하여, 공산군 측은 포로의 무조건 본국 송환을 주장하였고, 해당 주장이 정전 협정 때 받아 들여졌다.
X
23
정전 직후, 한국과 미국은 한미 상호 방위 원조 협정을 맺어 미국이 계속하여 한반도에 주둔하였다.
X
24
6•25 전쟁 이후, 한국은 원조 경제가 자리잡게 되었다.
O
25
북한은 1975년부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고, 이때 천리마 운동이 전개되었다.
O
26
이승만은 발췌 개헌을 통해 대통령 선거를 직선제에서 간선제로 바꾸었다.
X
27
제 3대 대통령 선거는 1956년에 일어났다.
O
28
조봉암은 진보당을 결성하여 민주 정치,혁신,평화 통일 등을 주장했지만, 이내 간첩 협의를 받아 해산되었다.
O
29
4•19 혁명에서, 교육 당국은 장면의 대구 유세에 고등학생이 참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일요일 등교를 지시하였다.
X
30
장면 정부는 경제 불황과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 경제 개발 3개년 계획을 마련하였다.
X
31
군사 정부는 정의당을 창당한 뒤, 대통령 후보로 박정희가 출마하였다.
X
32
한일 협정을 통해 한일 국교를 회복하였으나, 일본은 식민지 피해의 사과와 배상을 거부하였다.
O
33
제1, 2차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하자,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였지만, 1인당 국민 소득이 감소하였다.
X
34
박정희 정부는 안보 강화를 위해 향토 예비군을 창설하였다.
O
35
박정희 정부는 대북 정책을 수정하여 시국 선언을 발표하였다.
X
36
유신헌법에서 대통령의 연임 제한을 삭제하고,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6년마다 대통령을 선출하였다.
O
37
북한에서 주체 사상을 당의 이념으로 확정하고, 사회주의 헌법을 발표하였다.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