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과학적 연구 절차 순서
관찰, 예측, 가설, 해석, 소통
2
원인과 결과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는 벙법
실험범
3
실험법
원인과 결과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는 벙법, 조작과 결과의 인과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방법
4
실험법은 실험실 환경이 정확한 측정과 변수의 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실험실에서 이루어진다
O
5
실험법은 실험실 밖에서는 불가능하다
X
6
실험적 요인 또는 상황의 처지를 받는 피험자들
실험집단
7
처치의 성과 또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처치를 받지 않은 피험자들
통제집단
8
실험집단(처지집단)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다른 처치를 받는 피험자들
비교집단
9
서로 다른 조건에 할당하여 개인의 특정 집단에 속할 기회기 디른 집단과 동일한 것
무선할당
10
실험자가 누가 어떤 집단에 할당되어 있는지 아는 것이 참여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
실험자 기대효과
11
연구자가 예측하는 것으로, 통제된 조건하에서 실험자에 의해 조작되어 특정 결과를 가져옴
독립변수
12
실험 조작에 대한 결과나 반응
종속변수
13
실험연구에서 연구자는 귀무가설을 설정한다
설정한 가설이 ‘참’일 획률이 극히 적어 기각될 것이 예상되는 변수의 관계
14
2개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 간에 어떤 선형적 관계가 있는지 분석
상관법
15
상관법
변수 간의 연관된 정도를 나타낼 뿐, 인과관계를 설명하지 못함, 피어슨 적률상관계수
16
변수간의 선형적 관계는 상관계과의 정도를 나다내는 상관계수를 통해 알 수 있음
상관법
17
상관법은?
변수간의 선형적 관계는 상관계과의 정도를 나다내는 상관계수를 통해 알 수 있음, 변수 간의 연관된 정도를 나타낼 뿐, 인과관계를 설명X, 단순상 여부와 방향은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로 나타낸다
18
상관법은 무선할당을 요구한다
X
19
변수 간의 선형관계성 정도를 -1.00~1.00 척도 상에서 기술함 (1=완벽한 관련성, 0=전혀 관계없음)
상관법
20
상관법의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는 ?로 확인할 수 있다
회귀분석
21
독립변수를 체계적으로 조작하여 이것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실험법
22
이러한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알 수 없다
상관법
23
특정 분여에서 새로운 연구문제에 관심이 있을 때 유요함
기술연구
24
기술연구
연구자는 예측 또는 변인 통제나 조작을 하지 않고, 단지 관심 있는 문제를 정의함, 연구가설을 설정하지 않음, 사례연구, 관찰법, 설문연구를 포함함
25
사례연구
특정 현상 또는 사회적 단위 (사례)에 관한 상세하고 심층적인 자료 수집및 집중 탐구 , 수년간 모은 자료를 통해 역사적 인물 정보 알 수 있음, 부정확 우려
26
가설설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
사례연구
27
관찰법
행동을 관찰, 기록 (지연관찰), 영향, 편견, 개입을 하면 안됨, 조건이 통제 될 수 없고, 변인 간의 인과관계 밝힐 수 없음, 실제 행동을 면밀히 살필 수 있음
28
조사연구
면담으로 정보 수집, 수집된 정보는 기술통계가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