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역사란?
과거에 실제로 일어난 사실
2
옛사람들이 남긴 흔적은?
사료
3
사료의 종류?
유적, 유물, 문헌
4
역사의 의미는?
과거에 일어난 사실, 과거에 일어난 사실에 대한 기록
5
인류의 진화? (순서대로 쓰기)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호모 사피엔스
6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이름의 의미?
남방의 원숭이
7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징 세 가지? (ㅊ,ㅈ,ㄷ)
최초의 인류, 직립 보행, 도구사용
8
두 발로 서서 걷는 것은?
직립 보행
9
직립 보행으로 인해 바뀐것은?
자유로워진 두 손으로 도구 사용 가능
10
호모 하빌리스의 특징?
두뇌 용량이 이전 인류의 비해 약 2배가 커졌다.
11
호모 에렉투스가 사용했던 것은? (ㄸ,ㅂ ㄱ ㅇ)
뗀석기, 불과 언어
12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의 두뇌 용량은?
오늘날의 인류와 비슷하였다.
13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가 믿었던 것은?
사후세계
14
호모 사피엔스는?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
15
빈칸에 들어갈 말은? (차례대로) 호모 사피엔스 때 ( )가 ( )를 남겼다.
크로마뇽인, 동굴 벽화
16
빈칸에 들어갈 말을 차례대로 쓰시오. ( ) 시대 때 돌을 깨뜨리거나 떼어 내 만든 ( )를 사용하였다.
구석기, 뗀석기
17
뗀석기의 종류는?
찍개, 주먹도끼, 찌르개
18
구석기 시대 때 한 것 세 가지? (ㅊ,ㅅ,ㅇ)
채집, 사냥, 어로
19
구석기 시때 때 한 것으로 먹을 것이 풍부한 곳을 찾아 옮겨 다니는 것은?
이동 생활
20
빈칸에 들어갈 말을 차례대로 쓰시오. 구석기 시대 때 주로 ( )이나 ( )에 살았으며 강가에 ( )을 짓고 살기도 하였다.
동굴, 바위 그늘, 막집
21
구석기 시대 때 사용한 것? (ㅇ,ㅂ)
언어, 불
22
구석기 시대 때 ( )하고 ( )를 믿었다.
시신을 매장, 사후 세계
23
구석기 시대때 ( )을 기원하기 위해서 ( )를 그렸다.
사냥의 성공, 동굴 벽화
24
구석기 시대 때 ( )을 상징하는 풍만한 여인상을 만들기도 하였다.
풍요와 다산
25
( ) 시대 때 돌을 갈아서 정교한 ( )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신석기, 간석기
26
신석기 시대 때 ( )과 ( )이 시작되었으며 스스로 ( )을 생산하였다.
농경, 목축, 식량
27
생산력이 확대되고 인구가 증가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커다란 변화가 나타났던 것은?
신석기 혁명
28
신석기인은 ( )을 짓고 살았으며 ( )를 만들어 ( )을 저장하고 음식을 ( )하는 데 이용하였다.
움집, 토기, 곡식, 조리
29
신석기 시대 때 움집을 만들어서 ( )을 하였다.
정착 생활
30
신석기 시대 때는 생산물을 공평하게 나누는 ( )였다.
평등한 사회
31
자연물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는 것은?, 특정 동물을 자기 부족의 수호신으로 숭배하는 것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거나 점을 치는 것은?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32
문명이 발생할 때의 특징? (ㄷ,ㄱ, ㅊ, ㅁ)
도시, 계급, 청동기, 문자
33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강?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34
이집트 문명의 강?
나일강
35
인도 문명의 강?
하라파, 모헨조다로
36
중국 문명의 강?
황허강
37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 ( )은 ( )라는 거대한 신전을 지었다.
수메르인, 지구라트
38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 왕을 신의 대리자로 군림하여 한 정치?
신권 정치
39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 ( )보다 ( )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 )를 믿었다.
사후 세계, 현세, 다신교
40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 사용한 문자는?
쐐기 문자
41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 사용한 것은? (점성술 그리고…)
태음력, 60진법
42
( )의 ( )은 메소포타미아를 통일하고 ( )을 편찬하였다.
바빌로니아, 함무라비왕, 함무라비 법전
43
메소포타미아의 바빌로니아 왕국은 ( )를 사용한 ( )에게 멸망하였다.
철제 무기, 히타이트인
44
이집트 문명 때 일찍부터 농경이 시작된 이유?
정기적인 범람
45
이집트 문명 때 다른 나라가 쳐들어 오지 못한 이유?
폐쇄적인 지형
46
( )는 태양신의 아들이자 살아있는 최고신으로 ( )를 펼쳤다.
파라오, 신권 정치
47
이집트인은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 )를 사용하였고 ( ㅇ )과 ( ㅅ )를 믿어 ( )을 ( )로 만들고 ( ) 등을 관 속에 넣었다.
그림 문자, 영혼 불멸, 사후 세계, 시신, 미라, 사자의 서
48
이집트 문명 때 (ㅌ )과 ( )을 사용하였다.
태양력, 10진법
49
( )에서 알파벳의 기원인 ( )를 사용하였다.
페니키아, 표음 문자
50
( )는 솔로몬왕 시대에 ( )를 맞았고 ( )를 믿는 ( )를 창시하였다.
헤브라이, 전성기, 여호와, 유대교
51
인더스강에서 갠지스강으로 문명이 이동한 이유는?
아리아인의 이동
52
인도 문명 때는 (ㅊ)와 (ㄱ)와 (ㅊㅈ)를 사용하였다.
청동기, 그림 문자, 철제 무기
53
아리아인이 원주민을 지배하기 위해 만든 엄격한 신분 제도는?
카스트
54
태양, 물, 불, 바람 등 자연 현상을 신격화한 것은?
브라만교
55
카스트 제도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쓰시오.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
56
중국 문명의 왕조의 순서는?
하, 상, 주
57
상 왕조는 ( )가 발굴되면서 구체적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화려한 ( )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 )의 ( )를 실시하였다. 또한 오늘날 ( )의 기원이 된 ( )을 사용하였고 ( )의 풍습이 있어 ( )도 행해졌다.
은허 유적, 청동기, 제정일치, 신권 정치, 한자, 갑골문, 조상 숭배, 순장
58
주가 실시하였던 것은?
봉건제
59
아시리아가 멸망하였던 이유 세 가지? (ㄱ,ㅅ,ㄱ~)
강압적, 세금, 강제 이주
60
아시리아가 멸망한 후 서아시아 세계가 여러 나라로 분열되었으나 ( )에 의해 다시 ( )되었다.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통일
61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는 ( ) 때 ( )를 맞았다.
다리우스 1세, 전성기
62
아시리아가 통일된 이유는? (ㄱ,ㅊ,ㅈ)
기마, 철제 무기, 전차
63
다리우스 1세는 ( )를 강화하였다.
중앙 집권 체제
64
다리우스 1세는 (1)을 파견하는 한편 ( )을 보내어 (1)을 감독하였다. 또한 ( )이라 불리는 도로망과 ( )을 정비하였고 ( )와 ( )도 통일하였다.
총독, 감찰관, 왕의 길, 역참, 화폐, 도량형
65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는 종교와 관습을 존중하는 ( )을 펼쳤다.
관용 정책
66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는 결국 ( )에게 정복당하였다.
알렉산드로스
67
다리우스 1세 때 전국을 몇 개로 나누었나요?
20개의 주
68
( )는 로마의 지배를 받았았었다. 그리고 ( )으로 번영하였지만 ( )에 멸망하였다.
파트리아, 중계 무역, 사산 왕조 페르시아
69
( )는 파트리아를 멸망시키고 ( )을 건설하였다.
사산 왕조 페르시아, 대제국
70
사산 왕조 페르시아는 ( )를 국교로 삼고 ( )으로 번영을 누겼지만 ( ) 세력에 멸망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중계 무역, 이슬람
71
(ㄱㅈ)적이고 (ㄱㅂ)적인 페르시아의 문화에서 ( )는 ‘( )‘과 ( )를 숭배하였다.
국제, 개방, 조로아스터교, 불, 아후라 마즈다
72
주 왕실이 수도를 동쪽의 ( )으로 옮긴 이후 왕실의 권위가 약해지고 제후들이 세력을 다투는 ( . ) 시대가 전개되었다. 이때 ( )가 등장하여 다양한 정치사상을 제시하였다.
낙읍, 춘추 전국, 제자백가
73
( )과 ( )를 바탕으로 한 도덕 정치를 주장한 ( 가) [ 자], ( )와 ( )을 강조한 ( 가) [ 자], ( ) 없는 ( )과 ( )를 강조한 ( 가), 엄격한 ( )의 적용을 강조한 ( 가) [ 자]
인, 예, 유가, 공자, 도, 무위장연, 도가, 노자, 차별, 사랑, 평화, 묵가, 법, 법가, 한비자
74
( )은 ( ) 사상을 바탕으로 중국을 최초로 통일하였다.
진, 법가
75
통일 후 진의 왕은 스스로를 첫 번째 황제라는 뜻의 ( )로 칭하였다. 그리고 ( )를 시행하였고 (ㅎ,ㄷ,ㅁ)를 통일하였으며 ( )를 통해 반대 세력을 억눌렀다. 또한 ( )을 축소하였다.
시황제, 군현제, 화폐 도량형 문자, 분서갱유, 만리장성
76
( )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최초로 유목 제국을 세웠다. 기원전 209년 ( )로 즉위한 ( )은 만리장성 이북의 초원 지대를 통합하고 ( )을 압박하였다.
흉노, 선우, 묵특, 한
77
( )은 흉노와 ( )을 맺었다. 이후 흉노는 ( )을 통해 큰 이익을 취하였지만 ( )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세력이 크게 약화되어 얼마 후 분열되고 말았다.
한, 화친 조약, 중게 무역, 한 무제
78
진이 멸망한 뒤 ( )가 ( )을 세우고 ( )을 수도로 삼고 ( )를 시행하였다. ( ) 때 군현제를 전국으로 확대했고, ( )를 정벌하였다.
고조, 한, 장안, 군국제, 무제, 흉노
79
( ) 때 ( )를 전국으로 확대하였고 ( )를 정벌하였다. ( )의 ( )을 계기로 실크로드라 불리는 ( )이 개통되었다.
무제, 군현제, 흉노, 장건의 서역 파견, 비단길
80
( )는 잦은 대외 원정으로 국가의 재정이 부족해지자 ( )과 (ㅊ), (ㅅ)을 국가가 독점하여 ( ), ( )하는 ( )를 실시하여 ( )을 확보하였다.
무제, 소금, 철, 술, 생산, 판매, 전매제, 재정
81
무제가 죽은 후 ( )이 ( ) 다툼을 벌여 국력이 쇠퇴하자 외척인 ( )이 ( )을 무너뜨리고 (1)을 세웠다. 그러나 (1)은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다 무너지고 ( )가 다시 나라를 세웠는데, 이를 ( )이라고 한다.
외척, 권력, 왕망, 한, 신, 광무제, 후한
82
한의 사회는?
호족사회
83
한대에는 ( )를 소유한 ( )들이 지방의 ( )을 지배하며 ( )을 통해 ( )로 진출하여 ( )를 주도하였다.
대토지, 호족, 농민, 추천, 관료, 중앙 정치
84
작은 도시 국가?
폴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