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OSI 7 Layer 특징
물리계층(1)
2
OSI 7 Layer 특징
데이터링크계층(2)
3
OSI 7 Layer 특징
네트워크계층(3)
4
OSI 7 Layer 특징
전송계층(4)
5
OSI 7 Layer 특징
세션계층(5)
6
OSI 7 Layer 특징
표현계층(6)
7
OSI 7 Layer 특징
응용계층(7)
8
정보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한 뒤 각각의 데이터에 송수신 주소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한 데이터 전송단위이다
패킷
9
1계층 장비
리피터
10
1계층 장비
허브
11
2계층 장비
스위칭 허브
12
2계층 장비
NIC(Network Interface Card)
13
2계층 장비
L2 스위치
14
2계층 장비
브리지
15
스위치 장비의 주요 기술요소
STP(Spanning Tree Protocol)
16
스위치 장비의 주요 기술요소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17
3계층 장비
망 스위칭허브
18
3계층 장비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
19
3계층 장비
L3 스위치
20
3계층 장비
게이트웨이
21
3계층 장비
라우터
22
4계층 장비
L4 스위치
23
프로토콜이 가져야 할 기능
데이터처리, 제어, 관리적
24
서로다른 시스템이나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위한 표준화된 통신규약
프로토콜
25
프로토콜의 3요소
구문, 의미, 타이밍
26
프로토콜의 3요소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데이터형식, 코딩, 신호 레벨 등의 규정
구문(Syntax)
27
프로토콜의 3요소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로 조정과 에러 처리를 위한 규정
의미(Semantic)
28
프로토콜의 3요소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속도 조절과 순서 관리 규정
타이밍(Timing)
29
프로토콜 특징 전송이 가능한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지는 기법
단편화
30
프로토콜 특징 단편화되어 온 조각들을 원래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법
재조립
31
프로토콜 특징 상위 계층의 데이터에 각종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기법
캡슐화
32
프로토콜 특징 데이터 전송량이나 속도를 제어하는 기법
연결제어
33
프로토콜 특징 전송 중 잃어버리는 데이터나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검증하는 제어 기법
오류 제어
34
프로토콜 특징 송신과 수신 측의 시점을 맞추는 기법
동기화
35
프로토콜 특징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기기들이 접속할 수 있는 기술
다중화
36
프로토콜 특징 송신과 수신지의 주소를 부여하여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기법
주소 지정
37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
HDLC(High-level Data Control)
38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
PPP(Point-to-Point Protocol)
39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40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41
네트워크계층 프로토콜
IP(Internet Protocol)
42
네트워크계층 프로토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43
네트워크계층 프로토콜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44
네트워크계층 프로토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45
네트워크계층 프로토콜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46
네트워크계층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47
IPv4에서 IPv6으로 전환 방법
듀얼스택 터널링 주소변환
48
인터넷에서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여러 명의 특정한 그룹의 수신자들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49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에 1:1로 트래픽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유니캐스트 프로토콜
50
하나의 송신자가 같은 서브 네트워크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코콜
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
51
하나의 호스트에서 그룹 내의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프로토콜
애니캐스트 프로토콜
52
AS(Autonomous System;자치시스템;자율 시스템) 내에서 사용하는 거리벡터(Distance-Vector)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개발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RIP
53
규모가 크고 복잡한 TCP/IP 네트워크에서 RIP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신을 기준으로 링크 상태(Link-Stat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단 경로를 찾는 라우팅 프로코콜
OSPF
54
OSPF 특징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사용, 라우팅 메트릭 지정
55
RIP 특징
벨만-포드 알고리즘 사용, 15홉 제한
56
AS 상호 간(Inter - AS 또는 Inter-Domain) 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
BGP(Order Gateway Protocol)
57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주면서 종단 간의 사용자들에게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이다
전송 계층
58
전송 계층에 위치하면서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코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59
TCP특징
신뢰성 보장
60
TCP특징
연결 지향적 특징
61
TCP특징
흐름제어(Flow Control)
62
TCP특징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63
비연결성이고, 신뢰성이 없으며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Transport:4계층)계층의 통신 프로토콜이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64
UDP의 특징
비 신뢰성
65
UDP의 특징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서비스 제공
66
UDP의 특징
실시간 응용 및 멀티캐스팅 가능
67
UDP의 특징
단순 헤더
68
응용 프로그램 간의 대화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프로세스들의 논리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계층
세션 계층(5)
69
세션계층 프로토콜
NetBIOS(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
70
세션계층 프로토콜
RPC(Remote Procedure Call)
71
애플리케이션이 다루는 정보를 통신에 알맞은 형태로 만들거나, 하위계층에서 온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 수신자 장치에서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응용계층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변환 수행을 통해 송신 장치로부터 온 데이터를 해석한다 데이터 형식설정과 부호교환, 압축, 암. 복호화를 수행한다.
표현계층(6)
72
표현계층 프로토콜 이미지를 위해 만들어진 표준 규격
JPEG
73
표현 계층 프로토콜 멀티미디어(비디오, 오디오) 를 위해 만들어진 표준 규격
MPEG
74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 응용프로세스가 개방된 형태로 다양한 범주의 정보처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프로토콜 개체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응용계층(7)
75
응용계층 프로토콜
FTP(File Transfer Protocol) 포트번호(21)
76
응용계층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포트번호(80)
77
응용계층 프로토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포트번호(161)
78
응용계층 프로토콜
SSH(Secure Shell) 포트번호(22)
79
응용계층 프로토콜
Telnet 포트번호(23)
80
응용계층 프로토콜
IMAP(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ol) 포트번호(143)
81
응용계층 프로토콜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3) 포트번호(110)
82
응용계층 프로토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포트번호(25)
83
통신을 원하는 두 단말장치가 패킷 교환망을 통해 패킷을 원활히 전달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X.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