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お問い合わせ
ログイン
지구과학
  • 송윤지

  • 問題数 41 • 5/27/2024

    記憶度

    完璧

    6

    覚えた

    15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선캄브리아시대 기간?(단위:억)

    46 ~ 5.4

  • 2

    중생대 기간?(단위:억)

    2.5 ~ 0.66

  • 3

    발산형 경계에서 생길 수 있는거

    열곡대, 해령

  • 4

    습곡산맥, 호상열도 각각 어디서 생성?

    섭입 당하는 쪽이 육지, 섭입 당하는 쪽이 바다

  • 5

    대-대 습곡산맥 대표

    히말라야 산맥, 알프스 산맥

  • 6

    인도 언제 북반구?

    약 4천 200만년 전

  • 7

    판게아 언제?

    2억 4천만년 전

  • 8

    발견 순서

    대륙이동설, 맨틀 대류설, 음향 측심법, 해저 확장설

  • 9

    유문암질 어디서 생성

    수렴형 경계

  • 10

    현무암질, 유문암질 각각 온도

    고온, 저온

  • 11

    주상절리 대표

    제주도 용두암, 한탄강 재인 폭포, 백두산, 제주도, 독도,울릉도, 철원

  • 12

    주상절리 특징

    신생대, 현무암질 마그마 - 현무암, 급격히 식음 - 기둥 모양

  • 13

    쇄설성 퇴적암 입자 크기 (~1/16 , 1/16~2 , 2~ 순으로)

    셰일, 모래, 자갈

  • 14

    자갈

    역암, 각력암

  • 15

    화산재

    응회암

  • 16

    화산암괴

    집괴암

  • 17

    화학적 퇴적암?

    석회암(침전), 처트, 암염

  • 18

    사층리 특징

    수심 얕은 곳에서 바람 or 흐르는 물, 환경: 사막, 수심 얕은 곳에서 , 물&바람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곳

  • 19

    점이층리 특

    위로 갈수록 입자 크기 감소, 수심 깊은 저탁류에서 다양한 크기의퇴적물이 한꺼번에 쌓일때 형성, 대륙대에서, 심해저에서, 깊은 호수에서

  • 20

    톼적구조가 정상적(역전X)인 경우

    사층리: 아래로 갈수록 폭 좁아짐, 점이층리: 아래로 갈수록 입자 커짐, 연흔: 위 뾰족, 건열: 아래 뾰족

  • 21

    층리면(위에서 본 것)에서 알아 볼 수 있는 퇴적구조

    건열, 연흔

  • 22

    육상환경(육지 내에서 퇴적물이 퇴적되는 곳)의 예

    선상지, 강, 호수, 사막, 범람원, 빙하

  • 23

    순서대로

    사층리, 점이층리, 건열, 연흔

  • 24

    화석 발견 쉬운 곳

    연흔, 건열, 점이층리

  • 25

    퇴적 구조 잘 발견되는 암석

    셰일, 이암

  • 26

    점토 속성 작용 받으면

    이암, 셰일, 점토암

  • 27

    쇄설성 퇴적암

    역암 , 사암, 셰일, 응회암 , 집괴암

  • 28

    사암은 주로 ○○로 이루어져 있다.

    석영

  • 29

    공룡 화석 언제

    중생대

  • 30

    정단층은 어디서 많이 발생

    발산형 경계

  • 31

    경사가 급한 산지~평지 사이에서 유속이 급격히 느려지며 자갈, 모래,토사가 부채꼴로 퇴적

    선상지

  • 32

    - 모래, 진흙 퇴적 - 연흔, 건열 - 계절에 따라 층리가 주기적으로 형성

    호수

  • 33

    - 강 하구에서 폭⬆️,유속⬇️ - 작은입자가 🔺️으로 퇴적 - 사층리

    삼각주

  • 34

    순서대로

    석호 사주

  • 35

    오른쪽부터(말풍선은 그 위치 다음으로)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 점이층리, 심해저

  • 36

    횡압력

    역단층

  • 37

    수렴형 경계

    횡압력, 역단층, 습곡

  • 38

    융기1 -> 침식 -> 침강 -> 퇴적(부정합면 형성) -> 융기2 -> 지표에 드러남 *지표에 드러난 경우만 문제에 나옴* = 부정합면이 1개 있을때 융기는 2번 함

    꼭 알아두기

  • 39

    별 흡수선 세기 온도 높은 순

    He, H, 금속 원소, 분자

  • 40

    별의 겉보기 밝기는

    거리(r) 제곱에 반비례

  • 41

    주계열성 - 거성 - 초거성 - 백색왜성 순서대로

    V, III, I, VII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