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한 가지 물질로 이루어진 물질과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ㅅㅁㅈ이다.
순물질
2
두 가지 이상의 순물질이 섞여 있는 물질과 성분 물질의 성질을 그대로 가지는 것은 ㅎㅎㅁ이다
혼합물
3
한 종류의 원소로 이루어진 물질을 순문질 중 한 가지인 ㅎㅇㅅㅁㅈ이다.
홑원소물질
4
성분 물질이 고르게 섞인 혼합물은 ㄱㅇ ㅎㅎㅁ이다
균일 혼합물
5
성분 물질이 고르지 않게 섞인 혼합물은 ㅂㄱㅇ ㅎㅎㅁ이다.
불균일 혼합물
6
다른 물질과 구별되는 그 물질만이 나타내는 고유한 성질은 ㅁㅈㅇ ㅌㅅ이다.
물질의 특성
7
순물질은 ㄲㄴㅈ과 ㄴㄴㅈ(ㅇㄴㅈ)이 일정하지만, 혼합물은 일정하지 않다.
끓는점, 녹는점, 어는점
8
물질이 끓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는 ㅇㅇㅇ이다.
끓는점
9
입자 사이에 잡아당기는 힘이 강할수록 그 힘을 끊는 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끓는점이 (높다,낮다)
높다
10
외부 압력이 높아지면 끓는점이 (높아진다,낮아진다) 또한, 외부 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이 (높아진다,낮아진다)
높아진다, 낮아진다
11
물과 소금물을 가열할 때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에서 A와 B는 물과 소금물 중 어느 것인지 각각 쓰시오. A:__ B:__
소금물, 물
12
녹는점이 -114, 끓는점이 78인 물질은 실온(약 20도)에서 (고체,액체,기체) 상태이다.
액체
13
ㅇㅇ는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이며, 같은 물질인 경우 양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밀도
14
밀도와 관련된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더운 여름철에는 물고기가 수면 가까이 올라와 입을 뻐끔거린다.
15
ㅇㅇㅇ는 어떤 온도에서 용매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g수이다.
용해도
16
용햐도 곡선 상의 점은 그 온도에서의 ㅍㅎ ㅇㅇ이다.
포화 용액
17
불포화 용액을 포화 용액으로 만드는 방법
온도를 낮춘다, 용질을 더 넣는다
18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 ), 압력이 ( ) 증가한다.
(온도) 낮을수록, (압력) 높을수록
19
40도 물 25g에 어떤 고체 물질 30g을 넣고 잘 저어 녹인 후 거름종이로 걸렀더니 고체 7g이 걸러졌다. 40도에서 물에 대한 이 물질의 용해도는?
92
20
용해도에 대한 설명으로 옿은 것을 고르면?(2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물질의 특성이다., 일반적으로 고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21
그림은 여러가지 고체 물질의 용해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40도 물 50g에 질산 칼륨 31.5g이 녹아 있는 용액은 불포화 용액이다.
22
80도 물 200g에 이 고체 물질을 녹여 포화 용액을 만든 후 60도로 냉각할 때 석출되는 고체 물질의 질량은 몇 g인가?
100g
23
시험관 6개에 같은 양의 탄산음료를 넣은 후 그림과 같이 장치하고 발생하는 기포의 양을 관찰하였다. 옳지 않은 것은?
기포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험관은 F이다.
24
기체의 용해도와 관련된 현상 중 그 원인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탄산음료의 뚜껑을 열면 거품이 발생한다.
25
그림은 같은 부피의 수소와 산소, 같은 부피의 수증기와 물의 질량을 비교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같은 물질인 경우 입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밀도가 크다.
26
원유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증류탑으로 보내면 끓는점이 (높은,낮은) 물질일수록 증류탑의 위쪽에서 분리된다.
낮은
27
액체 A와 B의 혼합물를 분별 깔때기에 넣고 잠시 기다렸더니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층으로 분리되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액체 B를 비커에 받아 낼 때는 분별 깔때기의 마개를 닫아야 한다.
28
질산 칼륨 50g과 황산 구리 5g이 섞여 있는 혼합물을 80도 물 50g에 모두 녹인 후 20도로 냉각할 때 결정으로 석출되는 물질의 이름과 질량(g)을 쓰시오
질산 칼륨, 34.05
29
염화 나트륨 10g과 질산 칼륨 80g을 80도 물 50g에 모두 녹인 후 0도로 냉각할 때 석출되는 물질의 이름과 질량(g)을 옳게 짝 지은 것은?
질산 칼륨 - 73.2g
30
오른쪽 그림은 염화 나트륨과 붕산의 온도에 따른 용해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80도 물 200g에 염화 나트륨과 붕산을 각각 30g씩 모두 녹인 후 20도로 냉각할 때 결정으로 석출되는 물질과 그 질량을 옳게 짝 지은 것은?
붕산 - 20.0g
31
그림은 물, 에탄올, 소금, 모래가 섞인 혼합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C에서 분리되는 물질을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모래, 에탄올, 소금
32
그림은 수권을 구성하는 물의 분포를 나타냈다. A와 B에 해당하는 물의 형태를 옳게 짝 지은 것은?
A: 빙하, B: 지하수
33
부족한 수자원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폐수 처리 시설 강화 ㄴ. 해수의 담수화 장치 설치 ㄷ. 식목 사업 및 산림 면적의 확대
ㄱ, ㄴ, ㄷ
34
A~C의 명칭을 쓰시오.
혼합층, 수온 약층, 심해층
35
A~C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A층의 두께는 바람의 세기가 셀수록 두껍다 ㄴ. B층은 연직 방향으로 대류가 활발하게 일어난다 ㄷ. C층은 계절에 따른 수온의 변화가 크다
ㄱ
36
그림은 위도별 해수의 층상 구조와 수온의 연직 분포를 나타냈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표층 수온은 저위도로 갈수록 높다 ㄴ. 중위도는 저위도보다 바람이 강하다 ㄷ. 고위도 해역에는 혼합층만 나타난다
ㄱ, ㄴ
37
표층 해수의 염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날 수 있는 해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해수의 결빙(물→얼음)이 일어나는 해역 ㄴ. 강수량에 비해 증발량이 많은 해역 ㄷ. 육지로부터 하천수가 많이 유입되는 해역
ㄱ, ㄴ
38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 여름철의 평균 표층 염분 분포를 나타냈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동해보다 황해의 염분이 낮다 ㄴ. 동해는 황해보다 하천수의 유입이 많다 ㄷ. 전 세계 해양의 평균 염분보다 높게 나타난다
ㄱ
39
그림은 겨울철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수온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같은 위도에서 동해와 황해보다 수온이 높은 까닭과 가장 관련이 깊은 동해의 특징은?
난류의 세력이 강하다
40
그림은 어느 날 인천 앞바다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바닷물의 흐름을 측정하여 나타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와 (나)는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41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 해류의 분포를 나타냈다. A~E 중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흐르는 난류의 근원이 되는 해류의 기호와 이름을 쓰세요.
E, 쿠로시오 해류
42
다음은 조석의 여러 가지 현상을 설명한 것이다. (가) 해안에서 밀물과 썰물에 의한 해수의 흐름 (나) 만조와 간조의 해수면의 높이 차가 가장 클 때 (나) 만조와 간조의 해수면의 높이 차가 가장 작을때
조류, 사리, 조금
43
바닷물을 비롯해 하천수, 호수, 지하수, 빙하 등의 형태로 존재하며, 지구에서 물이 분포하는 영역은 ㅇㅇ이라 한다. 또한, "을 구성하는 물은 크게 ㅇㅇ와 소금기가 없는 ㅇㅇ로 나눌 수 있다.
수권, 해수, 담수
44
수권은 지구에서 물이 분포하는 영역이다. (O,X) 수권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빙하이다.(O,X)
O, X
45
수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담수 중 지하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46
그림은 수권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에 해당하는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A: 해수, B: 빙하
47
물은 다양하게 이용되며, 인간에게 꼭 필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ㅇㅇㅇ이라고 한다.
수자원
48
수자원의 용도로 사용되는 용수로는 ㅇㅇ용수>ㅇㅇ용수>ㅇㅇ용수>ㅇㅇ용수
농업, 유지, 생활, 공업
49
바닷물은 ㅇㅇ 에너지를 흡수하여 따뜻해진다. 바다의 표층 수온은 ㅇㅇ 지방에서 가장 높고 ㅇ위도로 갈수록 낮아진다.
태양, 적도, 고
50
염류는 해수에 녹아 있는 여러 가지 물질이다. ex)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ㅇㅇ은 해수(바닷물) 1kg에 녹아 있는 ㅇㅇ의 총량을 g 수로 나타낸 것이다.
염분, 염류
51
염분이 낮은 바다는 바다로 흘려드는 큰 강이 있어 유입되는 담수의 양이 (많아,적어)지는 지역 염분이 높은 바다는 증발이 (많이,적게) 일어나고, 비가 (많게,적게) 내리는 지역
많아, 많이, 적게
52
ㅇㅇㅇ ㅇㅇ ㅇㅇ은 바다의 염분은 지역마다 달라도 전 세계 모든 바다에 녹아 있는 염류 사이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염분비 일정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