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전환시키는 장치는?
MCU (Motor Control Unit)
2
전자제어 디젤엔진에서 진단장비를 활용하여 연료보정량을 측정하였을 때 얼마 이상인 경우 불량한가?
±4mm이상
3
디젤기관 연소실 중 와류실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직접 분사식에 비해 열효율이 높다
4
자동차 전조등 시험 전 준비사항으로 틀린것은?
공차상태에서 측정한다
5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안전플러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안전플러그가 탈거된 상태에서는 엔진을 통한 주행만 가능하다
6
디젤엔진의 예열플러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연소실에 장착되며, 연소실 내부의 공기온도를 상승시켜 시동을 향상시킨다
7
현가장치 이상 시 나타나는 증상으로 틀린 것은?
브레이크 풀림
8
자동차 편의장치 중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통신 안전성을 높이는 CAN통신을 사용한다.
9
크랭크축 앤드플레이 간극이 크면 발생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밸브 간극의 증대
10
유압식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단면적이 4cm이고, 마스터 실린더 내 푸시로드에 작용하는 힘이 80kgf 라면, 단면적이 3cm인 휠 실린더의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은?
60kgf
11
타이어 공기압 경보정치(TPMS)의 경고등이 점등될 때 조치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측정된 타이어에 공기주입
12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주요 제어기능의 아닌 것은?
차속제어
13
현가장치에서 드가르봉식 쇽업소버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쇽업소버의 작동이 정지되면 질소가스가 팽창하여 프리 피스톤의 압력을 상승시켜 오일 챔버의 오일을 감압한다.
14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에서 연료전지의 열관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기 위해 펠티어 열전소자 쿨러로 냉각을 제어한다
15
전기사용자동차의 에너지 소비효율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1
16
2행정 디젤엔진의 소기방식이 아닌 것은?
가변 벤튜리 소기식
17
발전기 B 단자의 접촉 불량 및 배선 저항과다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은?
B단자 배선 발열
18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EV 모드 운행 중 보행자에게 차량 근접에 대한 경고를 하기 위한 장치는?
가상엔진 사운드 장치
19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의 데이터 SOH에 대한 의미를 설정한 것으로 옳은 것은?
배터리의 내부저항 상승 및 전압 손실 등으로 발생한 배터리의 노화를 알수 있는 값
20
차선이탈경보장치(LDW) 및 차선이탈방지 시스템(LKA)제어의 미작동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한 쪽 차선만 인식될 경우 LDW/LKA 비활성화
21
고전압 배터리 셀 모니터링 유닛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로 틀린 것은?
배터리 전압 센싱부의 이상 / 저전류
22
전자제어앤진에서연료차단(fuel cut)에대한설명으로틀린것은?
엔진의고속회전을위한준비단계이다
23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오일 공기빼기를 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브레이크 챔버를 교체한 경우
24
변속기에서 제3속의 감속비 1.5, 중감속 구동피니언기어의 잇수가 5, 링기어의 잇수 22, 구동바퀴의 타이어 유효반경 280mm 엔진회전수 330rpm으로 직진 주행하고 있다. 이때자동차의 주행속도 (km/h)는 약 얼마인가? (단, 타이어의 미끄러짐은 무시한다)
52.8
25
자동차애서 CAN 통신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
싱글 마스터 방식이다.
26
유압식 현가장치에서 로어(low)암의 점검항목이 아닌 것은?
인슐레이터 베어링
27
운행차 정기검사 시 배출가스 정화용 촉매장치 미 부착 자동차의 공기과잉률 허용기준은? (단, 희박연소방식을 적용한 자동차는 제외한다)
1±0.20 이내
28
수소가스를 연료로 사용되는 자동차에서 내압용기의 연료공급 자동 차단밸브 이후의 연료장치에서 수소가스 누설 시 승객거주 공간의 공기 중 수소농도 기준은?
1%
29
주행 중 조향핸들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브레이크 디스크 마모
30
VDC모듈(HECU)교환에 대한 일반적인 순서로 옳은 것은?
1➞2➞3➞4
31
자동차가 직선도로를 5초 동안 15m 이동하였다면, 이 자동차의 속도(km/h)는?
10.8
32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의 압축 수소탱크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유량 플로트 센서
33
무단변속기(CVT)의 제어밸브 중 라인압력을 주행조건에 맞도록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밸브는?
레귤레이터 밸브
34
SBW(shift by wire)가 적용된 차량에서 포지션 샌서 또는 SBW 엑추에이터가 중속(60km/h)주행 중 고장 시 제어빙법으로 옳은 것은?
변속단 상태 유지
35
다음 승용차용 타이어 표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05 / 65 / R / 14
14 : 림 외경 14mm
36
동력전달장치에서 토크컨버터와 유체클러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토크컨버터와 유체클러치는 변속기 입력축과 터빈이 연결되어 있다
37
DPF의구성요소가아닌것은?
PM센서
38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정상 아래 그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치는?
고전원전기장치
39
제동등과 후미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제동등과 후미등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40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기능에서 앤티 스쿼트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급가속 시 차량의 앞쪽이 들리는 현상을 제어한다.
41
2개의 코일 간의 상호 인덕턴스가 0.8H일 때 한쪽 코일의 전류가 0.01초 간에 4A에서 1A로 동일하게 변화하면 다른 쪽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240V
42
하이브리드 고전압 모터를 감시하는 방법이 아닌것은?
배터리 성능 검사
43
스티어링 휠에 부착된 스마트 크루즈 칸트롤 리모콘 스위치교환방법으로 틀린것은?
클럭 스프링을 탈거한다
44
네트워크 회로 CAN통신에서 아래와 같이 A제어기와 B제어기 사이의 통신선이 단선되었을 때 자기진단 점검 단자에서 CAN통신 라인의 저항을 측정하였을때 측정 저항은?
120Ω
45
전력제어 컨트롤 유닛(EPCU)의 구성품으로 틀린 것은?
배터리 관리 유닛 - BMU
46
기동전동기의 작동원리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
47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장치 정비 시 지켜야 할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하이브리드 컴퓨터의 커넥터를 분리해야한다
48
후측방 레이더 감지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 자동해제 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차량 운행이 많은 도로를 운행하는 경우
49
일체 차축 현가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선회 시 차체의 기울기가 크다
50
전동식 컴프레셔 바디와 인버터 조립 시 도포해야 하는 것은?
씨멀 구리스
51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작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토션바의 비틀림량은 조향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52
전자제어 디젤장치의 센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속 페달 위치 센서는 스로틀 위치 센서와 동일한 원리이다
53
전기자동차의 난방 시 고전압 PTC 사용을 최소화하여 소비전력 저감으로 주행거리증대에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는?
히트펌프 장치
54
디젤엔진에 적용되는 센서와 기능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PM 센서 - DPF 재생시기 제어
55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필터가 막히면 블로워 모터의 소음이 감소된다
56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점검을 위한 진단장비의 기능이 아닌것은?
게기판 경고등 표시
57
운행차 정기점검에서 소음도 검사 전 확인해야 하는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단, 소음 진동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한다.)
원동기
58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구의 용량이 정상일 때 전원 내부로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4.13
59
내경 87 mm, 행정 70 mm인 6기통 기관의 출력이 회전속도 5500rpm에서 90kW일 때 이 기관의 리터당 출력(kw/L)는?
36
60
과급압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흡입공기량이 많아지고 압축행정말에 압력이 급상승하여 노크를 유발하거나 크랭크기구 및 밸브기구에 부하를 가할 수 있다. 한계 이상의 배기가스가 돌아왔을때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배기 일부를 바이패스(by-pass)시켜회전에사용할배기량을조절하는방식의과급장치는?
웨이스트 게스트 과급장치 (Waste gate charger)
61
실린더 헤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열팽창이 커야 한다
62
자동변속기 유압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엔진 회잔수 측정은 계기판 엔진 회전수 게이지를 활용하여도 된다
63
전기자동차의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냉방성능과 관련하여 2개의 정압사이클과 1개 단열과정, 1개 교축과정으로 이루어진 냉방사이클은?
증기압축 냉동 사이클
64
전자제어 LPI 기관에서 인젝터 점검 방법으로 틀린 것은?
연료 리턴량 측정
65
전자제어 연료분사장치에서 인젝터 분사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지르코니아 산소센서의 전압이 높으면 분사시간이 길어진다.
66
동력조향장치의구성품이아닌것은?
수동 밸브
67
전기자동차 완속충전기(OBC)의 주요 제어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입력 DC 전원 규격 만족을 위해 역률 제어
68
열선식 (hot wire type) 흡입공기량 센서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질량유량의 검출이 가능하다
69
High speed CAN 파형분석 시 지선부위 점검 중 High-line이 전원에 단락되었을 때 측정파형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Low 파형은 종단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로 11.8v 유지
70
자동변속기의 고장을 진단하기 전에 미리 점검할 항목이 아닌 것은?
엔진의 공회전상태 및 이상여부 여부
71
가솔린엔진에서사용돠는연료의구비조건으로틀린것은?
세탄가가높을것
72
전자제어 디젤장치의 전기식 저압펌프 구동회로에서 순차적인 작동방법으로 틀린 것은?
ECU는 점화스위치 ON 후 연속적으로 연료펌프를 강제 구동시켜 시동지연을 방지한다
73
전기자동차 고전압장치 정비 시 보호장구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보호안경 대신 일반 안경을 사용해도 된다
74
자동차에 사용되는 교류발전기 작동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여자전류의 평균값은 전압조정기의 듀타율로 조정된다.
75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의 수소 저장장치에 고압으로 저장된 수소를 감압시켜 연료전지를 저압으로 수소를 공급시키는 장치는?
레귤레이터
76
전자제어 가솔린 엔진에 사용되는 센서 중 흡기온도 센서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엔진 시동과 직접 관련되며 흡입공기량과 함께 기본 분사량을 결정한다
77
정격출력이80ps/4000rpm인자동차를엔진회전수제어방식 (Lug-Down 3모드)으로배출가스를정밀검사할때2모드에서엔진회전수는?
엔진정격회전수의90%, 3600rpm
78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Y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Y결선에서는 선전류와 상전류가 같다
79
진단 장비를 활용한 레이더 센서 보정방법으로 틀린것은?
주행모드가 지원되는 경우에도 수평계, 수직계, 레이저, 리플렉터 등 별도의 보정 장비가 필요하다.
80
차량에 사용되는 통신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LIN 통신은 멀티마스터 통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