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간접가열식 급탕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일러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2
급탕설비 중 개별식 급탕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배관길이가 길어 배관 중의 열손실이 크다.
3
펌프의 양수량이 10m3/min , 전양정이 10m, 효율이 80%일 때, 이 펌프의 축동력은?
20.4 kW
4
양수량이 1m3/min, 전양정이 50m인 펌프에서 회전수를 1.2배 증가시켰을 때 양수량은?
1.2배 증가
5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는 양수펌프의 축동력은? - 양수량 : 490L/min - 전양정 : 30m - 펌프의 효율 : 60%
약 4kW
6
다음 설명에 알맞은 통기관의 종류는? - 기구가 반대방향(좌우분기) 또는 병렬로 설치된 기구배수관의 교점에 접속하여 입상하며, 그 양기구의 트랩 봉수를 보호하기 위한 1개의 통기관을 말한다.
공용통기관
7
수량 22.4 m3/h 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터빈 펌프의 구경으로 적당한 것은? (단, 터빈 펌프 내의 유속은 2m/s로 한다.)
65mm
8
급수설비에서 펌프의 실양정이 의미하는 것은? (단, 물을 높은 곳으로 보내는 경우)
흡수면에서 토출수면까지의 수직거리
9
국소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급탕개소와 급탕량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10
급수방식 중 펌프직송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가수조방식에 비해 수질오염 가능성이 크다.
11
간접가열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직접가열식에 비해 소규모 급탕설비에 적합하다.
12
다음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 빈2 -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유체의 흐름에 적용한 것으로서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 및 압력에너지의 총합은 흐름 내 어디에서나 일정하다.
베르누이의 정리
13
다음 설명에 알맞은 통기방식은? - 회로 통기방식이라고도 한다. - 2개 이상의 기구트랩에 공통으로 하나의 통기관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루프통기방식
14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리버스 리턴(reverse-return) 방식은 전 계통의 탕의 순환을 촉진하는 방식이다.
15
수도직결방식의 급수방식에서 수도 본관으로부터 8m 높이에 위치한 기구의 소요압이 70kPa이고 배관의 마찰손실이 20kPa인 경우 이 기구에 급수하기 위해 필요한 수도본관의 최소 압력은?
약 170kPa
16
높이 30m의 고가수조에 매분 1㎥의 물을 보내려고 할 때 필요한 펌프의 축동력은? (단, 마찰손실수두 6m, 흡입양정 1.5m, 펌프효율 50%인 경우)
약 12.3kW
17
중앙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온수를 사용하는 개소마다 가열장치가 설치된다.
18
직경 200mm의 배관을 통하여 물이 1.5m/s의 속도로 흐를 때 유량은?
2.83 m3/min
19
건물 내의 배수계통에 통기관을 설치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배수관이 막혔을 때 예비로 사용하기 위하여
20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통기관의 종류는? - 오배수 수직관 내의 압력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배수 수직관 상향으로 통기수직관에 연결하는 통기관
결합통기관
21
볼류트 펌프의 토출구를 지나는 유체의 유속이 2.5m/s, 유량이 1m3/min일 경우, 토출구의 구경은?
92mm
22
다음 설명에 알맞은 급수 방식은? - 빈2 - 위생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다. - 정전으로 인한 단수의 염려가 없다.
수도직결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