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생명공학기술 교과서 (2단원 생명공학의 기초~3단원 조직배양의 기초)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82 • 4/26/2025

    記憶度

    完璧

    12

    覚えた

    30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 )는 특정 염기 서열을 인지하여 해당 부위의 DNA를 절단하는 제한효소

    크리스퍼

  • 2

    정리

    정리

  • 3

    정리

    정리

  • 4

    정리

    정리

  • 5

    세포의 주요 기관

    정리

  • 6

    핵은 DNA의 정보에 따라 ( )를 합성함으로써 ( )을 지시하고, 합성된 ( )는 핵공을 통해 세포질로 이동하여 ( )가 세포질에 도착하면 리보솜이 유전 정보를 특정 ( )로 번역함 소포체는 ( )과 ( )로 존재하며, 각가 기능은 다르지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령 RNA, 단백질 합성, mRNA, mRNA, 폴리펩타이드의 1차 구조

  • 7

    엽록체 안에는 막이 여러 겹으로 된 ( )가 있는데 이곳에서 엽록소는 ( )에 참여한다. 엽록체도 적은 정보량이지만 자체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빛이 없을 때에는 엽록소가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 )이다. 식물 조직을 어두운 상태에서 배양하면 ( )가 형성된다. 그리고 캘러스로부터 새싹의 발생을 유도해야 하는데 그 성공의 첫 징후는 바로 ( )가 만들어지는 일이다.

    그라나, 광합성 반응, 백색체, 캘러스, 초록색 엽록소

  • 8

    1865년 멘델은 완두를 이용한 실험에서 두가지 중요한 유전적 결론얻음 1) ( ) 또는 ( )는 독립적인단위로 다음 세대에 전달 2) 각 생물체는 양친으로부터 전달받은 유전 인자를 ( )씩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 )가 ( )보다 우선적으로 표현

    특징, 형질 유전 인자, 두 개, 우성 인자, 열성 인자

  • 9

    옥신의 경우 외부의 신호가 세포에 전달되어 유전자 발현이 조절된 결과로 여러 가지 반응이 나타나는 원리 1) ( )에 옥신과 결합하는 ( )의 수용체가 존재 2) 옥신이 수용체와 만나면 ( )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 )과 ( )하는 것을 촉진 3) ( )이 단백질이 결합할 때마다 세포는 이 결합 분자들을 ( )한다. 4) 그 결과 ( )에 의해 억제되었던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세포가 ( )하고 ( )한다.

    원형질막, 3차원적 모양, 유비퀴틴, 억제 단백질, 결합, 유비퀴틴, 제거, 억제 단백질, 생장, 발달

  • 10

    효소의 기질 특이성으로 인해 효소의 극히 한정된 영역인 ( )가 알맞는 ( )과 결합하여 ( )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분자 간에 화학 반응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 결합하거나 충돌할 만큼의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를 ( )라고 한다.

    활성 자리, 기질, 효소-기질 복합체, 활성화 에너지

  • 11

    무기 촉매에 의해 진되는 반응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반응 분자들의 ( )가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질수록 ( ) 또한 빨라지게 된다.

    운동속도, 반응 속도

  • 12

    세포내에서는 생합성에 의해 생체 물질의 분해, 합성, 보급 저장 드으이 이루는 것으로 간단한물질에서 순차적으로 복잡한( )이 만들어진다.

    유기 화합물

  • 13

    고정화 방법에는 물리적 방법인 ( )과 ( ), 화학적 방법인 ( )과 ( ) 그리고 ( )이 있다.

    흡착법, 포괄법, 공유 결합법, 가교 형성법, 혼합법

  • 14

    DNA와 RNA를 통틀어서 ( A )이라고 하며, A는,( ),( )로 구성되어 있다. 염기는 서로 ( )을 하고 있다.

    핵산, 인, 당, 염기, 상보적 결합

  • 15

    DNA에 저장된수많은 유전 정보는 광선, 온도, 영양과 같은 환경요인, 호르몬의 작용, 조직의 종류에 따라 활용 시기가 달라지는데 DNA에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해 주는 정보뿐만 아니라 ( )라는 조절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촉진자

  • 16

    효소는 ( )의 일종으로 모든 생화학적 과정에서 ( )을 한다. 생물체 내에서 이러나는 ( )를 촉진하며, 생물체 내에서만 합성되므로 ( )라고 한다. 효소는 기질과 결합하여 ( )를 형성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낮춘다.

    단백질, 중추적인 역할, 물질대사, 생체 촉매, 효소-기질 복합체, 활성화 에너지

  • 17

    반응이 끝나면 효소-기질 복합체는 ( )와 ( )로 분리된다. 분리된효소는 다른 기질과 결합하여 ( 을 한다.

    효소, 생성물, 촉매 작용

  • 18

    무균실 전체를 무균 상태로 만들어 쓰는 경우와 무균 작업대인 ( )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주로 ( )를 이용하고 있다.

    클린 벤치, 무균 작업대

  • 19

    고체 배지에 배양할 때에는 배양 용기를 올려 놓아야 할 ( )를 설치해야 하고, 액체 배지에 배양할 때에는 ( ) 또는 ( )가 필요하다.

    배양대, 진탕 배양기, 회전 배양기

  • 20

    배양실 내의 균일한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순환이 매우 중요하므로 환기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또한 인공 조명으로 인해 광원에서 많은 열이 나오므로 배양선반의 층별 ( )을 설치하여 강제로 배양실 내의 공기 순환시켜 온도 편차를 줄여야 함

    순환 팬

  • 21

    밤 낮 온도 차이 중에서 24~14도 ( )가 많이 차이나는 것이 좋다.

    밤온도

  • 22

    배양실의 광원은 ( )을 이용한다. 최근에는 ( )을 이용한다.

    형광등, LED인공광

  • 23

    기내에서 배양된 식물체의 특징 1) ( )에 ( )이 빈약 2) ( )로 ( )이 떨어짐 3) ( )의 ( )이열려 있어 ( )를 심하게 받음

    표피, 왁스층,스트레스, 광합성 능력, 잎, 기공, 기외 이식 시 수분 스트레스

  • 24

    ( )는 배지와 기구를 멸균하거나 멸균수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고압증기멸균기

  • 25

    고압 증기 멸균기는 ( )도, ( )기압, ( )분 이상 살균한다.

    121, 1.2, 15

  • 26

    ( )는 철제 기구, 유리 기구 및 여과지 등을 살균하거나 건조하기 위하여 사용

    건열 살균기

  • 27

    ( )는 열에 불안정하여 분해되기 쉬운 지베렐린, 제아틴, 항생제, 효소 등을 제균하기 위해 사용. 미세 구멍의 얇은 막으로 된 여과지를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여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여과 멸균

    여과 멸균기

  • 28

    여과멸균기는 열에 불안정하여 분해되기 쉬운 ( ),( ),( ) 등을 제균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미세구멍 즉, 지름 ( )의 얇은 막으로 된여과지를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거나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 )한다ㅏ.

    지베렐린, 제아틴, 효소, 0.22um, 여과 멸균

  • 29

    시험관은 주로 사면 배지를 만들어 ( )할 때 이용하며, 유리 플라스크나 플라스틱 용기는 증기 멸균이 가능한 ( )를 사용해야 한다.

    초대 배양, 내열성 용기

  • 30

    조직배양용 실험은 ( )를 사용한다. 정밀 실험을 위한 물의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1차로 ( )를 통하여 이온상태의 광물질을 제거하고 , 2차로 이 물을 ( )를 이용하여 ( )를 이용한다.

    1차 증류수, 순수 제조기, 증류수 제조기, 역삼투 증류 장치

  • 31

    ( )는 배지 조제 과정에서 배지의 산도 측정 및 배지 성분들을 잘 녹이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구

    교반기

  • 32

    ( )는 여러 개의 배양 용기에 동일한 양의 배지를 나누어 넣는 기구

    분주기

  • 33

    클린벤치는 공기 중에 있는 먼지를 ( )로 걸러 내고, ( )를 이용하여 모든 곰팡이와 세균을 걸러내어 ( )의 공기를 내보내어 무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

    1차 필터, 2차 헤파필터, 무균상태

  • 34

    pH미터를 이용하여 pH값을 보정하고, 배지의 pH를 측정하여 조정하기 실습순서 1) ( ) : 전극을 증류수로 씻은 후 흡습지로 물기를 제거한다음, ( )에 넣어 pH미터의 값이 7.0이 되도록 조절한다. 2) ( ) : pH값 보정 후 전극을 씻고 흡습지로 물기를 제거한 다음 측정하고자 하는 배지에 전극을 넣어 pH를 측정 3) ( ) : 일반적으로 배지의 pH는 ( )~( )범위로 조절하므로 측정한pH값이 정해진 기준보다 낮을 때에는 ( )를 조금씩 첨가하여 pH를 높여야 하고, 측정한 pH값이 정해진 기준보다 높을 때에는 ( )를 배지에 조금씨 ㄱ첨가하여 pH를 낮추어야 한다. pH미터 측정 후 전극을 증류수로 씻고 흡습지로 물기를 제거한 다음 ( )에 전극을 넣어 마르지 않도록 보관한다.

    pH값 보정, 표준 용액, pH측정, pH조정, 5.5, 6.0, 1N NaOH, 1N HCl, 전극 보관 용액(KCI 포화 용액)

  • 35

    식물의 조직 또는 기관이 ( )라는 특수 배양 환경에서 생장하는 경우 스스로 양분을 만들거나 생장하는 능력이 약하므로 배지를 통해 생장에 필요한 영양물질을 공급해야 한다.

    기내

  • 36

    배지에는 17가지 필수 원소가 ( )의 형태로 첨가되어야 한다. 질소는 ( )과 ( )의 형태로 흡수되고 인산은 ( )로 흡수되며 황은 ( ) 나머지는 ( ), ( ), ( )등과 같은 이온 상태로 흡수된다. 질소 원으로는 ( )보다는 ( )가 배지에 더 첨가된다.

    무기염, NH4+, NO3-, H2PO4 2-, SO4 2+, Ca 2+, Mg 2+, K+, 암모늄태, 질산태

  • 37

    배지에서 암모늄태질소는 ( )과 ( )을 촉진시키고 질산태질소는 ( )을 촉진시킨다.

    배 형성, 기관의 발생, 세포의 생장

  • 38

    철은 배지에서 산화하여 ( )이 되므로 배지에 ( )나 ( )를 첨가함녀 ( )의 착염을 형성함으로써 산화를 방지하고 서서히 용해 할 수 있게 된다.

    불용성, EDTA, Na2-EDTA, Fe-EDTA

  • 39

    조직배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탄소원은 ( )이므로 일반적으로 ( )~( )% 농도로 넣어준다. 당분은 배지에서 두 가지 중요한역할을 한다. 1) ( )의 ( )으로 이용 2) 배지의 ( )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 -> 고농도 염에는 ( )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

    설탕, 2, 5, 배양체, 영양원, 삼투압, 탈수현상

  • 40

    조직 배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장 조절제는 ( )과( ),( )이고, 그 밖에 ( )등이 있다.

    옥신, 시토키닌, 지베렐린, 아브시스산

  • 41

    옥신과 시토키닌의 양, 상대적 농도나 비율은 배양체의 분화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시토키닌<옥신 : ( )나 ( )의 분화와 발달 촉진 시토키닌>옥신 : ( )의 분화가 촉진

    캘러스, 뿌리, 막눈

  • 42

    제초제 색은 ( ), 계면활성제는 ( ), 살충제는 ( ), 살균제는 ( ), 생장 조절 억제제는 ( )이다. 루톤색은 ( )이다.

    노랑, 하얀색, 녹색, 분홍, 파랑, 파란색

  • 43

    ( )은 사이토키닌, ( )는 옥신이다.

    세포 분열, 세포비대

  • 44

    식물 생장 조절제 멸균방식 TDZ는 ( )한다. dicamba는 ( )하고, Zeatin riboside는 ( )한다.

    여과멸균, 여과멸균, 여과멸균

  • 45

    ( )는 새싹을 형성을 촉진시키는 작용 ( )는 세포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노화를 방지해주는 작용 ( )은 캘러스의 갈색 변화를 방지하는 데 효과

    티아민, 피리독신, 니코틴산

  • 46

    ( )은 세포분열과 생장을 촉진하는 데 효과가 있고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독성이 없어 일반적으로 ( )로 사용된다.

    미오이노시톨, 100mg/L

  • 47

    야자유는 미성숙한 야자 열매의 액체로 야자의 ( )에 해당한다.

    배젖

  • 48

    배양 지지 재료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 )이다.

    한천

  • 49

    한천은 해초에서 주로 수용성인 ( )와 ( )을 추출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한천의 사용 농도는 ( )~( )%이다.

    아가로스, 아가로펙틴, 0.7, 0.9

  • 50

    ( )는 슈도모나스 속의 세균에서 생산하는 다당류로서 순도가 높아 세포나 기타 정교한 배양에 이용되며, 교질의 투명도가 높기 때문에 배지 내부의 관찰이 쉽다. 사용농도는 0.3~0.5%이다.

    젤라이트

  • 51

    젤라이트는 ( )속의 세균에서 생산하는 ( )로서 순도가 높아 세포나 기타 정교한배양에 이용되며, 교질의 ( )가 높기 때문에 재비 내부의 관찰이 쉽다. 사용 농도는 ( )~( )% 정도이다.

    슈도모나스, 다당류, 투명도, 0.3, 0.5

  • 52

    ( )은 세균에서 생산되며 투명도가 높고 경화 능력이 높아 0.15~0.25%농도로 사용된다.

    파이타젤

  • 53

    파이타젤은 ( )에서 생산되며 투명도가 높고 ( )이 높아 ( )~( )% 농도로 사용

    세균, 경화능력, 0.15, 0.25

  • 54

    배지의 응고도는 pH( )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pH가 감소하면 배지가 물러지고, pH가 증가하면 배지가 다단해진다. pH( )이하인경우에는 배지가 굳지 않는다.

    6.0, 3.0

  • 55

    배지의 응고도는 pH6.0를 기준으로 했을 때 pH가 감소하면 배지가 ( ), pH가 증가하면 배지가 ( )해진다.

    물러지고, 단단

  • 56

    ( )은 미세 세공이 잘 발달한 무정형 탄소 집합체로서 수증기가 있는 곳에서 나무를 고온으로 탄화시켜 분말로 만들고, 불순물을 제거하여 탄소를 95% 이상 함유하고 있다.

    활성탄

  • 57

    활성탄의 장점 - 배지에 활성탄을 첨가할 경우 ( )와 ( )에 효과적인 경우 있음 - ( )이어서 배지의 ( )를 향상시킴 - ( )를 흡수 - 뿌리 부분을 어둡게 하여 배지의 온도를 높게 하고 ( )과 같은 효과 제공 활성탄 단점 - ( )들을 흡수함

    기관의 분화, 발달, 다공성, 통기성, 독성 물질, 토양, 유용한물질

  • 58

    1962년 ( )와 ( )에 의해 담배의 캘러스 증식용 배지가 개발되면서부터, 현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배지이다.

    무라시게, 스쿠그

  • 59

    질소, 인산, 칼륨 및 다량한 미량 원소가 함유된 ( )를 이용하여 간편한 배지 만들 수 있음

    하이포넥스

  • 60

    ( )은 다음에 배지를 만들 때 희석해서 사용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농축액

    저장액

  • 61

    pH미터의 pH ( )~( )로 조정

    5.7, 5.8

  • 62

    조직배양실 - ( )는 배양용기와 소도구의 세척과 건조, 배지의 조제 및 멸균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 - ( )는 무균 상태에서 식물체를 자르고 배양 용기에 접종하는 배양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 - ( )는 배양 작업이 이루어진 기내 배양 식물 조직을 순조롭게 생육시키는 것 - ( )은 기내에서 배양한 식물체를 노지에 심기 전에 외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경화시키는 곳

    준비실, 무균실, 배양실, 순화실

  • 63

    준비실은 ( )와 ( )의 세척과 건조, 배지의 ( ) 및 ( )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

    배양 용기, 소도구, 조제, 멸균

  • 64

    무균실은 무균 상태에서 ( )를 자르고, 배양 용기에 ( )하는 등 ( )이 이루어지는 곳

    식물체, 접종, 배양 작업

  • 65

    배양실은( )이 이루어진 ( )을 순조롭게 생육시키는 곳

    배양 작업, 기내 배양 식물 조직

  • 66

    순화실은 ( )에서 배양한 식물체를 ( )에 심기 전에 ( )에 적응할 수 있도록 ( )시키는 곳

    기내, 노지, 외부 환경, 경화

  • 67

    조직배양용 기구의 분류 - ( )는 배지, 배양 기구, 배양 식물체를 살균할 때 필요한기구 - ( )는 배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필요한 기구 - ( )는 무균 상태에서 식물을 자르고 배양 용기에 접종할 때 필요한 기구 - ( )은 기내 식물 조직의 배양에 필요한 기구

    멸균용, 배지 조제용, 재료의 분리 및 이식용, 배양용

  • 68

    고압 증기 멸균기의 용도와 사용법 - 고압증기 멸균기는 ( )와 ( )를 ( )하거나 ( )를 만드는 데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 )도, ( )기압, ( )분이상 살균하며, 살균시간은 ( )이 많아짐에 따라 길어짐

    배지, 기구, 멸균, 멸균수, 121, 1.2, 15, 배지의 양

  • 69

    pH미터를 이용한 배지의 산도 조절 - 배지의 산도 측정 및 조정은 ( )를 이용하는데 배지의 pH값이 정해진 기준보다 낮을 때에는 ( )~( )를 배지에 조금씩 첨가하여 pH를 높여야 하고, 측정한pH값이 정해진 기준보다 높을 때에는 ( )~( )을 배지에 조금씩 첨가하여 pH를 낮추어야 함

    pH미터, 0.1, 1N NaOH(수산화나트륨), 0.1, 1N HCI(염산)

  • 70

    조직배양의 5단계는 ( )-> ( )->( )->( )->( )

    시료의 준비, 초기 배양, 대량 증식, 유묘의 신장과 발근, 기외 이식 및 순화

  • 71

    식물 조직 배양을 위해 갖추어야 할 시설 중 배지의 조제가 이루어지는 곳은

    준비실

  • 72

    주로 배지를 살균하거나 멸균수를 만들 때 이용되는 조직 배양용 기구의 명칭과 살균에 적합한온도 최소 시간을 쓰시오

    고압증기멸균기, 121도, 15분

  • 73

    액체 배지를 이용한배양 시 배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구

    진탕 배양기, 회전배양기

  • 74

    무균실에서 식물체를 자르고 배양 용기에 접종하는 작업을 하는 데 필요한 기구

    클린벤치

  • 75

    메스플라스크, 메스실린더, 피펫, 마이크로 피펫의 공통점

    정량용 기구

  • 76

    옥신의 종류 5개 시토키닌 종류 5개

    NAA, IAA, IBA, 2,4-D, dicamba, 제아틴, 키네틴, BA, BAP, 2iP

  • 77

    지베렐린 또는 항생제 등을 첨가한배지의 살균 방법으로 고압 증기 멸균기 사용이 부적절한이유

    열에 약하기 때문에

  • 78

    지베렐린 또는 항생제 등을 첨가하 배지의 살균 방법으로 적절한 살균 방법은 ( )로 살균한용액을 ( ) 후 배지가 ( ) 전에 첨가함

    여과 멸균기, 배지 살균, 굳기

  • 79

    배지의 산도를 측정한 결과 Ph4.8이었다. 배지의 pH를 5.8로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는 ( )이고, 조절방법은 ( )~( )N ( )을 배지에 조금씩 첨가하여 pH를 조절함

    pH미터, 0.1, 1.0, 수산화나트륨

  • 80

    기내 조직 배양한 식물체의 가장 이상적인 순화환경조건 1) 온도 : 순화 초기 ( ) 내외로 유지하다가 서서히 ( )를 낮춤 2) 광도 : 초기에 ( )~( )% 이상 ( )하다가 서서히 ( )을 증가 3) 습도 : ( )에 상대 습도를 ( )~( )% 유지하다가 서서히 낮춤

    25도, 온도, 70, 90, 차광, 광량, 순화 초기, 90, 100

  • 81

    고체 배지 순서 ( ) -> 시약 계량 및 혼합 ->( )-> pH조절 -> ( ) -> 분주 및 살균 -> ( )

    증류수 교반, 배지 정량, 한천 첨가 및 녹이기, 배지 식히기

  • 82

    고체 배지 순서 증류수 교반-> ( )-> 배지 정량-> ( )->한천 첨가 및 녹이기 -> ( ) -> 배지 식히기

    시약 계량 및 혼합, pH조절, 분주 및 살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