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옛날 아동 및 여성 근로의 실태는?
저임금, 장시간 근로(일 14~18시간), 안전/건강 문제 취약
2
노동법의 제정 역사는 1802년 ( A ) 1819년 ( B ) 1833년 ( C )으로 전개
A: 건강과 윤리법 B: 면직공장법 C: 공장법
3
노동법은 - ㅇ세미만 어린이 고용 금지 - ㅇㅇ세 미만 어린이 ㅇ시간 근로 제한 - ㅇㅇ ~ ㅇㅇ세 미성년자 ㅇㅇ시간 근로 제한 - ㅇㅇ세 미만 야간 근로 금지 - 이후 유럽각국, 미국 등으로 확산
9 14, 9 13, 18 18
4
사회문제와 사회주의 사상이 등장하게 된 계기를 설명하시오.
급속한 도시화, 빈부격차, 열악한 노동환경 등 사회문제 확대
5
사회문제와 사회주의 사상의 등장에서 A -> B -> C
A: 시민혁명 B: 자유와 평등 C: 사업주와 노동자의 계급 갈등
6
자본주의의 한계를 주장한 것은?
마르크스의 자본론
7
마르크스는 역사는 계급 간의 투쟁이라고 하였다. ㅇㅇ VS ㅇㅇ
부르주아지, 프롤레타리아트
8
마르크스는 ㅇㅇ을 통해 노동자가 주인이 되는 궁극적인 ㅇㅇ 도래 확신
계급투쟁, 공산사회
9
마르크스는 변혁의 주체를 누구라고 생각했나?
노동자
10
레닌(노동운동가), 볼셰비키 혁명, 소련 탄생, 동유럽, 중국, 쿠바, 베트남 ㅇㅇ
공산혁명 폭력 수반 학살
11
근대시민법 원리에서 어떤 것들이 수정되었나?
계약 자유의 원칙, 과실책임의 원칙, 형식적 자유와 평등 -> 실질적 자유와 평등
12
근대시민법 원리에서 계약자유의 원칙의 어떤 것이 수정되었는가?
근로조건의 최저기준 설정, 해고의 제한 등
13
근대시민법 원리의 과실책임 원칙의 어떤 부분이 수정되었는가?
무과실책임원칙 확립(산업재해)
14
근대시민법 원리에서 자유와 평등이 형식적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변하였는가?
노동조합 설립 및 근로3권(노동3권) 보호
15
이념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는 ㅇㅇ VS ㅇㅇ ㅇㅇ VS ㅇㅇ 으로 나뉜다.
전체적 지지(이념의 우상화), 불완전함의 인정 전체적 반대(폐쇄적, 매도적), 열린 존중적 자세
16
이념운동과 노동운동은 ㅇㅇ을 실천하여 ㅇㅇ를 가져오는 행동이다.
이념, 변화
17
양대이념은? ㅇㅇ VS ㅇㅇ
자유민주, 인민(민중)민주(계급투쟁주의)
18
노동운동의 양대 노선은?
조합실리주의, 계급투쟁주의
19
노동운동의 조합실리주의의 특징은?
체제 내의 개선, 경제적 이익 추구
20
계급투쟁주의의 특징은?
체제 변혁 추구, 이념 실현 추구
21
전평의 다른 이름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22
전평의 특징은?
최대 세력, 남조선노동당 지지
23
대한노총의 다른 이름은?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