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도서관 장서환경의 변화를 설명해보시오.
도서관 장서는 계속해서 변해가고 있다. 원래는 인쇄자료(책, 잡지, 신문), 시청각 자료(녹음 및 영상자료), 특수자료(지도, 모형)만 있었다면 이제는 전자자료, 즉 전자정보(이북, 이저널)와 인터넷 정보자원(웹DB 등)까지 도서관의 장서에 포함되고 있다. 이용자 또한 오너쉽보다 엑세스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따라서 물리적 도서관보다 논리적으로 접근 가능한 도서관을 더 중요시한다. Colliection 중심이었던 도서관에서 Service 중심의 도서관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우리 도서관 것이 아니라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정보기술에 의해 정보자원의 형태와 이용방법이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도서관도 흐름을 따라가야하는 것이다. 실제로 전자책 소장 현황은 대학도서관으로 보았을 때 2014년 800만권이 2023년 4300만권으로변하였다. 공공도서관도 전자책 소장현황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정보원은 계속해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2
장서환경의 변화로 예상되는 문제
도서관의 예산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대학도서관의 경우에는, 자료구입비나 도서관 총 비용보다 전자 저널(계속 자료)에 쓰는 비용이 훨씬 많이 나간다. 공공도서관은 인쇄자료 비용을 줄이면서까지 전자자료를 구입하고 있다.
3
새로운 출판생태계와 도서관의 관계를 말하시오.
독립출판과 글쓰기 플랫폼이 늘어나고 있다. 텀블벅, 브런치 등이 그 예시다. 도서관은 예전처럼 ‘출판사에서 나온 책’만 장서로 삼지 않기 때문에, 브런치, 블로그, 텀블벅 출판물처럼 새로운 경로로 나온 책도 정보 가치가 있다면 수집 대상이 된다. 도서관이 정보 접근의 중심이 되려면, 출판 시장의 흐름과 콘텐츠 생산 방식 변화에 맞춰 장서 정책도 유연해져야 한다.
4
공유자원은 확대되고 있는가 줄어들고 있는가? 근거를 들어 설명하시오.
확대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도서관은 '얼마나 많은 책을 보유하느냐'로 평가받았지만, 최근엔 절대적 소장량보다는 공유자원 이용 가능성이 중요해졌다. 이는 연간 도서 구입 수 변화 추세를 보면 알 수 있다. 실제로 도서관은 도서 구입이 줄어드는 추세이다. 도서관은 단일 기관보다는 공동구매나 구독 모델로 전환하고 있다. 도서관 건물 연면적 변화를 보아도 알 수 있다. 종이책 중심에서 디지털 자원 중심의 공간 재편으로 1인당 면적이 넓어지고 있다.
5
공유자원을 이용하는 프로젝트의 예시
대표적으로 Google Books가 있다. 2004년 시작 하버드, 스탠퍼드 등 세계 주요 대학 20여개의 도서관이 참여한 프로젝트로 2천만 권 이상이 디지털화 되었다. 한국에는 책이음 서비스 등이 있다. 부산대학교 도서관도 상호대차를 통해 다른 분관의 도서들 대여할 수 있다.
6
오픈엑세스 오픈사이언스가 등장한 배경을 말하시오.
상업적 대형 출판사의 빅딜(Big Deal) 계약에 대한 거부감과 해결책을 모색하여 나온 결과이다. 오픈액세스: 연구결과를 공개하는 것(논문, 보고서, 특허)이다. 오픈사이언스: 연구과정을 공개하는 것(연구데이터, 소프트웨어, 검토자료)이다. 오픈데이터라고 생각하면 편하며, 오픈액세스에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갔다고 생각하면 된다. * 오픈액세스의 종류에는 기관 리포지토리가 있다. 이는 대학교, 연구기관 등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디지털 저장소다. 해당 기관의 교수, 연구원, 학생 등이 작성한 논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모아 공개한다. 연구자는 실제 출판되지 않은 논문이라도, 프리프린트(논문의 초안)나 심사 전 논문을 기관 리포지토리에 셀프 아카이빙 할 수 있다.
7
전자자료의 개념을 말하시오.
전자자료는 컴퓨터나 디지털 장비를 통해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자료를 말한다. 종이책처럼 물리적인 형태가 아닌, 전자적인 형태로 저장된 자료이다.
8
전자자료의 범주 3가지를 말해보시오.
오프라인(패키지형) 전자자료: 물리적 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CD-ROM, DVD, VCD 온라인(네트워크형) 전자자료: 인터넷으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계통의 전자출판물로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접근에 대한 권한 획득. 전자책, 전자저널, 웹 DB 웹 정보자원: – 웹으로 유통되는 각종 파일 단위의 전자출판물로 다운로드, 링크 수집. – e-image, e-thesis, e-patents, e-standards 즉, 기존에 물리적인 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전자자료에서 시작해서, 인터넷으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있어야만 활용할 수 있는 전자자료로 발전하였고 이제는 데이터베이스나, 파일이나 그냥 다 이용 가능. 로그 같은 것도 포함 되는 것이다
9
전자자료의 장단점(특징)을 말해보시오
장점 접근성과 검색성: 언제나 항상 도서관 내/외부에서 액세스 가능, 쉽게 검색 가능 상호작용성: 이용자들이 빠르게 읽고, 댓글을 달고, 수정할 수 있으며, 웹을 통한 피드백이 용이 링크 및 알림 기능: 하이퍼텍스트를 통해 관련 링크 제공 가능, 특정 기사에 대한 URL 제공, 게시되거나 출판된 자료에 대한 알림(alerts) 기능 제공 비용 절감: 인쇄 및 배포에 소요되는 비용 면에서 인쇄자료보다 저렴 유연성: 특정 포맷이나 인쇄, 배포 네트워크에 종속적이거나 제한을 받지 않음 단점 화면 읽기가 불편하거나 그래픽 품질이 떨어질 수 있음 이용자들에게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나 인터넷 기술에 대한 지식이 요구됨 소멸되기 쉬운 인용(웹사이트 변경 시 URL 인용은 무의미) 진본성이 의심됨. 저자에 대한 독자의 신뢰성 확보가 어려움 정보검색의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어려움
10
전자자료의 생애주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Electronic Resources Life Cycle 1. 발견 (Discovery of a Resource) 기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자원이 발견된다. 전화, 주제사서의 추천, 이용자 추천 등이 있다. 2. 시험 및 견적 요청 (Trial and Quote Request) 평가판을 요청하는 것이다. 평가판을 요청할 때는 FTE, 이용자, 사이트 수, 평가판 기간, 엑세스 방식 등을 고려해야한다. 3. 구입/가격 협상 (Acquisition/Price Negotiation) 수량, 아카이빙 권한 등을 고려하여 가격의 적정성을 판단하고 구독을 결정한다. 4. 계약 (Contract Negotiation) 가격협상과 함께 이루어지고 최종 이용자의 전자자료 사용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 5. 활성화/접근 제공 (Activation and Access) 이용자에게 어떤 방식으로 접근을 제공할지 선택하는 것이다. 주제색인, OPAC 등을 이용한다. 6. 통계 수집 (Statistics Gathering) 이용 통계를 통해 구독을 계속할지 아닐지 결정가능하다. 7. 문제 해결 (Troubleshooting) 만약 오류가 생기면 사서나 조직 내 전문가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 외부 공급 업체 또는 IT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함 8. 검토 및 갱신 (Review and Renewal)
11
전자자료의 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전자책: 전자책(e-book), 디지털북(Digital Book), 전자도서, 웹북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린다 전자저널: 전자적인 방식으로 생산, 배포되는 저널이다. 일반적으로 웹으로 출판된다. 데이터베이스: 전자형 데이터 파일을 접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DB이다. e-image, e-thesis, e-patents, e-standards 등이 있다
12
장서의 개념이 디지털 환경에서 어떻게 변했는지
인쇄 기반 장서에서 전자자료까지 장서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특성자체가 변하고 있기때문이다. 원래는 아예 인쇄자료만 장서였다면, 이제는 장서가 전자자료까지 확장되며 장서영역과 서비스 영역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디지털 자료가 늘어나면서 도서관은 자료를 꼭 소장하지 않아도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장서 구축과 서비스 제공의 구분이 흐려진 것이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장서개발이슈가 생겼다.
13
고먼이 이야기한 장서와 지금의 장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고먼은 장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1. 도서관이 소유하고 있는 물리적인 형태의 모든 자료(책을 비롯한) 2. 도서관이 소유하고 통제하는 자관의 무형의(즉, 전자형태의) 자료(CD-ROMs를 비롯한) 3. 다른 도서관이 소유하고 있지만 종합목록이나 상호대차제도 등에 의해 해당 도서관의 고객이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형태의 모든 자료 4. 도서관이 소유하지는 않지만 해당 도서관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원격 전자자료 2번째까지는 기존 도서관 장서의 개녀미다. 장서는 개념이 확장되고 있으며 디지털 장서의 개념은 도서관에서 온라인 접근 권리를 확보한 e-book뿐만 아니라, 웹 DB, 전자잡지/저널, 회색문헌, 인터넷 정보자원까지 포함한다.
14
IFLA의 디지털 장서개발정책의 요소
IFLA는 여러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아래는 그 요소이다. 1. 기술적 타당성: 기술적 고려사항 2. 기능 및 신뢰성: 검색 및 검색 성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3. 벤더(공급업체)의 지원: 이용자 교육 및 지원, 평가판 지원 4. 공급: 구매모델, 가격모델, 유지보수비용 5. 라이선싱: 환불, 구독취소 등 6. 인쇄 VS 전자형태의 대립이 있을 때 우선할 고려사항: 최신성, 비용 대비 가치 7. 전자자원의 검토
15
NISO의 좋은 디지털 장서의 요건 9가지를 말해보시오.
1.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명시적인 컬렉션 개발 정책에 따라 만들어진다. 2.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이용자가 컬렉션의 다음과 같은 특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설명되어야 한다: 범위, 형식, 액세스 제한, 소유권 및 컬렉션의 진본성, 무결성, 해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 등 3.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큐레이팅 되어야 한다. 즉, 전체 라이프사이클에서 적극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4.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널리 사용 가능하며, 불필요한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디지털 장서는 장애가 있는 사람도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보조 기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5.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지적재산권을 존중한다. 6.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측정이 용이한 표준화된 방식으로 이용 데이터나 다른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7.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상호운용성이 있어야 한다. 8.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이용자의 워크플로우에 통합되어야 한다. 9.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시간이 지나도 지속가능해야한다.
16
NISO의 좋은 디지털 장서 구축 프로젝트의 요건 6가지를 말해보시오.
1. 우수한 디지털 장서 구축 프로젝트는 실체가 있는 설계와 계획 요소를 가진다. 2. 우수한 디지털 장서 구축 프로젝트는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전문 지식을 갖춘 적절한 수준의 인력을 갖춘다. 3. 우수한 디지털 장서 구축 프로젝트는 관리를 위한 모범 사례를 따른다. 4. 우수한 디지털 장서 구축 프로젝트는 평가 계획을 가진다. 5. 우수한 디지털 장서 구축 프로젝트는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진보와 성과에 대한 정보를 널리 전파한다 6. 우수한 디지털 장서 구축 프로젝트는 디지털 컬렉션의 전체 라이프 사이클 및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고려한다.
17
전자 자료의 선정 기준은 무엇이 있는가?
‘이용자의 요구 + 도서관의 목적’에 부합하는 자료를 선정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 기준은 장서개발정책(전자자원개발정책)에 명시되어 있다. 1. 전자자료 가격 모델 2. 전자자료의 영구성 3. 이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성 4. 인증용이성 5. 접근성 6. 자관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및 물리적 요구사항 7. OpenURL의 사용. ( 메타데이터 요소를 포함한 URL 구문 또는 이의 추출과 전송을 표준화하는 프로토콜(자원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8. 출력 및 복사 옵션 9. 모바일 기기와의 호환성 10. 복본 및 기존 도서관 자료의 대체
18
전자자료의 선정기준 중 전자자료의 가격 모델 예시
1. 다양한 가격 정책 - 제공업체(출판사, 벤더, 어그리게이터)마다 상이한 수익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라이선스구독, 영구소장 여부 같은 것이다. - 전자저널 구독 비용과 인쇄저널 비용 비교가 필요하다. (뭐가 더 나을지) 2. 라이선스 계약 - 일정 기간 동안 자료 접근을 하기 위한 계약이다. - 구독 중단 했을 때 아카이빙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야한다. 3. 다년 계약(복수 연도 구독) - 출판사는 안정적인 시장 확보가 가능해서 좋고, 도서관은 인상률 확정에 따른 예산 예측이 가능해서 좋다. 4. 비용 책정 - 용자 수 기반: 동시접속자 수, FTE 등 - PPV(Pay Per View): 이용할 때마다 비용 지불 5. 빅딜(Big Deal) 계약 - 출판사의 저널을 패키지로 일괄 구독하는 방식이다. - 일반적으로 복수연도 계약을 한다. -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출판사는 발행하는 저널들을 대규모로 묶어서 팜) - 다양한 저널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성 확대된다. - 저널 선택권이 제한되어 이용률 낮은 저널도 포함된다. = 비용 발생 가능
19
전자책 수서 모델은 무엇이 있는가?
1. 인쇄본과 유사한 구입/계약 방식 일괄주문 (Approval Plan) : 도서관이 정한 기준에 맞는 자료를 출판사/벤더가 선별해서 자동 납품 확정주문 (Firm Order) : 사서가 개별적으로 필요 도서를 선정해 직접 주문 계속주문 (Standing Order) : 정기 간행물, 시리즈물 등을 정해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받는 방식 2. 전자 포맷에 적용되는 새로운 방식 Subscription (구독형) 일정 기간 동안 전자책에 접근 권한을 부여, 소유권 X, 기간 종료 시 이용 불가 PPV (Pay-Per-View) 이용 건수 기준으로 과금됨. 실제로 이용한 전자책에만 비용 발생(회 당) → 비용 효율적이지만 관리 필요 PDA (Patron-Driven Acquisition) 도서관이 전자책의 목록만 제공하고 이용자가 실제로 열람하거나 다운로드할 경우에만 자동 구입되는 방식(임계치) * PPV는 “보면 돈 내는 방식”, PDA는 “많이 보면 도서관이 사주는 방식”
20
전자책 구입/구독 모델 모델은 무엇이 있는가?
– 영구 접속(perpetual access) 방식(=구매 모델) – 구독 기반 방식 – Pay-per-View – PDA(Patron-Driven Acquisitions)
21
도서관이 제공하는 전자책은 장애인과 관련이 있는가?
전자책의 접근성은 단순한 편의의 문제가 아니라 법적 권리에 해당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정보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고, 정보·통신 접근에 있어서 차별 금지 조항 또한 존재한다. 이는 장애인도 동등하게 책을 ‘읽을 권리’가 있음을 법이 보장하고 있다. 전자책은 글자 크기 조절, 음성 출력, 색 대비 조정 등이 가능해서, 시각장애인, 난독증, 지체장애인 등 다양한 장애 유형을 지원할 수 있으며, 물리적 공간에 가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독서가 가능하자는 점에서 정보 접근의 평등성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2
디지털 장서개발정책을 분리형으로 만들 때 포함해야 하는 정보를 서술해라.
분리형 디지털장서개발정책의 주요 포함 내용 1. 전자자료의 검색 시스템의 성능 및 전자자료 내용에 대한 평가 2. 신뢰성, 지원, 정보의 유효성 등의 관점에서 벤더에 대한 평가 3. 전자자료와 관련된 제반 비용, 하드웨어, 유지보수, 보안 등 관련 비용에 대한 내용 4. 사용법 및 이용자 교육 5. 업데이트 주기 및 네트워크 요구사항 등
23
PDA 모델을 설명하고 일반 모델과 증거기반선정의 차이점을 말하시오.
PDA는 여러 종류가 있다. 1. 구매 모델 이용통계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구매하여 도서관 장서로 전환. 예: 일정 시간 이상 열람, 페이지 수 초과, 인쇄 등의 기준 충족 시 즉시 구매 2. 대출 모델 이용자가 다운로드를 시도하면 단기 대출이 실행됨. 전체 가격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지불함 수수료 누적이 책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 구매 전환 3. 이용 모델 페이지 수, 다운로드 횟수 등 실제 이용량에 따라 과금. 누적된 이용료의 합이 구매 가격을 넘으면 자동으로 구매됨 4. 증거기반 선정 (Evidence-Based Selection) 일정 기간 동안 이용자가 이용하면, 이용 통계 기반으로 사서가 선택하여 구매
24
디지털장서개발의 방법 3가지를 설명하시오.
1. 상용 디지털 자료(e-book, e-journal, 웹 DB 등)의 라이선스를 확보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쓰임. 장서개발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구독을 많이 함. 2. 아날로그 자료의 디지털화: 도서관이 소장자료(논문, 문서자료 등)를 스캔하는 등 방법으로 디지털화를 함. 3. 인터넷 정보자원(회색문헌, 링크 등)을 디지털파일로 아카이빙하기: 인터넷 정보자원/웹정보자원을 다운로드하여 도서관 서버에 축적
25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성 측면에서 원칙(고려사항)은 무엇이 있는지 말하시오.
1.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쉽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이어야 함 2. 상황에 맞는 도움말 화면 제공, 명확하고 일관된 용어 사용 필요 3. 이용자의 위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어야 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해야 함 4. 검색 옵션이 특히 중요(단순검색 및 고급검색을 모두 제공해야 하며, 제한검색이 가능해야 함)
26
전자자료의 영구성과 접근성을 설명하시오.
1. 영구성: 라이선스 기간 동안 전자자료 제공의 지속성, 라이선스 계약 종료 및 제공자의 공급 중단 후 전자자료에의 영구적인 접근 제공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2. 접근성: 모든 이용자에게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및 디자인적 요소를 따져보아야 한다. 특히 장애가 있는 이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요소가 있는지 본다
27
초기 전자책 프로젝트의 특징과 한계에 대해 서술하시오.
전자책 프로젝트 취지: 지식공유와 보존, 학술연구에 공동 활용하자는 좋은 취지로 만들어졌다. 구텐베르크도 애기 엄마가 애들 영어공부 시킨다고 많이 쓴다. 한계: 저작권 때문에 개인이 기부를 해야만 했으며, 당시에는 책을 직접 보고 일일히 타이핑 해야하는 기술적 한계도 있었다.
28
영구접근방식에 대해 출판사가 제기하는 문제점을 말하고, 어떤 서비스로 대응하면 좋을지 자신의 생각을 쓰시오.
사람들이 책을 안 산다고 문재점 제가함. 그래서 엠바고 빅딜 같은걸로 최대한 이득 보려고 함. 우리 도서관은 파노라마 프로젝트 등을 예시로 출판사와 도서관은 적이 아닌 상생하는 관계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함.
29
국외도서관이 하고 있는 전자자원 관련 이슈는 무엇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지 의견을 서술하시오.
구글북스.... 뭐라고 쓰지? 생각 좀 ㅠ
30
PDA의 특징을 말하고 사서가 어떻게 개입하면 좋을지 의견을 서술하시오.
도서관이 전자책의 목록만 제공하고 이용자가 실제로 열람하거나 다운로드할 경우에만 자동 구입되는 방식이다.음 내 의견 생각해보기
31
클라우드 컬렉션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무엇에 도움되는지 말하시오.
도서관들이 소장하고 있는 인쇄본의 디지털화를 하여 공동보존하는 것이다. 도서관은 디지털화된 자원을 공동보존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플랫폼을 설치하였다. 디지털화된 자료에 대한 인쇄본 폐기 또는 공동보존서고로 이관한다. 이는 공간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며, 비용을 절감한다
32
온라인 교육도 공유자원에 포함이 되는가?
도서관만이 아니라 웹 기반 공유자원도 장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위키피디아도 있고, 온라인 공개 강좌 (MOOC) 플랫폼 K-MOOC
33
전자자료의 출현과 발전 과정을 1960~70s, 1980s, 1990s로 나누어 설명해보시오.
1960~1970년대 → MARC 개발을 통해 전자 자료의 사용이 시작 됨. 온라인 목록을 통해 장서에 접근하게 됨. → OPAC 개발로 온라인으로 도서관 자료 검색 가능 → 도서관 간 서지데이터를 공유 가능해짐. → OCLC와 WorldCat, OPAC 등의 웹 기반 목록 출현 1980년대 → 검색 인터페이스가 탑재된 CD-ROM 형태의 전문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했다. 책이나 논문 전체 내용을 컴퓨터에서 검색 가능하다. 1990년대 → 웹 사용의 증가로 웹 기반 검색엔진이 개발되었다. → 전문, 데이터베이스, 전자책, 전자저널 등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34
데이터베이스란
– 쉽게 액세스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컴퓨터나 서버에 저장해 둔 데이터 집합이다. – 디렉토리, 색인/초록, 백과사전, 사전, 다른 참고정보원 등으로 구성 – CD-ROM DB에서 온라인 DB로, 이후 웹 기반 DB로 발전
35
도서관에서 향후 수집 가능성이 있는 전자 자료의 유형은?
블로그, 위키, SNS, 유튜브 등도 도서관 수집 대상이 될 수 있다
36
전자책의 발전과정은 어땠는가?
1945 버니바 부시의 하이퍼텍스트(링크, 인터넷에 대한 개념) 소개. 전자책의 대열을 형성함. 1968 전자책 용어가 사용되긴 하지만 현실화 되진 않음 1971 구텐베르크 프로젝트로 전자책 현실화 됨 1982 CD-ROM 도서의 등장 CD-ROM에 넣어진 전자책 1991 애플이 쥬라기 공원 이북 만들었음 1993 인터넷 무료도서가 등장. 인터넷을 통해 책을 읽을 수 있게 됨. - 이때까진 개인용 PC가 보급이 많이 되지 않아서 90년대 후반이 되어야 제대로 발전 됨 1998 E-Book 리더 출시 및 E-Book에 ISBN 부여 / NetLib 출범 2001 애플 아이팟 출시 2004 구글북스 프로젝트 시작 2007 아마존에서 킨들을 출시하면서 6만 권 전자책도 판매하기 시작함
37
초기 전자책 프로그램 예시를 2개 들어보시오.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일반 대중이 컴퓨터를 통해 쉽고 간단하게 책을 사용, 검색, 인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는 명확한 미션이 있었음. 전자책을 만들고 배포하겠다는 미션에서 시작함. 그래서 미 독립선언서 등 2천여권의 도서를 데이터베이스화 했다. 자발적 지원자를 중심으로 저작권 시효가 만료된 고전을 직접 입력, 전자책으로 만들어 배포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6만권 이상의 전자책을 구축,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애기 엄마가 애들 영어공부 시킨다고 많이 쓴다고 한다. 페르세우스 프로젝트 1987년 터프츠(Tufts) 대학에서 시작된 최초의 주제 특정적 인터넷 전자책 도서관이다. 주제는 고대 그리스의 역사, 문헌, 문화 등을 담고 있는 문헌을 제공한다. 페르세우스 프로젝트는 언어나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인류가 가능한 한 지적으로 접근 가능한 인류의 모든 기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8
초기 전자책 프로젝트의 의의와 한계를 말해보시오.
전자책 프로젝트 취지: 지식공유와 보존, 학술연구에 공동 활용하자는 취지였다. 좋은 취지다. 한계: 저작권 때문에 개인이 기부를 해야만 했으며, 당시에는 책을 직접 보고 일일히 타이핑 해야 하는 기술적 한계도 있었다.
39
전자책은 어떤 형태로 포맷되어 제공되는가?
XML/HTML(텍스트 위주 문서를 담거나 내용 검색에 유용) Flash(그림, 소리 등이 포함된 애니메이션 제작에 유용) PDF(거의 모든 플랫폼 호환 가능) ePUB(국제전자출판포럼에서 제정한 개방형 전자책 표준 규약)
40
전자저널의 특징은 무엇이 있는가?
대학도서관의 저널 컬렉션을 주도한다 상업적(구매 또는 구독) 또는 오픈 소스(무료)의 방식으로 이용한다 주로 PDF 파일 포맷이 사용된다.(원본 유지가 가능해서 pdf를 선호한다. 전통적인 학술지 구독과 가격 체계, 계약 방식과는 상당히 다르다. 전통 학술지 구매완 달리 라이선스 계약 관련 이슈가 많다.
41
멀티미디어의 특징은?
1. 모듈성: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 오디오/사운드, 비디오/동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는 모듈성이 존재한다. 모듈성은 개별미디어가 그냥 묶여있는게 아니라 매끄럽게 통합되어있고 개체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거다. 소리, 영상이 따로 분리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하면 된다. 각 미디어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저장과 편집이 쉬우며 이용자와 컴퓨터의 상호작용으로 정보를 공유한다. 2. 각 미디어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해서 저장과 편집이 쉽다. 이용자와 컴퓨터 상호작용으로 정보를 공유한다. ‣ 상호작용성(Interactive) : 여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생성 가능 ‣ 비선형성(Non-Linear) :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획득을 위해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따라가는 것이 아닌 원하는 정보가 있는 곳으로 연결해가며 정보를 획득 (드라마처럼 원하는 부분만 시청하는 것) ‣ 정보통합성(Integration) : 여러 형태의 매체가 통합되어 정보를 전달
42
웹 정보자원/인터넷 정보자원이란 무엇인가?
웹에서 접근, 검색,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지식정보이다. 전자자료(electronic resources)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43
디지털 장서(Digital Collections)란? 협의와 광의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협의: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호스트 컴퓨터에 축적되어 있는 다종다양한 디지털 자료의 집성체 광의: (협의) + 라이선스 계약을 통하여 온라인 접근 권리를 확보한 e-book, 웹 DB, 전자잡지/저널, 회색문헌, 인터넷 정보자원 등
44
장서개발 패러다임 2개를 말하고 Just (. ) 인지 설명 후 이 둘이 상호보완적인지 대립하는지 말하시오
소장 패러다임 vs 접근 패러다임 (서로 상호보완 되어야 함) 소장(Ownership) 패러다임: 도서관이 직접 자료를 소장하는 방식 실물 자료 수집 (책, DVD 등) 장기 보존 목적 필요할 수도 있으니 미리 확보 (Just in case: 혹시 몰라 미리) 접근(Access) 패러다임: 도서관이 자료를 꼭 갖고 있지 않아도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 전자저널, 웹 데이터베이스 같은 라이선스 기반 이용 전자자료는 저장보다는 접근 위주 디지털화로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 오픈 액세스 자료도 활용 필요할 때 바로 이용 (Just in time: 필요할 때 즉시)
45
디지털 장서개발의 방법 3가지
1. 상용 디지털 자료(e-book, e-journal, 웹 DB 등)의 라이선스를 확보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쓰임. 장서개발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구독을 많이 함. 2. 아날로그 자료의 디지털화: 도서관이 소장자료(논문, 문서자료 등)를 스캔하는 등 방법으로 디지털화를 함. 3. 인터넷 정보자원(회색문헌, 링크 등)을 디지털파일로 아카이빙하기: 인터넷 정보자원/웹정보자원을 다운로드하여 도서관 서버에 축적
46
디지털 장서개발정책의 방식은 2가지가 있다.
1. 별도의(분리형) 디지털장서개발정책 디지털 자료는 소유와 접근의 문제, 아카이빙과 보존의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도서관 장서개발정책과는 별도의 디지털장서개발정책을 개발한다. 대신, 기존의 장서개발 정책과의 일관성은 유지한다. 분리형 디지털장서개발정책의 주요 포함 내용 전자자료의 검색 시스템의 성능 및 전자자료 내용에 대한 평가 신뢰성, 지원, 정보의 유효성 등의 관점에서 벤더에 대한 평가 전자자료와 관련된 제반 비용, 하드웨어, 유지보수, 보안 등 관련 비용에 대한 내용 사용법 및 이용자 교육 업데이트 주기 및 네트워크 요구사항 등 2. 기존과 통합된 형식의 장서개발정책 기존의 도서관 장서개발정책에 디지털 장서 부분을 추가하여 통합형식의 개발정책을 개발한다. 대신, 전자자료가 도서관 전체의 목적에 부합하는 장서인지를 꼼꼼히 따져봐야한다. 또한, 전자자료에 대한 특정 문제나 이슈 발생 시 장서개발정책에 추가되어야 한다.
47
전자자료의 수집과 이용을 5단계로 적어보시오.
선정 > 조회 > 구입 > 등록 > 이용 및 관리 선정: 전자자원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조회: 해당 저널의 전자 제공 여부 국내 전자저널 컨소시엄 포함 여부 비용 비교 등 구입: 이용 조건 구독 중단 시 아카이빙 가능 여부 등록: IP 인증 or ID/PW 인증 이용 및 관리: 전자자원에 대한 단일 검색 인터페이스 전자자원 간 상호 링크
48
전자자료의 선정기준 중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성 원칙을 서술하시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쉽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이어야 함 상황에 맞는 도움말 화면 제공, 명확하고 일관된 용어 사용 필요 이용자의 위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어야 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해야 함 검색 옵션이 특히 중요(단순검색 및 고급검색을 모두 제공해야 하며, 제한검색이 가능해야 함)
49
전자책 수서 모델은 무엇이 있는가?
1. 인쇄본과 유사한 구입/계약 방식 일괄주문 (Approval Plan) : 도서관이 정한 기준에 맞는 자료를 출판사/벤더가 선별해서 자동 납품 확정주문 (Firm Order) : 사서가 개별적으로 필요 도서를 선정해 직접 주문 계속주문 (Standing Order) : 정기 간행물, 시리즈물 등을 정해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받는 방식 2. 전자 포맷에 적용되는 새로운 방식 Subscription (구독형) 일정 기간 동안 전자책에 접근 권한을 부여, 소유권 X, 기간 종료 시 이용 불가 PPV (Pay-Per-View) 이용 건수 기준으로 과금됨. 실제로 이용한 전자책에만 비용 발생 → 비용 효율적이지만 관리 필요 PDA (Patron-Driven Acquisition) 도서관이 전자책의 목록만 제공하고 이용자가 실제로 열람하거나 다운로드할 경우에만 자동 구입되는 방식
50
전자책 구입/구독 모델 모델은 무엇이 있는가?
– 영구 접속(perpetual access) 방식(=구매 모델) – 구독 기반 방식 – Pay-per-View – PDA(Patron-Driven Acquisitions)
51
전자책 라이선스 모델 중 기간 제한과 횟수제한에 대해 말하시오.
1년, 2년, 10년 등 접속 횟수와는 상관없이 기간이 도래하면 라이선스 종료되는 것으로, 계약 기간이 지난 이후 재구매 여부를 결정한다.(공급 가격 변동 가능) 10회, 25회 등 대출횟수를 제한하는 것이다. 최근 출판사가 가장 선호하는 공급방식이다. 횟수 도달 시 라이선스가 종료되며, 재구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52
전자책 라이선스 모델 중 대출 당 지불(Pay per view)ppv 에 대해 설명하시오.
전자책을 구매하지 않고 전자책 이용 횟수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 pay-per-use / ≒ 단기대여(short-term)모델 특징: 비용효과적(예산 초과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보통 제한 조건이 있음) 도서관에서 구매를 원하지 않지만 이용자가 요구하는 전자책을 서비스하는 경우 유용 주로 신간도서나 지정도서와 같이 수요가 높은 전자책 대상 PDA(이용자 주도 수서)모델과 결합하여 이용한다. 이용이 많은 분야의 경우 PDA를 통해 구입 + 이용이 적은 분야의 경우 단기대여 방식을 활용
53
파노라마 프로젝트란?
전자책 공급 방식 변화에 따른 도서관의 대응이다. 출판업계와 도서관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프로젝트라 볼 수 있다. 도서관의 이벤트나 프로그램이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고, 도서관이 저자와 책의 인지도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로, 도서관이 주최한 작가 강연이나 북클럽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책의 판매가 늘어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