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한국사
  • 코우처돌이

  • 問題数 23 • 4/11/2024

    記憶度

    完璧

    3

    覚えた

    10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청동기 고조선과 관련없는 것은?

    구릉 지대에 주거지를 형성했다

  • 2

    위만 조선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위만이 고조선을 건국했다

  • 3

    고조선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평등 사회였다

  • 4

    고조선은 랴오닝 지방과 한반도 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청동기 시대 고조선의 문화 범위를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유물에 대해 쓰시오

    비파형 동검 탁자식 고인돌

  • 5

    부여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제가 회의를 통해 국가의 주요 사항을 결정했다

  • 6

    고구려에 대해 옳은 것은?

    연맹체 국가였다

  • 7

    함경도와 강원도 동해안에 자리 잡은 옥저와 동예에는 _이 없었고, __, __가 통치하였다

    왕, 읍군, 삼로

  • 8

    삼한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군장은 읍군, 삼로로 불렸다

  • 9

    고구려의 중앙 집권 형성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도읍을 졸본에서 평양성으로 옮겼다

  • 10

    소수림왕은 __을 설립하여 __을 장려했으며, __을 반포하여 통치 조직을 새롭게 정비하였다. 이때 __은 나라를 다스리기 위한 법과 제도로 __반포는 왕권 중심의 __ __ 체제 구축을 보여준다

    태학, 유학, 율령, 율령, 율령, 중앙 집권

  • 11

    광개토대왕은 남쪽으로 __을 압박한 후 신라에 침입한 _를 격퇴하였고, 북쪽으로는 __과 __을 물리쳐 영토를 넓혔다. 장수왕은 도읍을 __으로 옮기고(__정책), 백제의 수도 __을 점령한 후 __ 유역을 차지하였다. 고구려의 영토 확장 과정은 ___ ____와 __ ____에 잘 나타나 있다.

    백제, 왜, 후연, 거란, 평양, 남진, 한성, 한강, 광개토 대왕릉비, 충주 고구려비

  • 12

    백제는 __ 유역의 지리적 이점과 __ 문화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3세기 중반 ___ 때 __ __를 마련하고 __을 제정하는 등 국가 조직을 정비했다. 4세기 중반 ____은 _으로 세력을 넓혀 __의 여러 소국을 복속해 나갔고, 고구려의 ___을 공격했으며.__, _, __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한강, 철기, 고이왕, 좌평 관제, 관복, 근초고왕, 남, 마한, 평양성, 가야, 왜, 동진

  • 13

    5세기 후반에는 ___의 공격으로 __이 함락되자 __(공주)로 도읍을 옮겼다 이후 ___은 __와 동맹을 강화하였다(__ 동맹) ___은 지방의 __에 __을 파견하여 지방에 대한 통제를 __했다. __은 수도를 __(부여)로 옮기고, 국호를 ___로 고치면서 중흥을 위해 노력했다. 이 시기에는 중국의 __와 활발히 교류했으며, 일본에 __를 전해 주기도 하였다.

    고구려, 한성, 웅진, 동성왕, 신라, 결혼, 무령왕, 22담로, 왕족, 강화, 성왕, 사비, 남부여, 남조, 불교

  • 14

    __의 사로국은 초기에 왕권이 미약했으나, 뛰어난 __ 문화를 바탕으로 주변 소국을 정복하며 __로 발전했다. 4세기 후반 ___은 __을 강화하면서 __ __ 국가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고, __ 각 지역 소국들에 대한 통제도 __했다. 왕의 칭호도 대군장을 뜻하는 ___을 사용했고 __의 __ ___을 확립했다. 6세기에 ___은 국호를 __로 확정, 왕호를 _으로 바꿨다. ___은 __ 반포, __ 공인, __와 ___을 설치하는 등 __ __를 정비하였다.

    진한, 철기, 신라, 내물왕, 왕권, 중앙 집권, 진한, 강화, 마립간, 김씨, 왕위 세습권, 지증왕, 신라, 왕, 법흥왕, 율령, 불교, 병부, 상대등, 통치 체제

  • 15

    6세기 중반 ___은 ___와 __(성왕)을 공격하여 __ 유역 차지, ___를 정복하여 가야 지역 전체를 장악했다.

    진흥왕, 고구려, 백제, 한강, 대가야

  • 16

    금관가야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소백산맥 너머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 17

    대가야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가야 연맹은 중앙 집권 국가였다

  • 18

    신라의 발전(6세기) 신라 ___은 ___를 병합하여 ___ 유역을 차지하고, 북쪽으로 ____까지 진출하였다. 이는 ___ ___와 __ ___를 통해 알 수 있다.

    진흥왕, 대가야, 낙동강, 함흥평야, 진흥왕 순수비, 단양 적성비

  • 19

    다음은 비석에 새겨져 있는 신라의 왕권 과정이다. 빈칸에 알맞는 말을 쓰시오. -6세기 초에 세워진 __ ___ ___나 __ ___ ___에는왕이 다른 귀족들처럼 __ 가운데 특정한 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__의 대표자나 귀족들과 함께 __ ___를 논의하고 __ __도 공동으로 선포하였다는 기록되어있다. 특히 __ ___ ___에는 법흥왕을 마립간이라는 의미의 ___으로 기록하고 있어 강력한 왕권을 완전히 확립(하였음/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__를 공인한 이후에 새긴 __ ___ __에는 _____이라 새겨져있어 왕이 __으로 __되었음을 알 수 있다. >법흥왕의 불교 공인

    포항 냉수리 신라비, 울진 봉령리 신라비, 6부, 국가 중대사, 의결 사항, 울진 봉평리 신라비, 매금왕, 하지 못하였음, 불교, 울주 천전리 각석, 성법흥대왕, 대왕, 격상

  • 20

    삼국에서 귀족회의가 발달하다 -삼국 시대 초기에는 연맹체를 형성한 각 부가 ___으로 __를 임명하고 자신의 __과 __을 다스렸다. _은 가장 세력이 강한 부의 지배자가 맡았으며, 나라 안의 모든 지역을 직접 다스릴 만큼 권한이 크지는 않았다. 따라서 왕국의 중대사를 결정할 때는 각 부의 __들로 구성된 회의체가 각 부의 대표들과 협의하여 처리했다. 고구려에는 __ 회의 백제에는 ___ 회의 신라에는 __ 회의 들이 있어 __들이 모여 대표를 선출하고,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했다.

    독자적, 관리, 영역, 백성, 왕, 귀족, 제가, 정사암, 화백, 귀족

  • 21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는 귀족 회의에 대해 옳은 것을 고르시오.

    삼국의 정치 체제는 왕권을 견제하는 귀족 정치였다.

  • 22

    귀족 중심의 신분 제도가 확립되다. - 삼국은 중앙 집권 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엄격한 __ 제도를 마련했다. 삼국에서는 __을 비롯한 각 부족의 족장 세력이 중앙의 __이 되어 지배층을 이루고, __과 __이 피지배층을 형성했다. 개인의 신분은 능력보다는 그가 속한 친족의 ___ __에 따라 결정되었고, 대대로 세습되었다.

    신분, 왕족, 귀족, 평민, 천민, 사회적 지위

  • 23

    고구려의 지배층으로는 왕족인 _씨를 비롯한 __ 출신의 귀족이 있었고, 백제에는 왕족인 __씨와 __의 귀족이 있었다. 신라는 왕족인 _씨, _씨, _씨와 __의 대표가 사회를 이끌어 갔다. 신라는 이후 중앙과 지방의 족방 세력을 중앙의 귀족으로 편입시키는 과정에서 ___라는 독특한 신분제를 마련했다. __은 왕족인 __•__과 ___~___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평민 대부분은 __이었으며, __를 내고 노동력을 수시로 징발당했다. 또한 __의 수탈과 고리대로 몰락하여 __가 되기도 하였다. 천민 대부분은 __로서 재산처럼 취급되었다. 대개 __ __, __, 귀족에게 진 빚을 갚지 못한 사람들이 __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 5부, 부여, 8성, 박, 김, 석, 6부, 골품제, 골품, 성골, 진골, 6두품, 1두품, 농민, 조세, 귀족, 노비, 노비, 전쟁 포로, 죄인, 노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