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지식 정보 혁명은( )으로도 불리는데 이로인해 인류의 소중한 데이터는 급격히 디지털화 됨
3차산업혁명
2
어떠한 목적이나 의도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 처리 한 것
정보
3
데이터를 보관 배포 가공 하는 방법 중 컴퓨터가 다를 수 있는 신호는 ( )신호와 ( )신호가 있음.
아날로그,디지털
4
비트맵 이미지에서 가장 작은 공간을 차지하며 하나의 색상 값을 가지고 있는 정보
픽셀
5
데이터의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는 적절한 알고리즘을 설계 하는 학문은( )이다. 대표적인 ( ) 연구 분야임
데이터과학,학제
6
데이터 과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1차 데이터
원천데이터
7
모든 사람이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하고 재사용,재배포까지 가능한 데이터
열린데이터
8
변수들 사이의 상관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상관계수
9
인간에 학습 추론 지각 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 하는 과학분야
인공지능
10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문제 3가지
데이터편향,부정확성,무관함
11
머신러닝에서 사용되는 말로 쓸모 없는 데이터 입력 시 쓸모 없는 결과가 나옴을 의미
Garbageingarbageout
12
원천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 데이터 분석 작업 순서를 서술하시오
문제정의,데이터수집,데이터탐색및전처리,모델링,시각화,해석
13
( )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여 작업 성능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으로 흔히 ( )이라고 부름
머신러닝,모델
14
데이터의 분포를 설명하는 직선으로, 실제 데이터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의 출력 결과를 예측 가능하다는 의의를 지님
선형회귀직선
15
오차의 제곱의 합을 데이터의 총 개수로 나누어 구한 평균값
평균제곱오차
16
경사하강법에서 사용되는 이것은 순간 변화량을 구하는 것으로 독립 변수 값의 변화량 비의 극한으로 구성된다
미분
17
( )에서 컴퓨터는 교사 의해 데이터와 레이블을 제공 받고 이를 학습해 모델을 생성한다
지도학습
18
실수로부터 학습하는 방법으로 에이전트가 보상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학습을 수행함
강화학습
19
지도학습에서 주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따라 ( ),( )로 나뉨
회귀,분류
20
분류와 회귀 작업, 다중출력까지 할 수 있으며 스무고개처럼 예 아니요 질문을 통해 학습하는 알고리즘
의사결정트리
21
의사결정트리에서 데이터들은 트리구조의 최초 시작점인 ( )에서 시작하여 차례로 ( )를 거쳐 ( )에 배정하는 기술을 수행함
루트,중간노드,단말노드
22
데이터가 몰려 있는 곳의 밀도를 기반으로 군집화하는 기법
밀도기반군집화
23
인간의 신경세포 구조를 흉내내는 프로그램
퍼셉트론
24
( )는 입력이 하나라도 1인경우 1을 출력하는 논리회로로, ( )연산을 수행함.
OR,논리합
25
( )란 입력에 대해 반대값을 출력하는 논리회로로, ( )연산을 수행함
NOT,논리부정
26
인공지능 구현시 사용되는 다층퍼셉트론의 포함되는 층 3가지
입력층,은닉층,출력층
27
심층 신경망 학습 방법 중 하나로 오차를 구한 다음 이 오차를 다층퍼셉트론의 역방향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갱신하는 알고리즘
오차역전파알고리즘
28
데이터를 K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k개 중심점을 설정해 개별데이터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알고리즘
K평균군집화알고리즘
29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옷과 신발 이미지 데이터
패션MNIST데이터
30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손글씨 숫자 이미지 데이터
MNIST데이터
31
페이페이리 교수가 만들었으며, 2만개 이상 범주로 나눌 수 있는 1천 5백만장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오늘날 딥 러닝 기술을 발전 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함.
이미지넷데이터베이스
32
특정 이미지에서 경계상자로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 내 물체가 존재하는지 존재 한다면 그 물체가 무엇인지 판별
객체탐지
33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해 내거나, 입력 이미지•비디오를 다른 형태나 정보를 지닌 이미지•비디오로 변환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 기술
적대적생성신경망
34
경쟁자들이 각자 최선의 선택을 하면 서로가 자신의 선택을 바꾸지 않는 상태
내시균형
35
사람인지영역을 넘어선 내부구조 탓에 인공지능이 왜 그런 결과를 도출 했는지 개발자조차 알 수 없는 형태의 인공지능 모델
블랙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