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시뮬레이션의 정의 및 사용목적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시뮬레이션: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컴퓨터 상에서 현실시스템의 거동을 흉내 내기 위한 방법들과 응용 사용목적: 실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테스트해 볼 수 있다.
2
물리적 모델(Physical model)과 논리적 모델(Logical model)의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논리적 모델보다 물리적 모델이 더 많은 정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대신 논리적 모델은 비용이 적게 소모되고 간단명료하게 표현이 가능합니다.
3
Continuous 모델과 Discrete event 모델의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한편 기계고장, 자재 도착 등은 continuous model 은 discrete 모델 중 어떤 것이 적절한가?
continuous 모델에서 시스템의 상태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하지만 discrete event 모델에서는 분리된 특정 시점에만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기계고장, 자재도착은 discrete 모델에 더 적합하다.
4
Computer Simulation의 미래는 어떻게 변할 것이라 예측되는가?
시스템 통제를 돕는 소프트웨어와의 완전한 통합을 예견할 수 있다.
5
Time-persistent statistic과 Discrete-time statistic의 차이점 (계산과정 등)을 설명하시오. Performance measure 중에서 이들의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Time-persistent statistic은 시간에 걸친 상태의 평균을 계산하고, 예로는 자원의 평균 이용률이 있습니다. Discrete-time statistic은 특정 시점에서의 발생 횟수를 계산하며, 예로는 도착 건수나 완료 건수가 있습니다.
6
Entity와 Attribute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Entity: 시스템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태를 변화시키고, 또 다른 개체 및 시스템 상태에 의해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하며, 그리고 출력 수행 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 Attribute: Entity(속성)들을 개별화하기 위해 Entity(속성)에 붙이는 것, 모든 Entity(속성)가 갖는 공통 특성.
7
Variable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Attribute와 차이점은 무엇인가?
시스템에 존재하는 개체들의 수와 종류에 관계없이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하는 정보의 하나 속성과는 달리, 변수들은 어떤 특정한 개체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전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
8
Entity가 Resource를 사용하는 절차를 설명하시오
개체는 자원이 이용 가능할 때 자원을 점유하여 사용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놓아 준다.
9
Event란 무엇인가? 한편, Event calendar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속성, 변수, 통계적 누적치 등을 변화시키는 어떤 일 미래에 일어날 것으로 예정된 사건들에 대해서 추적 관리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곳(사건기록)
10
M/M/1에는 어떠한 event들이 있는가? Arrival event시 발생하는 내용들을 flowchart로 표시하시오
Creat, process, dispose [고객 도착] > [서버 사용 여부 확인] >[서버 비어있음] > [서비스 시작] > [다음 도착 예약] [서버 사용 중] > [대기열에 추가]
11
95% 신뢰구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한편 a 의미를 설명하시오
95% 신뢰구간은 동일한 시뮬레이션을 여러 번 반복하여 생성된 신뢰구간들 중 95%가 실제 모수를 포함하는 것 a는 신뢰구간 안에 모수가 존재하지 않을 확률
12
우선순위(Priority)란 무엇인가? 한편 숫자가 작을수록 순위가 높은가? 혹은 클수록 순위가 높은가?
우선순위는 진행하고 있는 일들 가운데, 가장 먼저 처리해야 할 일을 말한다. 숫자가 클 수 록 순위가 높다.
13
Dispose 모듈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 가능한 에러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시뮬레이션이 영구히 진행될 수 있다
14
Arena에 내장된 함수인 TNOW는 무엇인가?
시뮬레이션에서 시간의 현재 값을 간단하게 관리하는 것(현재시간)
15
Input data가 주어졌을 경우에, 생산량만을 가지고 두 개의 시스템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두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할 때, 생산량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표를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평가가 가능합니다.
16
모델 4-1에서 Rework의 이용도를 구하시오(A, B의 시간당 도착율과 서비스 시간을 이용).
0.9495
17
모델 4-1에서 Sealer에서의 가공시간을 Prep A(B) 이후의 Assign 모듈에서 attribute에 미리 정의하였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variable에 정의하지 않은 이유는?
각 고객 또는 자재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는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며, 변수에 정의하지 않은 이유는 고정된 값이 아닌 각 객체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속성이기 때문
18
모델 4-1을 종료한 시점에 Rework에 있는 자재의 수는 25개이지만, animation에 나타난 자재의 수는 25개보다 작다. 그 이유는? 한편 25개를 다 나타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의 길이를 늘리면 25개 다 표시된다.
19
Venification과 Validation의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한편 100% verify 혹은 validate를 할 수 있는가?
verification 은 코드에 버그가 없는지를 검정하는 작업이고 validate는 개념적 모델이 연 구대상시스템을 정말 제대로 표현하고 있는지 유효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verification이 매 우 어렵다면 validate 작업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100% 작업은 불가능하다.
20
Instantaneous Utilization과 Scheduled utilization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한편, 어떤 경우에 이들 utilization을 사용할 것인지 설명하시오
instantaneous Utilization: 특정 시점에서 리소스 사용 비율로, 예를 들어 서버가 5분 중 3분 사용하면 60%입니다. Scheduled Utilization: 일정 기간 동안 계획된 사용 비율로, 예를 들어 1시간 중 40분 사용하면 66.7%입니다. 실시간 모니터링은 Instantaneous Utilization을, 장기 평가에는 Scheduled Utilization을 사용합니다.
21
데이터의 양과 종류를 결정하기 위해서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가?
시스템 복잡성, 분석 목표, 데이터 수집 용이성, 정확도를 고려해야 한다.
22
"Garbage In, Garbage Out"이므로 데이터가 나쁠 경우에는 시뮬레이션을 할 필요가 없다. 동의하는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동의하지 않는다. 불완전한 데이터도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고 모델 개선의 기회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이 여전히 의미가 있습니다.
23
모델 3-2에서 시간을 "EXPO(1) + EXPO(1) + EXPO(1) + EXPO(1)"로 표현한 이유는?
각 서비스 시간의 독립적이기 때문이다
24
병렬 시스템이 직열 시스템보다 좋은가? 그 이유는?
알 수 없다.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