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우리의 무형 문화재는 우리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Ou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 bridge linking our past and our future.
2
그것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이며, 우리가 세상을 만들어가는 수단이다.
It is the way we understand the world and the means by which we shape it.
3
그것은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에 뿌리를 두며 우리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지혜와 지식의 초석을 제공한다.
It is rooted in our cultural identities and provides a foundation of wisdom and knowledge upon which to build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ll.
4
무형 문화재는 전 세계적으로 지역 사회, 단체, 그리고 개인에게 소중한 자산이다.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 precious asset for communities, groups, and individuals across the world.
5
그들만이 무형 문화재를 보호하고 다음 세대에 전달할 수 있다.
Only they can protect it and pass it on to tomorrow's generations.
6
다음에 나오는 글들은 전 세계 인류의 다양한 살아 있는 유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The following pages offer an insight into the great diversity of humanity's living heritage across the world.
7
빠르고 심오한 변화의 시대에, 우리는 각오를 단단히 하고 미래 세대를 위해서 이 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At a time of rapid and profound change, we must strengthen our resolve and take action to preserve this heritage for the benefit of future generations.
8
봄과 가을 사이의 몇 달 동안, 스페인 Catalonia(카탈로니아) 사람들은 거리 축제 기간 동안 castell(카스텔)을 만든다.
In the months between spring and autumn, people in Catalonia, Spain build castells during street festivals.
9
castell은 서로의 어깨 위에 서 있는 사람들이 쌓은 탑인데, 종종 10층까지 높이 올라간다.
A castell is a tower of people standing on each other's shoulders, often raised as high as ten levels.
10
맨 아래 토대, 즉 pinya(피냐)의 형성은 castell을 쌓는 데 있어서의 첫 번째 단계이다.
The formation of the bottom base or pinya is the first step in building a castell.
11
아이들로부터 노인들에 이르기까지, 기꺼이 돕기를 원하는 누구든지 그 탑을 지탱하고 그것이 무너지는 것을 막음으로써 pinya의 일원이 될 수 있다.
Anybody who is willing to help, from children to senior citizens, can be part of the pinya by supporting the tower and protecting it from collapsing.
12
pinya가 형성되면, 각 층이 차례로 더해진다.
When the pinya is formed, each level is added one after another.
13
마지막 사람이 꼭대기에 도달하여 자신의 손을 흔들면, 아래의 군중들이 소리를 지르며 환호한다.
When the last person reaches the top and waves his or her hands, the crowd below shouts and cheers.
14
castell을 만드는 것은 카탈로니아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의미한다.
Building a castell means a lot to Catalonians.
15
castell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지식은 세대에 걸쳐 축적되고 공동체 안에서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며, 오직 연습을 통해서만 학습될 수 있다.
The knowledge about how to build castells is accumulated over generations and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in a community, and can only be learned by practice.
16
castell을 만드는 것은 사람들에게 강한 소속감과 고양된 협력과 협동 정신을 제공한다.
Building one provides people with a strong sense of belonging and a heightened spirit of teamwork and cooperation.
17
하나의 castell을 만드는 데 75명에서 500명의 사람이 필요하고, 그들 모두는 단체 색깔의 옷을 입는다.
A castell requires between 75 and 500 people to build, all of whom wear a group color.
18
그 색은 공동체의 자부심을 나타내는 요소이며, 어린아이들은 셔츠를 입고 그들 단체의 castell을 만들 때 그들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날을 기대한다.
The color is a proud element of a community, and young children long for the day when they can wear a shirt and play their role in building their group's castell.
19
개인 중심의 활동들이 대부분의 사람들의 여가 시간을 지배하는 시대에, 이 카탈로니아의 관습은 정말 진지한 관심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다.
At a time when individual-based activities dominate most people's leisure time, this Catalan practice does seem to deserve serious attention.
20
생강 쿠키는 일반적으로 생강과 꿀로 맛을 낸 모든 종류의 구운 과자를 가리킨다.
Gingerbread broadly refers to any type of baked treat that is typically flavored with ginger and honey.
21
크로아티아의 생강 쿠키의 일종인 licitar(리치타르)를 만드는 과정은 기술과 인내를 요구하기 때문에 특별하다.
The process of making a licitar, a type of Croatian gingerbread, is special because it requires skill and endurance.
22
밀가루 반죽이 며칠 동안 숙성되고, 그러고 나서 틀에서 모양이 만들어지고 구워지고, 그리고 2주 동안 마르도록 둔다.
The dough matures for a few days, then is shaped in molds and baked, and then left for two weeks to dry.
23
색깔을 입히는 것이 다음 단계이고, 그것(색칠) 후에 두 번째 건조가 이루어진다.
Coloring is the next step, after which a second drying takes place.
24
일단 마르고 나면, licitar에 장식을 한다.
Once dried, the licitars are decorated.
25
licitar는 결혼식 하객들에게 선물로 주기도 하고, 장식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Licitars are given as gifts for wedding guests, or they can be used as decorations.
26
licitar를 주는 관습은 크로아티아 전통에 깊이 뿌리 박혀 있다.
The custom of giving licitars is deeply rooted in Croatian tradition.
27
licitar는 맛있는 후식일 뿐 아니라 예술적인 표현물이다.
Licitars are not only a tasty dessert, but they are also an artistic expression.
28
licitar는 오랜 역사와 그것이 해 온 사회적인 역할 때문에 크로아티아만의 독특성이 있다.
A licitar is uniquely Croatian because of the long history and the social role it has played.
29
크로아티아 사람들은 알프스 동쪽 지역의 이웃 나라 사람들로부터 16세기 동안에 그 요리법을 배웠는데,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자신들만의 것을 만들었다
Croatians learned the recipe during the 16th century from their neighbors in the eastern Alps and went a step further to develop their own.
30
그 후, licitar를 만드는 것은 요리 비법이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는 가족의 전통이 되었다.
Since then, making licitars has become a family tradition where secrets are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31
이런 방식으로, 모든 세대는 자신들이 만드는 각각의 생강 쿠키에 자신들만의 표시를 남길 수 있다.
In this way, every generation is able to leave its mark in each gingerbread they make.
32
licitar를 만드는 사람들은 중요한 사회적인 기능도 한다.
Licitar makers play an important social function, too.
33
생강 쿠키 장인들은 크로아티아의 대부분의 축제와 박람회에 참여한다.
Gingerbread craftspeople appear at most festivals and fairs in Croatia.
34
사람들은 생강 쿠키가 만들어지는 것을 보면서 함께 어울린다.
People watch cookies being made and socialize.
35
지역 문화가 고유한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는 시대에, 크로아티아의 생강 쿠키 장인 정신은 우리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준다.
In a time when local cultures are losing their unique identities, Croatian gingerbread craftsmanship provides us with a new perspective on traditional culture.
36
줄다리기는 아시아 전역에 걸친 많은 농업 지역에서 일종의 의식으로 오랫동안 행해져 왔다.
Tugging has long been practiced as a kind of ritual in many agricultural regions across Asia.
37
그 의식이 행해지는 방식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The way the ritual is performed varies from place to place.
38
캄보디아에서, 그 의식은 남자들이 여자들과 대항해서 줄다리기하는 것을 수반한다.
In Cambodia, the ritual involves men tugging against women.
39
이 의식은 4월의 새해 휴일 기간 동안에 불교 사원이나 마을 회관의 공터에서 열린다.
It takes place during the New Year holidays in April in the open space of a Buddhist temple or a village center.
40
필리핀에서는 punnuk(푸눅)이 Hapao(하파오) 강에서 개최되고, 거기에서 사람들은 덩굴로 단단히 묶여지고 가운데에서 짚으로 만든 형상에 갈고리로 건 어린 나무들을 당긴다.
In the Philippines, punnuk is held in the Hapao River, where people tug young trees that are tightly bundled with vines and hooked to a straw figure in the middle.
41
베트남에서는 대나무 장대가 줄다리기에 사용될 수 있다.
In Vietnam, bamboo poles can be used for tugging.
42
한국의 줄다리기에서는 볏짚으로 만든 밧줄을 의식을 치르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뿐 아니라 그것을 만드는 것도 전통의 일부이다.
In Korean juldarigi, making a rice straw rope as well as moving it to a ritual site is part of the tradition.
43
밧줄은 그 지역에 비를 가져다준다고 믿겨지는 용을 상징한다.
The rope stands for a dragon which is believed to bring rain to the region.
44
아시아에서 줄다리기 의식들은 주로 쌀농사를 짓는 농부들에 의해 열리는데, 그들은 충분한 비와 풍부한 수확을 바라므로, 이 의식들은 그 지역에서 일종의 기도로 여겨질 수 있다.
The tugging rituals in Asia are mostly held by rice farmers, who wish for enough rainfall and abundant harvests, so the rituals can be regarded as a form of prayer in the region.
45
그것들은 풍작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는 한 방법으로도 행해진다.
They are also performed as a way of expressing their appreciation for a good harvest.
46
의식에는 내재된 의도적인 경쟁 요소는 없으며, 승리나 패배는 강조되지 않는다.
There is no intentional competitive element inherent in the rituals, and winning or losing is not emphasized.
47
의식을 준비하고 수행하는 동안, 참여자들은 공동체 구성원들 사이의 단결, 협력, 그리고 조화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While preparing for the rituals and performing them, participants realize the importance of solidarity, cooperation, and harmony among community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