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채혈실무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92 • 10/23/2023

    記憶度

    完璧

    13

    覚えた

    34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현대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점점 첨단화되고 광범위한 진단적 검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채혈하는 사람들의 역할 중요시되고 있다 채혈하는 사람들은?

    의사 간호사 임상병리사

  • 2

    합성된 단백을 세포막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골지체

  • 3

    이물질 또는 세포 페기물을 용해시키는 것은?

    리소솜

  • 4

    에너지를 만드는 소기관은?

    미토콘드리아

  • 5

    아미노산을 결합시켜 단백을 만드는 소기관은?

    리보솜

  • 6

    물질의 통로 수용체 등의 역할을 한느 수많은 단백 및 B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의 일부는 A로 작용하여 항체를 형성하게하는 원인이 된다

    당단백 항원

  • 7

    유전정보를 발현하여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등에서 이용된느 것은?

    RNA

  • 8

    유전정보를 보관 및 보존하는 것은?

    DNA

  • 9

    생물체A는 거의 모든 유전물질로 사용되나 일부 바이러스는 유전물질로 B를 대신 사용함

    DNA RNA

  • 10

    퓨린은?

    DNA

  • 11

    피라미딘은

    RNA

  • 12

    적혈구의 크기는?

    약 7um

  • 13

    조직의 모든 세포들에게 산소운반을 해주는 아주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은?

    적혈구

  • 14

    적혈구 안에 약2백만개 정도 되는 많은 수의 A 들어있다

    헤모글로빈

  • 15

    단백으로 이루어진4개의 글로빈에 철분자를 가진 햄이 각각 글로빈에 하나씨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은?

    헤모글로빈

  • 16

    백혈구는 피 1uL에 약 몇개의 백혈구가 들어있나?

    4000~10000

  • 17

    A는 수는 적지만 외부에서 바테리아등의 침입자가 들어와 우리 몸을 공격하면 이에 대항하여 A를 증가시키고 침이자가 있는 염증부위로 달려가 이들을 제거하는 중요한 일을한다

    백혈구

  • 18

    백혈구 중 약 2/3은?

    과립구

  • 19

    과립구는 염색상에 따라 이 3개로 분류된다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 20

    조직으로 가서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는 것은?

    단구

  • 21

    A는 잡아 먹은 침입자들을 세포 안에서 처리하고 활성화되어 림프절로 이동한 후 거기서 특징 도움T세포를 만나 항원 정보를 제공하여 활성화시킨다

    단구

  • 22

    혈소판의 크기는?

    2~4um

  • 23

    어른의 경우 피 1uL에 약 몇만개의 혈소판이 들어있을까?

    15~40

  • 24

    7~10일정도 살며 혈관을 따라 온몸을 돌아다니다가 혈관 손상으로 출혈이 생겼을 때 피를 멎게 해주는 아주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은?

    혈소판

  • 25

    혈관이 손상되면 A는 노출된 혈관 아래의 콜라젠에 재빨리 부착하고 그위에 A들이 서로 응집되어 일차적으로 A마개를 혀엉하며 이들 A표면 위에서 혈액응고가 진행되어 피를 멎게해준다

    혈소판

  • 26

    A는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단백, 지질, 탄수화물, 응고인자, 항체, 전해질, 영양소, 호르몬, 각종 화학물질 등이 함유되어있다

    혈장

  • 27

    A는 비타민, 호르몬 및 대사산물인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이 들어 있다 A 속에 존재하는 이렇게 수많은 물질들은 모두 질병 상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검사실에서 이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혈장

  • 28

    혈액응고시스템에 꼭 필요하는 것은?

    칼슘이온

  • 29

    A가 있어야 활성화된 혈소판 또는 혈관내피세포 표면의 인지질에 감마-carboxyl glutamate기를 달고 있는 이 응고인자들이 결합 할 수 있게 되어 혈관 손상 부위에서만 정상적인 혈액응고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칼슘이온

  • 30

    EDTA, sodium citrate, oxalate 등의 채혈 시험관에 들어있는 항응고제는 A를 제거하여 항응고작용을 나타낸다

    칼슘이온

  • 31

    혈액응고에서 주인공 일을 하는 중요한 인자이고 최종산물인 섬유소응괴를 만드는 일뿐만 아니라 혈소판을 활성화하는 일을 하는 것은?

    트롬빈

  • 32

    A형인 사람은 ㄱ항체를 B형인 사람은 ㄴ항체를 O형인 사람은 ㄷ,ㄹ항체를 이미가지고 있다

    anti-B anti-A anti-A,B

  • 33

    ㄱ 항체는 A형 적혈구와 반응하고 ㄴ항체는 B형 적혈구와 반응하며 ㄷ,ㄹ 항체는 A형 및 B형 적혈구와 반응한다 이런 반응이 일어나면 시험관 내에서는 A가 일어나지만 우리 몸 안에서는 B가 활성화되어 C가 일어난다

    anti-A anti-B anti-A,B 응집 보체계 용혈

  • 34

    ㄱ 혈액형은 ABO혈액형과 전혀 다른 별개의 혈액형이다

    Rh

  • 35

    우리가 보통 ㄱ형이라고 하는 것은 D혈액형을 지칭한다 ㄱ혈액형 양성은 D항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고 ㄱ 음성은 D항원을 가지지 않은 경우다

    Rh

  • 36

    Rh혈액형도 ㄴ혈액형과 마찬가지로 수혈 할 때 반드시 맞춰줘야한다

    ABO

  • 37

    A형은 ㄱ의 항원과 ㄴ의 항체를 가지고 있다

    A형항원 B형항체

  • 38

    B형은 ㄱ항원과 ㄴ항체를 가지고 있다

    B형항원 A형항체

  • 39

    AB형은 ㄱ항원과 항체는 ㄴ이다

    A형B형항원 없다

  • 40

    O형은 항원ㄱ 이고 항체 ㄷ이다

    없다 A형B형항체

  • 41

    혈액을 채혈하며 시험관에 두면 30~60분 이내에 응고가 일어난다 응고촉진제가 첨가된 시험관에서는 신속히 응고가 일어난다 응고된 혈액의 상층액을 A라고 부른다

    혈청

  • 42

    응고된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깨끗한 노란색의 A를 얻을수있다

    혈청

  • 43

    혈액이 응고되면 응고인자들이 소모되므로 A속에는 B과는 달리 섬유소원등의 응고인자들이 없다

    혈청 혈장

  • 44

    혈청검체는 주로 A검사와 B검사에 사용된다

    화학검사 면역검사

  • 45

    항응고제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채혈하면 혈액이 응고되지 않으며 원심분리 후의 상층액이 A라고 한다

    혈장

  • 46

    혈액응고검사 할때 응고인자를 모두함유하고 있는 A을 검체로 해야하한다 B속에는 응고인자가 소모되어 없기 때문에 B는 사용하면 안된다

    혈장 혈청

  • 47

    A검체를 얻기 위해서는 항응고제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치혈해야한다

    혈장

  • 48

    CBC등 대부분 혈액학검사와 암모니아, 당화혈색소 등 일부 화학검사는 응고되지도 않고 원심분리되지도 않은 A를 그래도 검체로 사용한다

    전혈

  • 49

    A는 항응고제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채혈해야하며 그대로 방치하면 혈구 성분이 가라앉아 혈구와 혈장이 분리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검사직전 2분 이상 지속적으로 혼합해 주어야한다

    전혈

  • 50

    혈관은 A B C로 구성되어있따

    동맥 정맥 모세혈관

  • 51

    A는 폐에서 산소를 받은 후 심장에서 힘차게 나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다

    동맥

  • 52

    동맥은 대동맥을 지난 후 각 장기로 가는 많은 가지를 치며 가느다란 A을 거쳐 모세혈관으로 연결된다

    세동맥

  • 53

    모세혈관의 직겨은?

    4~5um

  • 54

    A는 아주 얇아서 세포와 혈액 사이의 산소, 이산화탄소, 영양소, 노폐물 등의 교환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모세혈관

  • 55

    모세혈관 속에는 A와 B가 섞여있다 모세혈관을 통과한 혈액은 c와 d를 거쳐 대정맥으로 유입된후 심자으이 우심방으로 들어간다

    동맥혈 정맥혈 세정맥 정맥

  • 56

    A는 동맥에 비해서 벽이 얇고 탄력성도 적으며 혈관내 압력도 낮다

    정맥

  • 57

    정맥에는 A가 존재하는데 이는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근육이 수축하면 정맥의 흐름이 원할해진다

    판막

  • 58

    A는 동맥보다 많은 양의 혈액을 담고있으며 압박대로 묶어 혈류 차단하면 흐르지 못한 A피가 모여 팽창하게된다

    정맥

  • 59

    1995년 새로운 격리주의 지침을 제정했다 크게 A와 B로 분류되며 B는 ㄱ,ㄴ,ㄷ으로 세분된다

    표준주의 감염경로별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 60

    미생물전파경로는?

    접촉 비말 공기 무생물매개체 생물매개체

  • 61

    감염예방을 위한 A주의는 표준주의를 적용함과 동시에 전염력이 강하거나 역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에 의한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추가로 적용하게 된다 A B C로 세분된다

    전파경로별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 62

    A는 홍역 수두 및 결핵 등 B를 매개로 하여 전파되는 질병에 적용되는 것은?

    공기주의 공기

  • 63

    ㄱ은 A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에 적용된다 A에 의한 감염은 밀접한 접촉이 있어야하 전파되는데 A는 공기중 부유하는 상태로 있지 못하며 보통 90cm 이내 거리만 이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비말주의 비말

  • 64

    ㄱ은 중증 세균성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디프테리아 등과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등 A에 의한 전파가 가능한 미생물에 의한 질병을 가지고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에게 적용된다

    비말주의 비말

  • 65

    직접 도는 간접 A에 의하여 미생물이 전파되는 경우의 ㄱ은?

    접촉 접촉주의

  • 66

    A주의는 채혈할때 장갑을 착용하고 살균제가 함유된 비누로 손씻기를 잘해야하고 B주의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한다

    접촉주의 비말주의

  • 67

    다약제 내성균엥 의한 소화기, 호흡기, 피부, 및 창상 감염 등 은 ?

    접촉주의

  • 68

    A형간염은 ㄱ에 의해 유발되며 주로 ㄴ으로 전파된다

    HAV 경구적

  • 69

    ㄱ은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채혈시 배설물 또는 혈액과 접촉 경우 감염될 수 있으나 ㄱ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A형간염

  • 70

    임상증상과 황달이 나타나기 2주동안 바이러스가 대변으로 가장 많이 배출되고 대부분 황달이 시작되어 1주가 지나면 바이러스가 배출되지 않는 것은>

    A형간염

  • 71

    ㄱ은 A에 의해 유발되며 병원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일반 직업인들보다 감염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B형간염 HBV

  • 72

    ㄱ은 주로 혈액과 혈액이 섞인 분비물에 노출됨으로써 전파된다 미량의 혈액만으로도 ㄱ이 전파될 수 있다

    B형간염

  • 73

    A는 RNA바이러스에 속하는 retrovirus의 일종으로 B를 유발하는 병원체이다.

    HIV 후천성면역결핍증

  • 74

    A는 대부분(99%)이 성접촉에 의해 감염되었고 혈액, 정액, 타액, 질 분비물 등에서 A가 검출되므로 이들이 감염원이 될 수 있다

    HIV

  • 75

    A감염보고 사례들은 대부분 주사침에 찔린경우였다

    HIV

  • 76

    A와 B는 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한 감염질환이다

    수두 대상포진

  • 77

    A는 물방울 모양의 수포성 발진이 온몬에 생기는 질환으로 전염력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이다

    수두

  • 78

    A는 작은 물집들이 띠 모양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닫

    대상포진

  • 79

    소아나 성인에 있어 전신에 발진과 함께 미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인것은?

    풍진

  • 80

    A는 증상은 비교적 경미하지만 임신중에 감염되어 태아가 감염되는 심한 기영, 미숙아 출산 또는 사산까지 초래될 수 있다

    풍진

  • 81

    A는 10~12일의 잠복기 지나 열 기침 콧물 결막염 등 증상이 나타나는 입 안에 주앙이 하얀 붉은 반점에 생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홍역

  • 82

    홍역의 예방방법으로 가장효과적인것은?

    백신

  • 83

    A에 의한 감염과 보균상태는 지난 10년간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의료진과 환자들이 A를 콧구멍 또는 피부에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접촉에 의한 전염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한다

    항균제내성균(MRSA)

  • 84

    국부적으로 농양을 형성하는 세균이며 병원에서 흔히 검출되고 있는 것은?

    황색포도상구균

  • 85

    병원직원이 A 보균환자로부터 감염되어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A 보균자인 직원과 환자가 접촉할 경우에는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게 된다

    MRSA

  • 86

    채혈 전 젤 먼저 해야할 일은?

    검사의뢰서 확인

  • 87

    주사침에 찔렸을때 1.재빨리 A를 벗고 A는 적절한 폐기통에 버린다

    장갑

  • 88

    주사침에 찔렸을때 2. 주사침에 찔린 부위를 A해서 B가 나오게 한다 이때 C행동은 하면 안된다

    짜내서 피 입으로빠는

  • 89

    주사침에 찔렸을때 3 찔린 부위를 A로 철저히 씻어낸다 B를 사용하면 좋다 4. A와 병록번호 기록해둔다 환자의 B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

    비누 항균비누 환자의이름 감염성질환유무

  • 90

    주차침에 찔렸을 5. A에게 보고하고 예방 조치 및 치료에 대해서 B에 따른다 병원은 반드시 이에 대한 문서화도니 c를 마련해두어야한다

    책임자 병원지침 지침

  • 91

    눈 또는 입으로 피가 튀어 들어갔을때 1. 들어간 부위를 충분한 물로 씻어낸다 눈에 들어간 경우 A로 철저히 씻어내야한다 평소 A의 위치를 알고있어야한다 2.피가묻은 탁자등을 B로 깨끘이 닦아내고 C로 소독한다 3. 환자이름과 d를 기록해둔다 환자의 감염성질환유무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4. 책임자에게 보고하고 예방 조치 및 칠에 대해서는 e에 따른다

    안면샤워 paper towel 10%표백제(락스) 병록번호 병원지침

  • 92

    감염성 물질을 엎질렀을때 혈액과 체액 등 감염성 물질이 들어있는 A또는 혈액배양병 등을 떨어뜨려 깨거나 엎질렀을 때는 신속한 B가 필요하다 본인뿐만아니라 다른사람들에게도 C시킬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고를 대비해 미리 문서화된 D와 감염성 물질을 안전하고 깨끗하게 치우고 소독할 수 있는 E를 준비해두어야한다

    시험관 조치 감염 지침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