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태조왕건이 효율적인 지방통치와 호족 견제를 위해 실시한 정책 2가지를 쓰시오.
사심관제도,기인제도
2
태조()은 신라의 () 김부를 경주의 ()으로 삼았다.
왕건,경순왕,사심관
3
()은 민생안정을 위해 ()을 설치하였다.
태조왕건,흑창
4
()은 ()을 ()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았다.
태조왕건,서경,북진
5
()은 호족 견제를 위해, ()법을 실시하였다.
광종,노비안검
6
()은 ()의 건의를 받아들여, ()를 시행하였다.
광종,쌍기,과거제
7
()은 ()의 ()를 받아들여, 통치체제를 정비했다.
성종,최승로,시무28조
8
()은 전국에 ()을 설치하고, ()을 파견하였다.
성종,12목,지방관
9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은?
2성6부
10
고려의 회의 기구인 ()는, () 문제를 다루었다.
도병마사,국방
11
중서문하성의 ()와 ()의 관원은 ()이라 불리며, 관리 임명 및 법령 제정에 동의하는 ()을 가졌다.
어사대,낭사,대간,서경권
12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 중 화폐·곡식 출납 및 회계를 담당하는 부서는
삼사
13
지방행정 조직에서 군사 기능을 담당한 것은? 지방행정 조직애서 행정 기능을 담당한 것은?
양계,5도
14
고려의 특수 행정 구역은?
향부곡소
15
고려 () 때 왕실의 외척인 ()이 난을 일으켰다.
인종,이자겸
16
고려 () 때 ()이 수도를 ()으로 옮길 것을 주장하였다.
인종,묘청,서경
17
-"천수" 연호 사용 -정계와 계백료서(관리 규범)
태조왕건
18
광덕,준풍 등의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왕은?
광종
19
관리의 공복을 제정한 고려의 왕은?
광종
20
()은 ()을 설치하고, ()목에 ()박사와 ()박사를 파견하였다.
성종,국자감,12,경학,의학
21
()은 지방 세력 통제를 위해, ()를 정비하였다.
성종,향리제
22
고려의 ()은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중앙 관서로, 수장은 ()이었다.
중서문하성,문하시중
23
고려의 중앙군은?
2군6위
24
고려는 ()에 ()를, 국경 지대인 ()에 ()를 파견하였다.
5도,안찰사,양계,병마사
25
()을 비롯한 () 세력은 () 건원과 () 정벌을 주장하였다.
묘청,서경,칭제,금국
26
()의 () 운동은, ()이 이끄는 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묘청,서경천도,김부식
27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을 "일천여래 제일 대사건"이라 평가한 사람은?
신채호
28
태조의 정책을 모두 고르시오.(9개)
호족 통합(혼인정책, 왕씨 성 하사), 호족 견제(사심관, 기인 제도), 흑창 설치(민생 안정)(북진정책), 서경중시(북진정책), 훈요 10조, "천수" 연호 사용, 정계,계백료서(관리 규범), 발해 유민 포용, 역분전 지급
29
광종의 정책을 모두 고르시오.(4개)
노비안검법 실시(호족 견제), 과거제 도입(쌍기), 연호 사용(광덕,준풍), 공복 제정
30
성종의 정책을 모두 고르시오.(6개)
최승로의 시무 28조, 12목 설치,지방관 파견, 향리제 정비(지방 세력 통제), 의창,상평창 설치, 국자감 설치 (경학박사,의학박사), 통치체제 정비
31
1.중서문하성에서 대간이라 불리운 관원은? 2.대간에게 부여된 권리는? (관리 임명, 법령제정)
어사대,낭사,서경권
32
1.문하시중(장관)이 총괄하였던 고려 최고 중앙 관서는? 2.군사 기밀과 왕명을 다른 기관에 전달했던 부서는?
중서문하성,중추원
33
1.군사•국방 문제를 담당하는 임시 기구는? 2.법제•격식 문제를 담당하는 임시 기구는?
도병마사,식목도감
34
5도와 양계에 파견된 지방관을 각각 쓰시오.
안찰사,병마사
35
(1)이 파견된 ()보다 (1)이 파견되지 않은 ()이 ()다.
지방관,주현,속현,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