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기동
  • c1 c1

  • 問題数 56 • 2/18/2024

    記憶度

    完璧

    8

    覚えた

    2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복함전 지휘관이 위임 불가한 사항은 무엇이 있는가?

    전자전 지침, 음향방사통제계획, 공역통제지침, 배속 잠수함 전술 통제

  • 2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MASOC 및 해상전투단과 협조 -표적/잠재표적 위치 식별 및 추적 -전장공간 분류를 위한 할당된 항공자산 관리 -CSAO 구역 내 한미 초계전력 전술통제, 조기경보 임무 수행 -통제전력의 임무수행 현황 및 보고 -정찰자산과 통제 전술기가 제고한 자료를 통한 COP 형성 및 유지

    MAC

  • 3

    기동부대 작전 수행 시 기본지침 중 표적 위협수준에 따른 교전 우선순위 지정, 함소 및 무장 할당하는 것은?

    무장 운용

  • 4

    작전을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지침과 절차를 명시한 OPTASK의 작성 및 시달권자는?

    예하지휘관

  • 5

    [번외] 기동부대 작전 수행 시 기본지침 중 보고 시 관찰결과, 식별결과, 대응의도를 포함하는 것은 무엇인가?

    보고 및 전파

  • 6

    MASOC의 구비요건은?

    신뢰성 있는 탐지/추적 능력, 잔전수행에 충분한 C4I 능력, 전문 항공기 통제 능력

  • 7

    HIDACZ 내 적 SAG/ATF에 대해 아 항공자산이용 우선적으로 교전 실시하는 구역은?

    AEZ

  • 8

    적성 미식별 항적(180kts)이하 접촉 시 적극대응(전투기, 방공무기, 대공포 등 이용)하는 선은?

    TAL(전술조치선)

  • 9

    위협분석, 전투, 기능부대지휘관 임명 등 복갛번 수행에 필요한 지휘관의 기본지침을 포함하는 작전유형별 작전 수칙인 OPGEN의 시달권자는?

    복합전지휘관

  • 10

    KAOC의 중앙집권적 통제 하에 공중감시, 항적식별, 전술조치, 요격관제 등 임무를 분권적으로 수행하는 기구는?

    MCRC

  • 11

    연합/합동/협동 전력의 기동, 화력 및 차단을 효과적으로 통합 운용하기 위해 정의된 해당 지역의 수상 및 수중 책임 구역이며, 이 구역 통제는 CWC/OTC가 수행한다. 이 구역은?

    CSAO

  • 12

    식별표적에 대한 분류기준을 명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표적관리

  • 13

    기동부대 운영 기본개념 중 지휘통제는 ()가 원칙이나 할당 전력 고려 융통성 있게 검토한다.

    복합전 지휘구조

  • 14

    기동부대 수행조직 중 함대사령관, 기동부대작전지휘관, 잠수함사령관, 항공사령관은 (. ) 한다.

    협조

  • 15

    RADC가 지정한 구역 내에서 할당된 자산을 이용, 분권화된 방공작전을 수행하는 구역방공사령관(SADC)의 수행 플랫폼을 3가지 이상 서술하시오

    MCRC AWACS DDG E-737

  • 16

    MCSOF의 3단계 수행절차는?

    집결지타격, 해상 타격, 지상 타격

  • 17

    적 지휘관이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필요로 하는 자산(부대, 시설, 장비 등)이란?

    고가치표적 HVT

  • 18

    대함전 지휘관의 책임은?

    대함작전 계획 수립/집행 대함작전 구역을 설정/운용 전술지휘관/조정관에게 정보상황 전파 전투지속능력을 고려한 임무수행 가능여부 판단

  • 19

    전술데이터링크 종류 중 전자보호(EP) 기능을 보유하며, 탄도탄 전시가 가능한 것은?

    LINK-16

  • 20

    복합전 수행 준비요소 중 작전부대 간 일원화된 전투지침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것. 기동부대 작전 수행 시 기본지침 중 위협경보, 무기통제상태, 무장운영태세 설정 등 적 위협 수준 별 아군()이 필요

    태세 설정

  • 21

    모든 표적이 탐지, 보고 및 주적되어야 하는 구역으로 통상 센서의 최대 탐지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은?

    감시구역 SA

  • 22

    MCSOF 중 전투단계 무기선택기준 3가지 이상 서술하시오.

    차기 작전대비 우선적으로 재보급이 요구되는 무기사용제한 함정/항공기에 탐재된 대함전 무기의 가용성 표적에 대한 공격에 가장 효과적인 무기 표적의 가치 및 상태/위협정도/위치 유도탄 적재량 및 발사가능수량 교전규칙 제한사항 함정 전비태세

  • 23

    적성 미식별 항적 접촉 시, 감시/선별적 조치를 취하는 방공작전구역, 북한 공군기지 과일,, 원산 남방 5NM지점을 연장한 선은?

    SSS(특별감시구역)

  • 24

    복합전 수행 준비요소 중 HVU 축차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 ) 필요 , 기동부대작전 수행 시 기본지침 중 감시구역, 식별및 교전구역, 핵심구역 설정 등 주력체 또는 개별함정 중심으로 적/아 종합적 고려 설정, 우군은 간섭 방지 대책 수립을 위해 무엇을 하는가?

    방호권 설정

  • 25

    모든 표적이 식별된 상태여야 하며, 필요시 교전까지 수해알 수 있는 구역으로 통상 우군 무장의 최대 사거리를 기준으로 설정된는 것은?

    식별 및 교전구역(CIEA)

  • 26

    무기통제상태 중 우군 아니면 공겨할 시 설정되는 것은?

    Weapon Free

  • 27

    [번외] 하나 이상의 전술제대에 의해 공유되는 관련정보를 모든 부대가 동일하게 전시하여 공동의 상황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황도는?

    CTP

  • 28

    기능부대지휘관의 종류를 서술하시오.

    탄도탄방어지휘관, 경계진지휘관, 해양차단작전지휘관, 기뢰전지휘관, 기동군수지휘관

  • 29

    적 위협의 정도와 영향을 판단하고 주업되는 지휘통제체계의 조정과 결심을 통하여 방어와 위협을 제거하는 임무를 총괄적으로 수행하는 인원은?

    복합전 지휘관

  • 30

    대함작전의 핵심요소는?

    감시/정찰, 지휘통제, 화력, 기동

  • 31

    전구항공통제체제의 중추기구, 항공작전을 중앙집권적으로 통제 및 조정하는 기구는?

    KAOC(한국항공우주작전본부)

  • 32

    [번외] 복합전 수행 준비요소 중 방어를 위한 경계진 또는 특정 진형 집행, 속렬을 지정하는 것은?

    배진 및 기동

  • 33

    적성 미식별 고속(181 이상) 항적 접촉 시 적극대응 하는 선은?

    H-TAL

  • 34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MAC 으로부터 관할 해역에 대해 다음 임무를 이양받는다 -전장공간 분류를 위한 할당된 항공자산 관리 -표적/잠재표적 위치식별 및 추적 -AR/AI에 표적정보 제공(9LINE 등) 및 표적 최종 유도

    SCAR

  • 35

    기동부대 수행조직 중 기동부대작전지휘관은 수상함, 항공기, 잠수함을 () 한다.

    전술통제

  • 36

    다수 무기가 밀집되어 운용되는 CSAO 상공의 공역 MASOC이 CSAO 진입 후 임무수행준비 완료 시 해구사령관이 요청, 공구사령관이 유효화 후 공역통제권한을 해구사령관에게 이양. CSAO와 같거나, CSAO와 다를 경우 CSAO를 넘지 않는 크기로 GARS 이용 지정하는 이 구역은?

    HIDACZ

  • 37

    해작사는 공중 미상물체 대공혐의점 판단의거 적 무인기로 추정 판단 시. (. ) 발령한다. * 발령권한 : 군단급 이상 작전지휘관

    두루미

  • 38

    대함작전 교전 시 고려사항은?

    교전 거리 내 위협, 적의 군사력과 방어능력, 시기(간), 표적자료, 공격자산 이용 가능성과 무기목록, 전투피해평가, 환경

  • 39

    KAOC의 중앙집권적 통제 하에 감시자산으로부터 접수한 정보 및 경보를 전파, 패트리어트 포대의 교전 통제, 탄도탄 발사지점 정보 제공, 적 탄도탄 발사기지에 대한 공격작전을 지원하는 기구는?

    KAMD 작전센터

  • 40

    대함작전의 기본원칙은?

    작전구역 정찰 및 분석, 지속적인 탐지와 전파, 탐색 및 파괴 효과 극대화, 혐동/합동/연합 전력과의 공조, 부대방호.(전공 탐전 정분 부방)

  • 41

    수상/수중/공중/지상 및 사이버 등 다차원적 전장공간에서 동시 다발적인 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지휘통제가 분권화된 조직을 편성하여 전투를 수항하는 것은?

    복합전

  • 42

    아군지휘관이 임무수행을 위해 반드시 획득하여 공격해야 하는 표적은?

    핵심표적(HPT)

  • 43

    전투지휘관 종류에 대해 서술하시오

    정보전지휘관 방공전지휘관 대함전지휘관 대잠전지휘관 해상전투지휘관 강습전지휘관

  • 44

    특정 임무, 작전 수행에 있어 목표가 되는 표적 - 적성국 항공기, 전투기, 해양차단작전을 실시해야 하는 지정 선박 등 - 상급지휘관이 작전수행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심을 가지는 표적 - 작전수칙, 작전절차 등을 통해 하달

    주요관심표적 CCOI

  • 45

    무력적인 요소를 쓰지 않고, 적을 제압할 수 있는 것은?

    비살상무기

  • 46

    조정관의 종류에 대해 서술하시오.

    공역통제권한자 고정익 항공자산조정관 회전익 항공자산조정관 잠수함작전통제관 연동통제관 암호자재조정관

  • 47

    위협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 허가된 조치사항은 무엇인가?

    기계획 대응(PPR)

  • 48

    복합전 수행 준비요소 중 표적분할, 교전우선 순위 지정, 교전함소의 무장을 지정하는 것은?

    무장운용

  • 49

    KTO 내 전체 공역에 대한 항공기 방어작전 및 탄도탄 방어작전을 책임지는 인원은? *연합공군구성군사령관

    AADC (지역방공사령관)

  • 50

    필요 시 재공격에 대한 공격사항은?

    우군의 피해와 수리 및 복구 가능성 적 능력 및 의도 탄약재보급 능력 재교전 가능성

  • 51

    지속적인 감시, 추적이 필요하거나 전술적인 특이점이 보이는 표적이란?

    관심표적 COI

  • 52

    위협이 주력체(HVU)에 도달하기 전 반드시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하는 구역으로 통상 적 위협의 무장 최대 사거리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은?

    핵심구역(VA)

  • 53

    상급지휘관은 지휘관 의도/임무/자원/순단을 제공하고, 예하지휘관은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대한 고민을 하는 복합전의 수행개념은?

    중앙집권적 지휘통제와 분권적 임무수행

  • 54

    전투전대 배진 후 CSAO 내 ()이용 설정된 AEZ에서 남하하는 적 SAG/ATF에 대한 합동/연합 전술기 교전을 실시한다.

    GARS 좌표

  • 55

    예하 지휘관이 계획 및 조치사항이 상급지휘관의 의도에 맞지 않을 때, 예하지휘관을 통제하기 위해 ‘Say No’하는 것은?

    거부건에 의한 지휘

  • 56

    특정한 임무 수행을 목적으로 단일 지휘관 예하에 편성되는 단위부대들의 편성체는?

    기동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