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만세전에서 삼인칭 '그'를 낫잡아 이르는 말은?
궐자
2
만세전에서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조선인을 멸시하여 이르던 말은?
요보
3
만세전에서 온갖 도깨지, 산천 목석의 정령에서 생겨난다고 하는 걸 일컫는 말은?
이매망량
4
이태준의 해방 전후에서 현이 김 직원에 대한 현의 호감과 존경심을 표현한 말로 인품이 옥과 같이 맑고 깨끗한 사람을 일컫는 말은?
기인여옥
5
만세전에서 "속으로는 요놈 하면서라도 얼굴에만 웃는 빛을 띠면" 의 상황인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도 내심으로는 배반을 뜻하는 사자성어는?
면종복배
6
이태준의 해방 전후에서 불행한 족속으로서 역천 암흠 속에 일루의 광명을 향해 남몰래 더듬는 그 간곡한 심정의 촉수만은 말하지 않아도 서로 굳게 잡히고도 남아라고 표현한 현의 "민족적 울분과 의기에는 공통점이 있다"는 걸 사자성어로 표현한 말은?
동병상련
7
이태준의 해방 전후에서 한두 번 만남으로 서로 간담을 비추는 사이가 됬다는 서로 속마음을 터놓는 친한 사이라는 말을 일컫는 사자성어는?
간담상조
8
이태준의 해방 전후에서 예전에 의료법에 따라 의사가 없는 지역에 배치되어 공공 의료 업무에 종사하던 의사를 일컫는 말은?
공의
9
이태준의 해방 전후애서 서로 허물없이 가까우니의 뜻인 "어느 시골서나 공의는 관리들과 ____ 무엇보다 그 덕으로 징용이나 면할까 함이요. ____: 서로 허물없이 가깝다.
무관하니
10
이태준의 해방 전후에서 1943년 결성된 반민족적 친일 문학 단체
문인 보국회
11
이대봉전에서 "천지는 넓고 광활하여 인명은 하늘에 달렸으니,"라는 말로 장 소저를 설득하는 난향의 말에서 볼 수 있는 사자성어는?
인명재천
12
시녀가 명을 듣고 들어가 소저를 보고 문안하니, 난향이 들은 체 아니 하거늘, 시녀가 다시 고 왈, "왕 공자 내림하셨사오니, 소저는 ___을 맺으소서. 이 또한 하늘이 정한 연분이오니 이런 좋은 때를 잃지 마옵소서." 빈칸의 들어갈 말은?
백년가약
13
이대봉전에서 매파를 보내어 예의를 갖추어 인연을 맺음이 당연하거늘, 네 ____를 행하여 깊은 밤에 노복을 보내어 가만히 사대부가의 내정에 돌입하여 규정처자를 납치함은 무슨 뜻이뇨? 빈칸의 말은?
무도불의
14
조웅전에서 "그대의 행색이 짝 없이 곤박하매 분명 ____ 하는 줄 짐작하였거니와" 에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며 빌어먹는 다는 뜻의 사자성어는?
유리걸식
15
조웅전에서 "귀중한 보검을 거저 주시니 은혜 ____이라. 어찌 갚사오리이까?"에서 죽어서 백골이 되어고 잊을 수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는?
백골난망
16
조웅전에서 웅이 도사를 더욱 공경하여 도업을 배우니 일 년이 지나자 신통 묘술을 배워 달통하니 진실로 ____러라에서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한다라는 뜻의 사자성어는?
괄목상대
17
☆☆☆ 조웅전과 이대봉전에서 나온 사자성어 2가지로 "웅이 무릎을 꿇고 펼쳐 보니 ____이라.", "소저가 서책을 받아 보니, ____과 손오병서라." -> 유학의 성현이 남긴 글 ------------------------------------------------------------------- "밤이면 손오병서와 ____을 습독하여 창검 쓰는 법을 익히니". 도사가 웃고 ____을 주기에 받아 가지고 큰 소리로 읽으니" -> 중국의 오래된 병서
성경현전, 육도삼략
18
조웅전에서 도사 더욱 기특히 여겨 ___ 한 권을 주거늘, 받아 보니 기묘한 법이 많은지라. ___: 천체의 위치와 운행을 나타낸 그림
천문도
19
이태준의 해방 전후에서 "하룻저녁은 주름 잡히었으나 __ 돋는 눈에 눈물이 마르지 않은 채 찾아왔다. __: 정묘하고 아름다운 빛깔
정채
20
이태준의 해방 전후에서 "그 외에 아는 사람이라고는 공읭 소개로 처음 ___ 향교 직원으로 있는 분인데 ___ : 처음 만나서 서로 알게 된
지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