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계단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2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계단실의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창문은 그 면적을 각각 3m2 이하로 할 것
3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틀린 것은?
건축물의 내부에서 노대 또는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30분방화문을 설치하고, 노대 또는 부속실로부터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60분방화문을 설치하도록 한다.
4
다음 중 옥내계단의 너비의 최소 설치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바로 윗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제곱미터 이상인 층의 계단의 너비 150센티미터 이상
5
건축물의 피난층 외의 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최대 얼마 이내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는 내화구조이고 층수는 15층으로 공동주택이 아닌 경우)
50m
6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층수가 16층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피난층 외의 층에서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 계단을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최대 얼마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계단은 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1개소의 계단을 말한다.)
40m
7
계단 및 복도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도는 1:6을 넘지 아니할 것
8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가 10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9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가 15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10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1.8m 이상일 것
11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12
다음은 건축법령상 직통계단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 빈2 - 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 구역(건축물의 피난안전을 위하여 건축물 중간층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을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30개
13
다음 중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공장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에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²인 건축물
14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해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상인 건축물
15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 빈2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인 건축물
16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인 건축물
17
다음 중 내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외벽 중 비내력벽인 경우)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의 두께가 3cm인 것
18
다음 중 내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벽의 경우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 등의 두께가 3cm 이상인 것
19
다음 중 방화구조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1.5cm 이상인 것
20
다음 중 두께에 관계없이 방화구조에 해당되는 것은?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
21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내화구조로 된 바닥⋅벽 및 갑종 방화문으로 구획하여야 하는 연면적 기준은? - 빈3
1000m2 초과
22
다음 방화구획의 설치에 관한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하거나 그 사용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부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동물원의 용도로 쓰는 거실로서 시선 및 활동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23
방화와 관련하여 같은 건축물에 함께 설치할 수 없는 것은?
공동주택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24
같은 건축물 안에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을 함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 할 것
25
태양열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주택의 건축면적 산정 시 이용하는 중심선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 빈4
건축물의 외벽 중 내측 내력벽의 중심선
26
다음 중 건축면적에 산입하지 않는 대상 기준으로 틀린 것은?
지표면으로부터 1.8m 이하에 있는 부분
27
그림과 같은 일반 건축물의 건축면적은? (단, 평면도 건물치수는 두께 300mm인 외벽의 중심치수이고, 지붕선 치수는 지붕외곽선 치수임)
120 m2
28
건축물의 바닥면적 산정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벽ㆍ기둥의 구획이 없는 건축물은 그 지붕 끝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1.5m를 후퇴한 선으로 둘러싸인 수평투영면적을 바닥면적으로 한다.
29
용적률 산정에 사용되는 연면적에 포함되는 것은?
층고가 2.1m인 다락의 면적
30
한 방에서 층의 높이가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 층고 산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각 부분 높이에 따른 면적에 따라 가중평균 한 높이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