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건축기사 필기 건축법규 - 4
  • 우상

  • 問題数 30 • 7/5/2024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2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계단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 2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계단실의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창문은 그 면적을 각각 3m2 이하로 할 것

  • 3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틀린 것은?

    건축물의 내부에서 노대 또는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30분방화문을 설치하고, 노대 또는 부속실로부터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60분방화문을 설치하도록 한다.

  • 4

    다음 중 옥내계단의 너비의 최소 설치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바로 윗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제곱미터 이상인 층의 계단의 너비 150센티미터 이상

  • 5

    건축물의 피난층 외의 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최대 얼마 이내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는 내화구조이고 층수는 15층으로 공동주택이 아닌 경우)

    50m

  • 6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층수가 16층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피난층 외의 층에서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 계단을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최대 얼마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계단은 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1개소의 계단을 말한다.)

    40m

  • 7

    계단 및 복도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도는 1:6을 넘지 아니할 것

  • 8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가 10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 9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가 15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 10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1.8m 이상일 것

  • 11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 12

    다음은 건축법령상 직통계단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 빈2 - 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 구역(건축물의 피난안전을 위하여 건축물 중간층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을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30개

  • 13

    다음 중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공장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에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²인 건축물

  • 14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해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상인 건축물

  • 15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 빈2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인 건축물

  • 16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인 건축물

  • 17

    다음 중 내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외벽 중 비내력벽인 경우)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의 두께가 3cm인 것

  • 18

    다음 중 내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벽의 경우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 등의 두께가 3cm 이상인 것

  • 19

    다음 중 방화구조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1.5cm 이상인 것

  • 20

    다음 중 두께에 관계없이 방화구조에 해당되는 것은?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

  • 21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내화구조로 된 바닥⋅벽 및 갑종 방화문으로 구획하여야 하는 연면적 기준은? - 빈3

    1000m2 초과

  • 22

    다음 방화구획의 설치에 관한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하거나 그 사용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부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동물원의 용도로 쓰는 거실로서 시선 및 활동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 23

    방화와 관련하여 같은 건축물에 함께 설치할 수 없는 것은?

    공동주택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 24

    같은 건축물 안에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을 함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 할 것

  • 25

    태양열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주택의 건축면적 산정 시 이용하는 중심선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 빈4

    건축물의 외벽 중 내측 내력벽의 중심선

  • 26

    다음 중 건축면적에 산입하지 않는 대상 기준으로 틀린 것은?

    지표면으로부터 1.8m 이하에 있는 부분

  • 27

    그림과 같은 일반 건축물의 건축면적은? (단, 평면도 건물치수는 두께 300mm인 외벽의 중심치수이고, 지붕선 치수는 지붕외곽선 치수임)

    120 m2

  • 28

    건축물의 바닥면적 산정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벽ㆍ기둥의 구획이 없는 건축물은 그 지붕 끝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1.5m를 후퇴한 선으로 둘러싸인 수평투영면적을 바닥면적으로 한다.

  • 29

    용적률 산정에 사용되는 연면적에 포함되는 것은?

    층고가 2.1m인 다락의 면적

  • 30

    한 방에서 층의 높이가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 층고 산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각 부분 높이에 따른 면적에 따라 가중평균 한 높이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