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기말고사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52 • 11/26/2024

    記憶度

    完璧

    7

    覚えた

    20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흡광광도법이란?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목적성분을 정량하는 방법, 시료에 특정파장의 빛을 쪼여 흡광도를 측정하면 이 특정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물질의 양을 알수있다., 자외선(180~320nm), 가시광선(320~800nm)의 영역을 측정한다(총 180~800nm)

  • 2

    흡광광도법의 장점은?

    정략분석이 빠르다, 간편하다, 경제적이다, 정확도, 정밀도가 우수하다 -> 소수섬 셋째짜리까지 정확히 값이 나옴, 재현성이 좋다 -> 실험을 다시해도 값이 비슷

  • 3

    빛의 성질을 설명하는 방법은?

    입자설과 파동설로 설명한다

  • 4

    입자설이란?

    빛의 입자는 고속운동을 한다

  • 5

    파동설이란?

    빛은 진동운동을 한다

  • 6

    파동설의 3가지 구성요소는?

    파장, 진동수, 빛의 속도

  • 7

    파장이란?

    봉우리 <-> 봉우리 / 골 <-> 골, 파장의 길이에 따라 색이 다르다(색을 구별한다)

  • 8

    빛의 속도는?

    3 x 10⁸ m/s

  • 9

    진동수란?

    빛의 파동에서 매초 발생하는 진동의 횟수, 1초당 1번 진동하는것을 1Hz, 빛의 입자가 1초당 봉우리를 몇번 지나가는지

  • 10

    파동설의 계산식과 관계는?

    빛의 속도(C) = 파장(ㅅ) x 진동수(u), 파장과 진동수는 반비례한다

  • 11

    파장과 빛 에너지 사이의 공식과 관계는?

    빛에너지(E) = 플랭크상수(h) x 진동수(u) = 플랭크상수(h) x 빛의속도(C) / 파장(ㅅ), 플랭크 상수(h) : 6.62 x 10⁻²⁷ erg s / photon, 빛에너지는 진동수에 비례하고 파장에 반비례한다

  • 12

    전자기 스펙트럼이란?

    모든 전자기파를 파장에 따라 분해하여 배열한 것, 스펙트럼은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 13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의 종류는?

    반사, 흡수, 산란, 형광, 인광 : 형광은 빛을 흡수하면 나중에 사라지고 인광은 안사라짐, 광화학적 반응 : 특이한 경우, 중합을 이용한다, 눈으로 거의 볼수 없다

  • 14

    분광학이란?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 15

    분광학에서의 흡수는?

    투명한 매질에 들어있는 화학종이 특정파장의 전자기파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현상, ex) 셀을 통과할때 I₀(입사광)이 I(출사광)이 되는것

  • 16

    비어의 법칙이란?

    빛이 어떤물질을 통과하면 빛의 일부를 흡수해 물질을 통과한 빛의 세기가 감소한다, 빛의 세기는 물질의 양, 물질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흡수된 빛은 전자전위, 진동전이, 회전전이의 원인이 된다

  • 17

    비어의 법칙과 관련된 계산식(투광도, 흡광도)

    투광도(T) = I / I₀, 흡광도(A) = -logT = -log(I/I₀) = log(I₀/I), 10^A = I₀/I

  • 18

    람베르트비어의 법칙이란?

    A(흡광도) = E(몰흡광계수) x B(셀의 직경) x C(시료의 농도), 몰흡광계수(E)가 클수록 빛을 잘 흡수한다

  • 19

    람베르트-비어 법칙의 식에서 변수에 따른 식의 변형은?(물리적 의미)

    농도를 일정하게, 셀의 직경을 변수로 A = EBC = KB, 셀의 직경이 클수록 흡광도가 커진다 : 람베르트 법칙, 셀의 직경을 일정하게, 농도를 변수로 A = EBC = KC, 시료의 농도가 클수록 흡광도가 커진다 : 비어의 법칙

  • 20

    비어의 법칙 응용

    흡광도는 단위가 없다 -> 대조액의 흡광도와 시료의 흡광도의 비율이므로, 흡광물질의 농도가 매우 높거나 낮으면 비어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산, 염기, 염등은 희석될수록 이온화가 증가해 흡광도가 다를 수 있다, 유기화합물은 농도가 변하면 응집되어 흡광도가 다를 수 있다

  • 21

    분광광도계란? 구성은?

    빛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기기, 광원 -> 파장선택장치 -> 셀 -> 검출기, 지시기

  • 22

    광원이란?

    UV(자외선), Vis(가시광선)를 발생시킨다(180~320nm , 320~800nm), UV는 수소, Vis는 텅스텐을 사용

  • 23

    파장선택장치란?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의 파장 범위는 넓다(180~800nm), 이때 이 넓은범위중에서 흡광물질의 최대흡수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ex) KMnO₄ : 540nm, 파장의 순도가 크다 -> 측정감도가 크다 -> 흡광도가 잘나온다 -> 물질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한다, 단색화 장치(회절격자, 프리즘)을 사용한다

  • 24

    셀이란?

    흡광물질이 있는 곳, 빛을 흡수하는 곳, 시료용액이 들어있어 흡광도를 측정하는 곳, 파장선택장치에서 나오는 최대흡수파장의 빛을 시료에 통과시킨다, 외부의 빛이 없어야한다

  • 25

    검출기, 지시기란?

    셀을 통과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흡광도를 나타내는 장치

  • 26

    셀의 주의사항은?

    굴절률, 반사율, 셀의 내부두께에 따라 흡광도가 다르다, 굴절률, 반사율, 셀의 내부두께를 동일하게 하면 표준화 셀이라한다 -> 흡광도 차이가 1% 이하, 흡광도 측정 시 셀은 정확한 위치에 있어야한다, 셀에 흠, 지문, 용매가 묻어 있으면 잘 닦거나 교체한다

  • 27

    용도에 따른 셀의 종류는?

    시료셀 : 시료용액를 넣는 셀, 대조셀 : 대조액을 넣는 셀

  • 28

    재질에 따른 셀의 종류는?

    석열셀 : UV, Vis의 범위를 측정한다 , 가장 좋고 비싸다, 플라스틱셀 : 230nm이하의 파장을 측정하지 않는다, PMMA셀 : Vis의 범위를 측정한다, 가장 많이 사용

  • 29

    대조액이란?

    흡광물질이 없는 용액, 흡광물질을 제외한 나머지 사항은 시료용액과 같아야 한다, 시료 용액은 시료 + 용매인데 여기서 시료를 제외한것을 대조액이라한다,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조액은 투명해야한다

  • 30

    발색시약, 가리움제란?

    자외선, 가시광선 영역(180~8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을때 측정되지 않으면 발색시약을 사용한다, 발색시약을 사용하면 빛을 흡수하는 화합물로 변한다, 발색반응은 산화환원반응, 중화반응, 나금속 킬레이트 생성반응등이 있다

  • 31

    발색시약의 조건

    발색된 색이 예민하고 안정되어야한다, 방해성분이 적고 목적성분에만 반응해야한다, 발색된 화합물의 조성이 명확해야한다, 비어의 법칙을 충족해야한다

  • 32

    흡광도 측정시 고려사항은?

    용매, 유기용매, 극성물질 용매, 시료의 pH, 시료의 온도

  • 33

    흡광도 측정 시 용매의 고려사항은?

    시료를 녹여야한다, 비가연성이여야한다, 독성이 없어야 한다, 모든 파장의 빛이 완전히 통과해야한다, 흡광도에 영향이 없어야한다, 용매와 목적성분이 반응할때 흡광도에 영향이 없어야한다, 가장 좋은 용매는 증류수(단 증류수는 유기화합물을 용해하지 못함)

  • 34

    흡광도 측정시 유기용매의 고려사항은?

    유기용매의 비점이 낮아 상온에서 기화하여 농도가 변하는 경우 덮개가 있는 셀을 사용한다

  • 35

    흡광도 측정시 극성물질 용매의 고려사항은?

    용매가 극성이면 최대흡수파장, 흡광도에 영향을 미친다 ex) 아세톤은 용매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이 259~279nm으로 달라진다

  • 36

    흡광도 측정시 시료의 pH의 고려사항은?

    시료의 pH에 따라 흡광도가 변하면 완충용액으로 pH의 변화를 방지한다

  • 37

    흡광도 측정시 시료의 온도의 고려사항은?

    시료의 온도는 시료에게 물리화학적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일정한 온도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 38

    CoCl₂의 최대흡수파장은?

    512nm

  • 39

    열분석이란?

    프로그램으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물질의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는 방법, 온도변화를 통한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변화를 측정한다, 단일물, 혼합물, 반응성 화합물의 특성을 측정한다

  • 40

    열분석 방법의 종류는?

    열량측정 : DSC, 질량측정 : TGA, 길이측정 : dilatometer(비닐을 늘릴때 열을 주면 얼마나 더 늘어나는지)

  • 41

    DSC란?

    시차주사열량계 , 기준물질(reference)과 분석물질(sample)사이에서 온도차가 발생하면 이 온도차를 없애기 위해 가하는 열량으로 물질의 열적성질을 확인한다, 승온, 감온, 등온을 통해 물질의 유변학적 성질을 확인한다, reference와 sample의 같은 열을 가해 열유속차이를 측정한다, 전도되는 전력으로 엔탈피 변화 측정한다 -> 열적거동 확인, 승온 : 시간당 ? ‘C 올렸을때의 변화, 감온 : 시간당 ? ‘C 내렸을떄의 변화, 등온 : ?‘C에서 ?시간동안 방치하였을때의 변화

  • 42

    DSC의 장점

    실험결과를 빨리 얻는다, 재현성이 뛰어나다, 시료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 1~5mg, 실험은 한번이지만 온도가 계속 바뀌므로 여러 실험결과를 얻는다 , 실험결과가 근본적인 성질을 나타낸다

  • 43

    DSC가 분석가능한것

    용융엔탈피, 결정화엔탈피, Tg, Tc, 상변이 온도, 산화도, 순도, 열안정성, 물리적전이, 화학반응의 거동, 비열

  • 44

    DSC시료의 유의사항은?

    시료는 가능한 얇게 팬의 바닥을 많이 덮어야 한다, 분말보다는 필름의 형태로 얇게 가공한다

  • 45

    TGA란?

    열질량분석기, 온도와 시간변화에 따른 질량변화를 측정한다, 다른 열분석기와 함께 사용

  • 46

    TGA가 분석가능한것은?

    정량분석, 열안정성, 산화안정성, 분해속도, 수분, 휘발성 기체 함유량, 반응성가스의 환경, 부식환경의 영향

  • 47

    열안정성을 평가할때 보는것은?

    구조, PS의 경우 PVC에서 Cl을 벤젠으로 치환한것 -> 벤젠은 열안정성이 우수하다

  • 48

    파장의 단위는?

    1cm = 10⁴u = 10⁷nm = 10⁸A

  • 49

    TGA 곡선 해석방법

    열안정성이 떨어질수록 낮은온도에서 분해된다, PVC -> PMMA -> LDPE -> PTFE -> PS 순으로 열안정성이 높다

  • 50

    DTGA곡선이란?

    TGA곡선을 미분하면 DTGA곡선, 증발순서는 물, 기화성 물질 -> CO -> CO₂

  • 51

    DSC 곡선 해석방법

    위에가 발열(exothermic), 아래가 흡열(endothermic), Tg : 흡열, Tc : 발열, Tm : 흡열, 가교 : 발열, 마지막으로 산화

  • 52

    검량선이란?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용액의 흡광도를 구해 검량선을 만든후 미지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에 대입해 미지시료의 농도를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