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홀랜드와 마턴스 성격의 3수준
심리적 핵, 전형적 반응, 역할 행동, 사회 환경
2
프로이드 정신 역동이론
의식, 전의식, 무의식
3
현상학적 이론(매슬로우의 욕구 체계)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사회적 욕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4
특성이론: 체형이론
내배엽형, 중배엽형, 외배엽형
5
특성이론: 칼융의 내향성 외향성, 올포트의 성격특성, 카텔의 16PF 질문지
공통 특성, 개인적 성향(주성향 중심성향 이차성향), 표면특성, 기본특성
6
성격 5요인 이론(빅파이브 이론)
정서적 불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호감성, 성실성
7
모건의 정신건강 모형 빙산형 프로파일
긴장, 우울 , 불안, 활력, 피로, 혼동
8
그릿(grit)
태도, 회복 탄력성, 내적동기, 끈기
9
A형 행동 B형 행동
A: 다혈질 심혈관계 질환 발생 확률 높음 관상동맥질환 등 심폐질환의 발생가능성 높음, B: 일처리에서 여유를 보이는 사람
10
선수의 기술수준과 성격(선수성격 피라미드)
올라갈수록 동질성 증가, 내려갈수록 이질성 증가
11
세이지의 동기 특성
방향, 강도
12
동기의 관점
특성지향 관점, 상황지향 관점, 상호작용 관점
13
스캔런 스포츠전념 요인
사회적 제약, 스포츠 재미, 가치 있는 기회, 사회적 지지, 다른 중요한 활동, 개인적 투자
14
스캔런 스포츠 재미의 원천
숙달 성취, 사회적 소속, 동작 감각
15
칙센트 미하이 스포츠 몰입차원(몰입상태 척도FSS)
자기목적적 경험, 도전과 기술의 균형, 변형된 시간 감각, 명확한 목표, 구체적 피드백, 통제감, 과제 집중, 자의식 상실, 행동과 인식 일치
16
데시와 라이언 자기결정이론 무동기 유형
능력부족, 전략미흡, 노력회피, 무기력 신념
17
데시와 라이언 자기결정이론 통제적 외적동기
외적규제, 내사규제
18
데시와 라이언 자기결정이론 자율적 외적동기
확인규제, 통합규제
19
데시와 라이언 자기결정이론 내적동기
지식, 성취, 자극 체험
20
데시와 라이언 인지평가 이론
통제적 측면 내적 외적 자결성 증가 감소 내적동기 증가 감소, 정보적 측면 긍정 부정 유능성 증가 감소 내적동기 증가 감소
21
과잉 정당화 가설(할인원리, 감소원리)
외적인 보상 때문에 운동을 하는 사람은 보상이 없어지면 활동을 멈춘다
22
내적동기 향상 전략(웨인버그&굴드)
성공 경험 제공, 구체적인 수행에 대해 보상, 언어적 비언어적 칭찬, 훈련 내용과 순서의 다양화, 의사결정에 학생 참여, 실현 가능한 수행목표 설정
23
와이너의 귀인이론 귀인의 차원
안정성, 인과성, 통제성
24
귀인의 주요 개념
능력: 내적 안정적 통제 불가능, 노력: 내적 불안정적 통제 가능, 과제 난이도: 외적 안정적 통제 불가능, 운: 외적 불안정적 통제 불가능
25
학습된 무기력과 귀인 훈련(성공, 실패)
성공의 원인은 내적이며 통제가능하고 안정적인 요인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실패의 원인은 내적이며 통제가능하고 불안정적인 요인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26
성취목표 2원 분류법(엘리엇&맥그리거) 유능감 접근, 무능감 회피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27
동기 분위기
과제 관여적 숙달 분위기, 자아 관여적 수행 분위기
28
로버츠의 TARGET전략
과제, 권위, 인정, 집단편성, 평가, 시간
29
반두라 자기효능감의 측정
수준, 강도, 일반성
30
Gill의 자기효능감
특정과제, 지속실천, 방해요인
31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모델링
셀프모델링, 대처모델, 숙달모델, 커버트 모델링
32
빌리의 스포츠 자신감의 원천
사회적 분위기, 자기조절, 성취
33
스포츠 자신감 결정 요인
특성스포츠 자신감, 경쟁성향, 상태스포츠 자신감, 행동 반응, 주관적 결과(성공결과, 부정적결과)
34
하터의 유능성 동기이론
성공적 수행은 자기효능감과 긍정적 정서, 유능성을 향상시킨다
35
유능성 동기의 요소(하터)
동기 지향성, 지각된 유능성, 통제감
36
맥그라스의 스트레스 과정
환경적 요구, 환경 요구 지각, 스트레스 반응, 행동결과
37
스트레스 요인 (상황적요인)
시합의 중요성, 시합의 불확실성
38
스트레스 요인 (개인적 요인)
특성불안, 자아존중감
39
스미스의 인지적-정서적 스트레스 모형
상황, 정신적 평가, 생리적 반응, 행동, 인지기술, 이완기술, 중재, 통합적 대처반응
40
라에데케의 번아웃 구성요소
성취감 저하, 스포츠 평가절하, 신체적 정서적 고갈
41
번아웃 모형: 부정적 훈련 스트레스 반응모형
과훈련 증후군, 스테일네스, 번아웃
42
추동이론
각성수준과 수행력을 비례관계로 설명한다
43
역U자 가설(여키스와 도슨)
중간정도 각성수준에서 최고 운동수행을 발휘한다, 과제 특성에 따른 적정 각성수준
44
적정 각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역U자 가설)(개수과운)
개인의 특성 불안 수준, 수행할 과제의 난이도, 과제 학습 단계, 운동기술의 특성
45
최적수행지역이론(ZOF)
최고 수행을 발휘할 수 있는 자신만의 고유한 불안수준이 존재한다
46
다차원 불안이론
인지불안과 신체불안이 독립적 양상으로 영향을 제공한다
47
카타스트로피 이론(하디)
인지불안이 낮을 때 각성과 역U자 관계, 인지불안이 높을 때 각성이 어느 지점을 넘어서게 되면 한순간에 수행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카타스트로피가 발생한다
48
히스테리시스 효과
신체적 각성을 낮추더라도 수행이 직전의 최고점에 도달하지 못한다
49
커의 전환이론
각성과 정서의 관계, 높은 각성을 불쾌한 불안이 아닌 유쾌한 흥분으로 해석해야 한다
50
Apter의 반전이론
목표지향양식, 쾌락지향양식
51
마턴스의 심리에너지 이론
긍정적 심리에너지 높을 때 부정적 심리에너지 낮을 때 최고 운동수행
52
불안의 각성 조절 기법 생리적 방법
호흡조절, 점진적 이완, 바이오 피드백
53
불안의 각성 조절 기법 인지적 방법
자기암시, 인지재구성, 명상, 자생훈련, 체계적 둔감화
54
부정적 자기암시를 긍정적 자기암시로 바꾸는 기법
사고정지, 긍정적인 생각으로 대체, 반격하기, 관점 바꾸기
55
인지재구성 5가지
사건, 신념, 행동적 결과, 논박, 효과
56
불안 감소 복합 기법
시각 운동 행동 시연(VMBR), 인지적 감정적 스트레스 관리훈련(SMT), 스트레스 접종훈련(SIT)
57
시각 운동 행동 시연(VMBR) 구성요소
이완, 심상
58
인지적 감정적 스트레스 관리훈련(SMT)의 일반적 단계
처치 전 평가, 처치 근거 설명, 기술습득, 기술 리허설, 훈련 후 평가
59
스트레스 접종훈련(SIT) 다면적 인지행동요법
개념화 단계, 기술습득 단계, 적용 단계
60
니데퍼의 주의 모형(폭과 방향)
광의 외적, 광의 내적, 협의 외적, 협의 내적
61
단서활용가설(이스터브룩)
주의산만, 적정 각성, 협소화
62
Etzel의 주의집중 요소
선택성, 용량, 지속성, 융통성
63
니데퍼 주의제어 훈련(ACT)
변화하는 상황에 대처하도록 주의 유형 전환
64
윌리엄스 외부통제 전략
드레스 리허설, 시뮬레이션, 멘탈 리허설
65
윌리엄스 내부통제 전략
주의집중 단서, 집중과 재집중, 수행 프로토콜, 센터링, 바이오 피드백, 틱톡, 실패를 성공으로 바꾸기
66
윌리엄스 자기암시
주의 제어, 정서와 분위기 전환, 자기효능감 향상, 나쁜 습관 교정, 노력 통제, 기술 습득과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