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지게차로 가파른 경사지에서 화물을 운반할 때에는 어떤 방법이 좋은가?
기어의 변속을 저속상태로 놓고 후진으로 내려온다
2
일반적으로 지게차의 자체 중량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운전자
3
지게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목적지에 도착 후 화물을 내리기 위해 틸트 실린더를 후경시켜 전진한다
4
《건설기계관리법》상 건설기계 검사 유효 기간이 끝난 후에 계속 운행하고자 할 때는 어느 검사를 받아야 하는가?
정기 검사
5
체크 밸브가 내장되는 밸브로서 유압 회로의 한 방향의 흐름에 대해서는 설정된 배압을 생기게 하고, 다른 방향의 흐름은 자유롭게 흐르도록 한 밸브
카운터 밸런스 밸브
6
운전 중 좁은 장소에서 지게차를 방향 전환시킬 때 가장 주의할 점으로 옳은 것은?
뒷바퀴 회전에 주의하여 방향 전환한다
7
지게차 작업장치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리퍼
8
지게차가 무부하 상태에서 최대 조향각으로 운행 시 가장 바깥쪽 바퀴의 접지자국 중심점이 그리는 원의 반경
최소 회전 반지름
9
지게차 스프링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스프링장치가 없다
10
작업 전 지게차의 워밍업 운전 및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
시동 후 작동유의 유온을 정상 범위 내에 도달하도록 고속으로 전, 후진 주행을 2~3회 실시
11
지게차를 전, 후진 방향으로 서서히 화물에 접근시키거나 빠른 유압작동으로 신속히 화물을 상승 또는 적개시킬 때 사용하는 것은?
인칭조절 페달
12
지게차의 주된 구동방식
앞바퀴 구동
13
축전지와 전동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지게차
전동 지게차
14
지게차의 동력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로 가장 적합한 것은?
복동 실린더 더블 로드형
15
지게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오일 압력 경고등은 시동 후 워밍업되기 전에 점등되어야 한다
16
지게차를 주차하고자 할 때 포크는 어떤 상태로 하면 안전한가?
평지에 주차하고 포크는 지면에 접하도록 내려놓는다
17
지게차 포크에 화물을 적재하고 주행할 때 포크와 지면과의 간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0~30cm
18
지게차 운전 종료 후 점검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각종 게이지
19
지게차 포크의 간격은 파렛트 폭의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파렛트 폭의 1/2~3/4
20
지게차에서 화물 취급 방법으로 틀린 것은?
포크를 지면에서 약 800mm 정도 올려서 주행해야 한다
21
교통사고 발생 후 벌점 사항 중 틀린 것은?
중상 1명마다 30점
22
건설기계 조종 중에 과실로 1명에게 중상을 입힌 때 건설기계를 조종한 자에 대한 면허의 취소 · 정지 처분 기준
면허 효력 정지 15일
23
4차로 이상 고속도로에서 건설기계의 법정 최고 속도는 시속 몇 km인가?
80km/h
24
건설기계 소유자 또는 점유자가 건설기계를 도로에 계속하여 버려두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타인의 토지에 버려둔 경우의 처벌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25
지게차의 주차 및 정차에 대한 안전 사항으로 틀린 것은?
주 · 정차 시에는 지게차에 키를 꽂아 놓는다
26
평탄한 노면에서의 지게차를 운전하여 하역작업을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불안정한 적재의 경우에는 빠르게 작업을 진행시킨다
27
화재 발생 시 연소 조건이 아닌 것은?
발화시기
28
지게차의 운전을 종료했을 때 취해야 할 안전 사항이 아닌 것은?
연료를 빼낸다
29
지게차로 화물을 싣고 경사지에서 주행할 때 안전상 올바른 운전방법
내려갈 때에는 저속 후진한다
30
작업 용도에 따른 지게차의 종류가 아닌 것은?
곡면 포크 (Curved fork)
31
지게차의 포크를 내리는 역할을 하는 부품
리프트 실린더
32
지게차의 조향방법으로 옳은 것은?
후륜 조향
33
노면이 얼어붙은 경우 또는 폭설로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인 경우 최고 속도의 얼마나 감속 운행하여야 하는가?
50%
34
지게차의 화물 운반작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마스트를 뒤로 6도 정도 경사시켜서 운반한다
35
둥근 목재나 파이프 등을 작업하는데 적합한 지게차의 작업 장치
힌지드 포크
36
사용 중인 작동유의 수분 함유 여부를 현장에서 판정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
오일을 가열한 철판 위에 떨어뜨려 본다
37
산업안전보건에서 안전표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위험표지
38
지게차 인칭 조절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트랜스미션 내부에 있다
39
지게차는 자동차와 다르게 현가 스프링을 사용하시 않는 이유
롤링이 생기면 적하물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40
지게차에서 주행 중 조향핸들이 떨리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포크가 휘었을 때
41
지게차의 리프트 실린더 작동회로에 사용되는 플로 레귤레이터(슬로 리턴) 밸브의 역할
포크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여 포크가 천천히 내려오도록 한다
42
지게차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화물을 실었을 때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은?
평형추
43
지게차 포크를 하강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리프트 레버를 앞으로 민다
44
지게차의 운정 장치를 조작하는 동작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전 · 후진 레버를 앞으로 밀면 후진이 된다
45
지게차의 작업장치 중 석탄, 소금, 비료, 모래 등 비교적 흘러내리기 쉬운 화물 운반에 이용되는 장치
힌지드 버킷
46
지게차 포크에 화물을 싣고 창고나 공장을 출입할 때의 주의 사항 중 틀린 것은?
차폭이나 출입구의 폭은 확인할 필요가 없다
47
지게차를 경사면에서 운전할 때 화물의 방향
화물이 언덕 위쪽으로 가도록 한다
48
《건설기계관리법》상 건설기계의 소유자는 건설기계를 취득한 날부터 얼마 이내에 건설기계 등록신청을 해야 하는가?
2개월 이내
49
지게차에서 지켜야 할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
이동 시는 포크를 반드시 지상에서 높이 들고 이동할 것
50
지게차 화물 취급 작업 시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화물의 근처에 왔을 때에는 가속 페달을 살짝 밟는다
51
유압이 진공에 가까워짐으로서 기포가 생기며 이로 인해 국부적인 교압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
캐비테이션 현상
52
지게차의 일반적인 조향방식
뒷바퀴 조향방식이다
53
지게차의 틸트 레버를 운전석에서 운전자 몸 쪽으로 당기면 마스트는 어떻게 기울어지는가?
운전자의 몸쪽 방향으로 기운다
54
지게차의 운전방법으로 틀린 것은?
화물 운반은 항상 후진으로 주행한다
55
지게차의 조종 레버 명칭이 아닌 것은?
밸브 레버
56
지게차의 좌우 포크 높이가 다를 경우에 조정하는 부위
리프트 체인의 길이로 조정한다
57
지게차 하역작업 시 안전한 방법이 아닌 것은?
무너질 위험이 있는 경우 화물 위에 사람이 올라간다
58
유압유의 유체에너지(압력, 속도)를 기계적인 일로 변환시키는 유압장치
유압 액추에이터
59
주차 및 정차금지 장소는 건널목 가장자리로부터 몇 m 이내인 곳인가?
10m
60
지게차에서 적재 상태의 마스트 경사로 적합한 것은?
뒤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61
전동 지게차의 동력전달 순서로 옳은 것은?
축전지 --> 제어 기구 --> 구동 모터 --> 변속기 --> 종감속 및 차동장치 --> 앞바퀴
62
지게차를 운행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적재 시에는 최고 속도로 주행한다
63
도로교통법에 위반되는 행위
다리 위에서 앞지르기 하였다
64
도로교통법 상 주차 금지 장소가 아닌 곳은?
전신주로부터 12m 이내인 곳
65
자체중량에 의한 자유낙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로에 배압을 유지하는 밸브
카운터 밸런스 밸브
66
안전보건표지에서 안내푲의 바탕색
녹색
67
이세틸렌 용접장치의 방호장치
안전기
68
지게차를 운전할 때 유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해 뒤쪽에 사람을 탑승시켜야 한다
69
선반작업, 드릴작업, 목공기계작업, 연삭작업, 해머작업 등을 할 때 착용하면 불안전한 보호구
장갑
70
폭발행정 끝부분에서 실린더 내의 압력에 의해 배기가스가 배기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현상
블로 다운
71
지게차의 충전장치에서는 어떤 발전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가?
3상 교류 발전기
72
특별표지판을 부착하지 않아도 되는 건설기계
높이가 3m인 건설기계
73
지게차의 마스트를 전경 또는 후경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틸트 실린더
74
지게차의 리프트 실린더 작동회로에서 플로 프로텍터(벨로시티 퓨즈)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
컨트롤 밸브와 리프터 실린더 사이에서 배관파손 시 적재물 급강하를 방지한다
75
납선 배터리 액체를 취급하기에 가장 적합한 복장
고무로 만든 옷
76
지게차에 화물을 적재하고 주행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급한 고갯길을 내려갈 때는 변속 레버를 중립에 두거나 엔진을 끄고 타력으로 내려간다
77
지게차에서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레버를 밀어도 마스트가 경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틸트 록 장치
78
드릴작업 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드릴이 움직일 때는 칩을 손으로 치운다
79
지게차로 적재작업을 할 때 유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화물을 높이 들어 올려 아랫부분을 확인하며 천천히 출발한다
80
작동유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점도 지수가 높아야 한다
81
유압 실린더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동 실린더 배플형
82
재해 발생 원인 중 직접 원인이 아닌 것은?
기계 배치의 결함
83
지게차 작업 시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
화물을 적재하고 경사지를 내려갈 때는 운전 시야 확보를 위해 전진으로 운행해야 한다
84
건설기계의 정기 검사 신청 기간 내에 정기 검사를 받은 경우 정기 검사 유효 기간 시작 일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유효 기간 내에 검사를 받은 것은 종전 검사 유효 기간 만료일 다음 날부터
85
고속도로 통행이 허용되지 않는 건설기계
지게차
86
벨트를 풀리에 장착 시 작업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회전을 중지시킨 후 건다
87
유압회로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펌프에서 토출된 오일을 전부 탱크로 회송시켜 펌프를 무부하로 운전시키는데 사용하는 밸브
언로드 밸브
88
라이너식 실린더에 비교한 일체식 실린더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라이너 형식보다 내마모성이 높다
89
일반적으로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안전을 위해서 오히려 장갑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작업
해머 작업
90
엔진 윤활유의 기능이 아닌 것은?
연소 작용
91
점검 주기에 따른 안전 점검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구조 점검
92
축전지의 방전은 어느 한도 내에서 단자전압이 급격히 저하하며 그 이후는 방전 능력이 없어지게 된다. 이때의 전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방전 종지 전압
93
정비 작업 시 안전에 가장 위배되는 것은?
연료를 비운 상태에서 연료통을 용접한다
94
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연성가스에 의한 화재를 D급 화재라 한다
95
정기 검사 유효 기간을 1개월 경과한 후에 정기 검사를 받은 경우 다음 정기 검사 유효 기간 산정 기산일
검사를 받은 날의 다음날부터
96
지게차의 조향 방법으로 옳은 것은?
후륜 조향
97
작업 안전상 보호 안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
건설기계 운전 작업
98
지게차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블레이드
99
기관에서 완전연소 시 배출되는 가스 중에서 인체에 가장 해가 없는 가스
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