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구원열차 기관사 조치
1) 관제사에게 운전 명령과 고장열차 정차 지점, 운전 방식 확인 2) 차장에게 안내방송, 최근역에 승객 하차 의뢰 3) 전령자 전호로 고장열차 3m 앞에 정차, 연결기 공기마개 4개 제거 4) 단속단으로 고장열차 연결, 살짝 후진하여 연결상태 확인 5) RSOS 해당위치로 전환, ATCCOS/ATSCOS 차단 6) 관제 보고후, 25키로 이하 속도로 운전
2
고장 열차 기관사 조치
1) MC키 및 제동핸들 취거, 후부 운전실로 이동, RSOS 해당위치로 전환, 배전반 DILPN 차단 2) 연결기 공기마개 4개 제거, 12점퍼선 준비, 필요시 103 인통선 준비 3) 구원열차 연결하고 전부 운전실 ATSCOS 차단
3
고장 / 구원열차 공통 사항
1) 제동핸들 취거, 12점퍼선 연결, MR Cock 개방, 제동핸들 7단 유지 2) 버저 및 통화 시험과 제동시험 후 운전 취급등에 관한 협의 (축전지 전압 저하시 103인통선 연결)
4
12점퍼선 종류
10: 회생제동 작용선 27,28,29: 상용제동선 31,32: 비상제동 Loop선 33: 보안제동선 100: 접지선 145: 출입문등 점등선 164: 승무원 연락용 버저선 174,175: 차내방송선
5
완전부동 취급 시기
1) Pan 파손및 집전장치 고장시 2) 피뢰기 작동시 3) 주휴즈 용손시 4) EGS 용착시 5) 디젤기관차 구원받을때 6) 기타 필요시
6
완전부동 취급 시기에서 기타필요시?
1) MCB 투입 또는 차단 불능시 2) 전차선이 없는 구간 잘못 진입시 3) L1 차단 되고 복귀 불능시
7
완전부동 취급 방법
1) 관제사와 차장에게 통보후 전편성 MCB 차단, PAN 하강 조치 2) 해당 M' 차 ADAN,ADDN 먼저 차단하고 PANVN 차단 3) 이후 연장 급전, PAN상승 및 MCB 투입
8
전 편성 Pan 내리지 않고 완전 부동 취급 방법
1) 고장 M' 차 ADAN,ADDN 먼저 차단하고 PanVN 차단후 해당 Unit 연장급전
9
완전부동 취급 하고 연장 급전후 현상
1) 완전부동 취급시 해당 Unit Pan 하강으로 MCB 양소등, 동력운전 및 제동 시 Power등 점등 불능 2) 연장 급전으로 전체 객실등과 냉난방 반감 되지만, 고장 Unit CM은 정상 구동
10
연장 급전 시기
1) SIV 고장시 2) M'차 주변환기 고장시 3) 완전부동 취급시
11
VCOS 취급시기와 방법
1) 시기는 C/I 고장으로 CIFR 여자시, 송풍기 고장으로 BMFR 여자시, 주변압기 고장으로 MTAR 여자되어 복귀 불능시 2) 방법은 동력핸들 OFF 위치에서 MCBOS - RS - 3초후 MCBCS 취급
12
VCOS 취급후 현상 및 조치
1) VCOS취급후 CIFR,BMFR 여자시는 Fault등 소등, VCO등 점등 되며 MTAR 여자시는 Fault등 소등, UCO등 점등 2) CIFR,BMFR 고장 차량은 L1,L2,L3 투입 불능 및 AK, K 투입 불능 고장없이 정지한 차량의 MCB는 재투입 되지만 MTAR은 MCB 투입불능 3) M'차 개방된 경우나 MTAR 여자시는 연장급전 필요
13
연장 급전 방법
1) SIVFR 여자시는 운전실에서 ESPS 취급하며, 기타는 수동으로 IVCN 차단하고 연장급전 후 MCBOS - RS - 3초후 MCBCS 취급하여 모니터 “송풍기 정지” 현시 복귀 2) 연장급전시 T1 차량은 상황에 따라 ESS 1또는 2 위치로 전환 (T1차 연장급전시 ESS 1 위치에서는 0호대 SIV 가 전원공급을 하고, 2 위치에서는 9호대 SIV가 전원공급)
14
연장급전 후 확인 방법
모니터의 ‘차량상태’ 화면 또는 객실등 반감 상태로 확인
15
전체 Pan 상승 불능시 현상과 조치
현상: AC/DC등 소등, 모니터에 전체 PAN 하강 표시 조치: 1) 전차선 급전 상태 확인 2) 축전지 전압 74V 이상 확인 3) ACM 공기압력 확인 4) MCB 차단여부 확인 5) 전부 TC차 MCN, HCRN 차단여부 확인 6) 전. 후부 TC차 EPANDS 및 EGCS 작동 여부 확인 7) 후부TC 차에서 취급
16
1개 Unit Pan 상승 불능시 현상 및 조치
현상: MCB 양소등, 모니터에 해당 차 PAN 하강표시 조치: 1) 해당 M'차 PanVN과 의자 밑 Pan 공기관 Cock 4개 확인 2) DC구간은 MCBN2 차단여부 확인
17
전체 MCB 투입 불능시 현상 및 조치
현상: MCB OFF등 점등, SIV등 소등 조치: 1) Pan 상승여부 확인 2) ADS 정위치 확인 3) MCBOS - CS 취급하여 MCBHR 작동음 확인 4) 전부 TC차 MCN, HCRN 차단여부 확인 5) 전.후부 TC차 EPANDS, TEST 스위치 작동 여부 확인 6) 주 공기 압력 또는 ACM 공기 압력 확인 7) 후부 TC 차에서 취급
18
MCB 사고 차단의 경우
1) 교류모진으로 ArrOCR 여자시 2) 주 변압기 1차측 과전류로 ACOCR 여자시 3) 주 변환기 중고장으로 MCBOR 무여자시
19
1개 Unit MCB 투입 불능시 현상 및 조치
현상: 해당차량 MCB 차단 표시되고 MCB 양소등 조치: 1) ADAN, ADDN, MCBN1, MCBN2, MTOMN, MTBMN 차단여부 확인 2) M,M' 차 CIN 차단여부 확인 3) M'차 의자 밑 PanV 이전 Cock 확인 4) M'차 차체 하부 MCB 공기관 Cock 확인
20
동력 운전 불능시 확인사항 및 조치사항
1) 급전 및 MCB 투입상태 확인 2) 전.후진 핸들 전.후진 위치 확인 3) Door등 점등 확인, 소등시 후부 운전실 DILPN 차단여부 확인 4) 주차제동 스위치 및 주 공기압력 확인 5) ATS/ ATC 관련 차단기 확인 ( ATCN, ATCPSN, ATSN1 ) 6) 제동핸들 완해 위치 에서 2~3초간 동력운전 취급 7) 관제사 승인후 ATCCOS/ATSCOS 차단하고 동력운전 취급 8) 그래도 동력 운전 불능시 후부 운전실에서 취급
21
비상제동이 작동되는 경우
1) 제동핸들로 비상제동 체결시 2) 전.후부 운전실 비상제동 스위치 작동시 (EBS1,2) 3) ATS/ATC 에 의해 비상제동 체결시 4) DSD 작동시 5) BVN1, BVN2, HCRN, ATCN, ATCPSN, ATSN1 회로차단기 차단시 6) 주 공기 압력 저하시 7) RSOS 정상 위치가 아닐때 8) 열차 분리시
22
비상제동 체결과 관련있는 회로 차단기 또는 스위치
회로차단기는 BVN1, BVN2, HCRN, ATCN, ATCPSN, ATSN1 이 있고 스위치는 비상제동 스위치 EBS1,2 , 구원 운전 스위치 RSOS, 주공기 압력 스위치 MRPS
23
BVN1, BVN2 회로차단기 복귀 불능시 조치
관제사 지시로 후부 운전실에서 추진운전
24
비상제동 완해 불능시 현상 및 조치
현상: 모니터에 “비상제동 동작” 표시되고 동력운전 불능 조치: 1) 비상제동 작동 원인을 확인하고 조치 2) 조치 불능시, 관제사에 보고하고 EBCOS 투입하여 비상제동 개방하고 차장에게 통보후 운전
25
주 공기압력 상승 불능시 현상및 조치
현상: 비상제동 체결되고 동력운전 불능 조치: 1) 공기누설 여부 확인하고 모니터로 SIV와 CM 구동상태 확인, 공기 누설시 누설되는 차량 공기관 Cock 차단 및 인접 차 사이 주 공기관 Cock 차단 2) CM 구동 불능시 해당 차량 CMCN, CMGN 확인하고 구동 불능시 PAN 하강, 제동핸들 취거, 10초후 재기동 취급. 복귀 불능시 구원요구
26
주 공기압력 9.7 키로 이상 상승시 현상 및 조치
현상: CM 계속 구동으로 주 공기압력이 9.7 키로 이상 올라가고 안전변 분출 조치: 1) 모니터로 CM 구동상태 확인 2) CM 계속 구동되는 차가 있으면 해당차 CMCN, CMGN 차단하여 CM 정지 3) 전체 CM 구동되면 순차적으로 CMGN 차단하여 CM 정지되면 해당차량 CMGN 차단하고 운전
27
TC차 전면 2지변 이후 주 공기압력 누설시 현상 및 조치
현상: 비상제동 체결되고 동력운전불능 조치: 1) 전부 TC차와 인접차 사이 주 공기관 Cock 차단 2) 전부 TC차 주차제동 강제완해 3) 승객을 다른 차량으로 이동후 출입문 쇄정 4) CMCN, CMGN 차단 CM정지 5) 후부 운전실에서 DIRS 및 EBCOS 차단하고 추진운전으로 회송조치
28
주차제동 수동 완해 방법
1) 주차제동 스위치, 주차위치 2) TC차 BC 전체완해 Cock 차단 3) 전부 대차 2,3위 주차완해 고리를 당겨 완해 4) BC 전체 완해 Cock와 주차제동 스위치 복귀
29
BC 전체완해 Cock를 차단하는 이유?
공기제동 완해 상태에서 주차제동 완해가 가능하고 주차제동 완해 여부를 확인 할 수 있기 때문
30
제동 불완해 발생시 조치
1) CPRS 취급하고 모니터로 해당차량 완해 확인 하고 CPRS 복귀 2) CPRS 취급으로 완해 불능시 조치 2-1) 즉시 정차하여 BC 전체 완해 Cock를 차단 2-2) 제동축 비율에 따라 제한속도 이하로 운전 (제동축 비율 80-100 미만은 110키로 이하)
31
CPRS 취급 차량의 제동 상태?
상용및 비상제동 작용 불능이지만 보안제동 가능함
32
보안제동 완해 불능시 조치
1) 전.후부 운전실 보안제동 스위치 확인 2) 완해 불능시 전.후부 운전실 SCBN 차단 3) 그래도 완해 불능시 BOU함 뒤 SBU Cock를 차단
33
보안제동이 체결되지 않는 경우의 조치
1) 운전실 내 SCBN 차단 여부 확인 2) 1량인 경우, 해당 차량 배전반 내 SCBN1 확인
34
Fault등 및 백색 차측등이 점등되는 경우
1) CM 고장으로 EOCR 여자시 2) SIV 고장으로 SIVFR 여자시 3) 주 변환장치 고장으로 CIFR 여자시 4) 직류구간 L1 차단으로 L1FR 여자시 5) 교류모진으로 ArrOCR 여자시 6) 주 변압기 1차측 과전류로 ACOCR 여자시 7) 주 변압기 계통 고장으로 MTAR 여자시
35
SIV 고장시, 원인과 현상 및 조치
원인: 1) SIV 중고장으로 SIVFR 여자시 2) TC차 및 T1차 IVCN 차단 또는 M'차 AMCN 차단시 3) 교류구간에서 주변압기 고장, CI 고장으로 SIV 전원공급 불능시 현상: 교류구간 송풍기 정지로 C/I 정지 SIVFR 여자시 Fault등과 백색 차측등 점등 조치: 1) 차측등 및 모니터로 고장차량 확인후 MCBOS - RS - 3초후 MCBCS 취급 2) 복귀 불능시 Pan 하강, 제동핸들 취거, 10초후 제기동 취급 3) 그래도 복귀 불능시 IVCN 차단하고 연장급전 후 MCBOS - RS -3초후 MCBCS 취급
36
SIV 전원 공급처
-AC440V : CM, 냉난방, CIBM, FLBM, MTBM, MTOM -AC220V : 운전실등, AC객실등, 행선등, 열차번호등 -AC100V : AC전조등, 제상기, Levelling 밸브 와 각종 장치히터 -DC100V : 축전지 전원, 저압 제어전원, DC객실등과 방공등, DC전조등
37
정지위치 지나 정차시 조치
1) 정지위치를 지나 승강장 내에 정차한 경우, 차장과 협의하여 정지위치 조정하고 관제사에 즉시보고 2) 승강장을 완전히 벗어난 경우에는 관제사의 퇴행 승인을 받고 차장과 협의 하여 퇴행
38
폐색구간 점유기준
ATS 구간은 출발 신호기를 기준 ATC 구간은 출발 경계표지를 기준
39
ATS 구간 출발신호 정지시 조치
1) 차장에게 안내방송 요청, 관제사에게 출발신호 정지 상태를 통보하고 운전명령 번호 수신 2) 제동핸들 4단 이상에서 ASOS 취급하고, 선로전환기를 확인 하면서 열차 후부가 맨 바깥 선로전환기 통과시 까지 25키로 이하로 운전 3) 맨 바깥쪽 선로전환기 부터 다음 신호기 위치 까지 열차 없음이 확인될 때는 45키로 이하, 그밖에는 25키로 이하로 운전
40
장시간 단전시 조치
1) 관제사에게 단전 여부와 급전시기 확인하고 차장에게 안내방송 요청 2) 구름방지 조치 하고, 운전실 배전반 EOCN On 취급 3) Pan 하강 및 제동핸들 취거, 축전지 전압74V 이상 수시로 확인 4) 필요시 승객 편의를 위해 각 차량 출입문 1개씩 개방하고 급전시 까지 대기
41
전차선 단전후 급전시 MCBOS - CS 취급 하는 이유?
7,8선을 끊어 MCBR2 자기여자 회로를 차단하기 위해 취급
42
ASOS 취급시기
1) 장내 및 출발신호기 정지로 수신호에 따라 운전할 경우 2) 입환신호기 또는 역 구내 폐색신호기 정지신호 현시 구간을 넘어서 운전할 경우 3) 정지신호 R0 자동폐색신호기를 넘어서 운전하거나 넘어서 정지한 경우 4) ATS 지상 창지가 고장일 경우 5) 상치신호기 지상자가 설치된 입환 표지와 입환 신호기 개통 구간을 운전할 경우
43
진로개통 표시기 불량시 조치
차내 신호가 진행을 현시해도 진로 개통 표시기를 지나 진입할수 없고, 진행 수신호 생략 승인에 의해 운전
44
직류전환시 MCB 양소등 발생시 조치
1) 즉시 EPanDS 취급, 절연구간을 40키로 이하로 운전 2) 최근역 정차, 모니터로 MCB차단 불능 차량 확인, EPanDS 복귀하고 Pan 상승 3) Pan 상승 불능 차량의 MCBN1 차단되어있으면 복귀 시키고, 정상이면 MCB 기계적 고착으로 판단, 완전부동 취급후 연장급전 하고 운전
45
(DC - AC)교류전환시 MCB 양소등 발생시 조치
1) 즉시 EPanDS 취급 2) 최근역 정차, 완전부동 취급후 연장급전 하고 운전 ( 하선 절연구간 통과속도는 따로 없지만 보편적으로 60키로 이하 이며, MCBN1 차단과 관계없이 MCB 기계적 고착으로 인한 양소등만 발생 )
46
교류모진시 현상 및 조치
현상: 직류피뢰기 방전으로 전차선 단전되어 AC등 소등, 모니터에 AC 과전류 1차 현시되고 MCB OFF 등, Fault등과 백색 차측등 점등 조치: 1) 즉시 EPanDS 취급, 최근 정거장 도착후 EPanDS 복귀 2) 해당차 완전 부동 취급 후 연장급전 3) MCBOS - RS - 3초후 MCBCS 취급하여 fault등과 백색 차측등 소등하고 운전
47
교류모진 확인 방법?
모니터 또는 fault등 과 차측등 점등, 굉음으로 인한 승객 제보로 확인
48
EPanDS 고착 또는 복귀 불능시 조치
전부 운전실 PanDN 차단하고 후부 운전실에서 추진운전 ** 차장이 승무하지 않은 1인 승무 열차인 경우, 구원받아 회송조치
49
EGCS 고착 또는 복귀 불능시 조치
전부 운전실 PanDN 차단하고 관제사가 지시하는 역까지 운전
50
임시 신호기 종류
서행 예고 신호기 서행 신호기 서행 해제 신호기
51
임시 신호기 지나 동력 운전 시점
ATC 구간은 전부 TC차가 서행 해제 신호기 지점에 도달 하였을때 동력 운전 ATC 외에 구간은 후부 TC 차가 서행 해제 신호기를 지난후 동력 운전 ** ATC 구간은 서행 구역에서 전동차 편성 길이를 지난 시점에 서행해제 신호기 설치
52
임시 신호기(서행 예고 신호기) 설치 지점
1) 지상구간은 서행 신호기 전방 400m 이상 지점에 설치 2) 지하구간은 200m 이상 지점에 설지
53
차량간 주공기 누설시 조치
1) 누설개소 전.후 차 사이의 MR Cock 차단 2) CM 이 1개 있는곳의 CMCN 차단하고 동기 구동회로 차단 3) 해당 차량 출입문 쇄정후 필요시 DIRS 취급 4) 차량교환 역까지 운행
54
EPanDS 취급시기
전차선 장애 발견시, 교직 절환중 MCB 고장 발생시, 운전 취급중 또는 검수 작업중 Pan을 급히 하강할 필요가 있을때 취급
55
교.직류 전환시 MCB ON등 계속 점등시 조치
1) 2선이 단선 되었거나 HCR2 b 접점 불량시, 후부 운전실 MCBHR 트립 코일 여자 불능으로 양쪽 운전실에서 7선 또는 8선이 가압되어 ADS를 전환해도 MCB 차단 불능 2) 즉시 EPanDS 취급하고 직류 전환 시에는 절연구간을 40키로 이하로 운전 하고, 교류 전환시에는 그대로 운전하여 최근 정거장 도착, EPanDS 복귀 하고 Pan 상승, MCB 투입 후 운전 3) 종착역 도착, 운전실 교환 후에는 후부 운전실 MCN 차단하고 전도 운전후 입고 조치
56
EBCOS 취급하면 비상제동 완해되는 경우
1) DSD 불량으로 비상제동 완해 불능일 경우 2) 전, 후부 운전실 RSOS 정상위치 아닐때 3) MR 압력 6키로 이하시 4) 전, 후부 운전실 EBS1,2 복귀 불능시
57
제동축 비율이란?
차량에 연결된 차축 수에 대한 제동이 작용하는 차축수의 비율
58
L1 차단되는 경우?
직류구간에서 견인회로에 1600A 이상 과전류시 주 변환장치 전력 변환 소자 소손 되어 L1 차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