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창발기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28 • 12/11/2024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반의어를 떠올리는 것을 통해 창의력 테스트를 고안해낸 사람은?

    알버트 로젠버그

  • 2

    3M의 10,15,30 접근 방법에서 가장 좋은 것은?

    15

  • 3

    SCAMPER의 약자를 쓰시오.

    Substitute, Combine, Adapt, Modify, Put to other purpose, Eliminate, Reverse

  • 4

    SCAMPER을 고안한 사람은?

    애벌레

  • 5

    원인결과 다이어그램을 개발한 사람은?

    카오루 이시카와

  • 6

    원인결과 다이어그램의 또 다른 명칭 두가지는 무엇인가?

    특성요인도, fish bone

  • 7

    메타인지란?

    자신의 생각에 대해 판단하는 능력

  • 8

    능력이 만들어 내는 변수보다, 상황에 의한 영향력이 훨씬 크다? (O, X)

    O

  • 9

    TRIZ를 만든 사람은?

    알트슐러

  • 10

    알트슐러가 개발한 발명문제해결이론은 무엇인가?

    TRIZ

  • 11

    TRIZ에서의 모순에는 ( )모순과 ( )모순이 있다.

    기술적, 물리적

  • 12

    심리적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을 따라가는 성향으로 다수가 옳다고 믿는 신념 때문에 개인의 옳은 판단이 영향을 받게 되는 현상은?

    애쉬효과

  • 13

    브레인스토밍시 기억할 사진 5가지는?

    눈 굴리기 원칙, 피자 두 판의 원리, 수도꼭지의 원리, 샌드위치 기법, 다다익선

  • 14

    의사결정 진행 기간 동안 의사소통은 금지되고 기록과 검토를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기법은?

    명목평가 기법

  • 15

    한 평가 기준에서의 약점이 다른 평가기준에서의 장점에 의해 보완되지 않은 평가방식은?

    비보완형 모형

  • 16

    결합형 방법과 분리형 방법 중 어떤 것이 최저기준치가 더 높을까?

    분리형 방법

  • 17

    명목평가 기법의 정의는?

    의사결정 진행 기간 동안 의사소통은 금지되고 기록과 검토를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함

  • 18

    TED 콘텐츠의 약자

    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

  • 19

    지식창출과정 (SECI) 주기이론의 4단계는?

    1. 공동화 (Socialization), 2. 표출화 (Externalization), 3. 연결화 (Combination), 4. 내면화 (Internalization)

  • 20

    토의시 어떠한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question burst

  • 21

    SIT의 풀워딩은 무엇인가?

    Systematic Inventive Thinking

  • 22

    SIT와 TRIZ의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학습 및 적용이 짧고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적용범위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공학적 문제해결에 좀 더 적합하다, 순수한 사고만으로 문제를 해결함으로 보편적인 문제에 더 적합하다

  • 23

    SIT의 두가지 원리

    고립된 세계의 원리, 질적 변화의 원리

  • 24

    노나카 이쿠지로가 만든 지식의 전달과정을 묘사한 모형의 명칭은?

    SECI

  • 25

    다양한 융합 현상에 대한 본질적이고 광범위한 표현을 나타내는 말은?

    메디치 효과, 르네상스 운동

  • 26

    1959년에 한 강연에서 과학과 인문학의 분리 현상을 지적한 사람은?

    시피스노우

  • 27

    망해도술이란?

    이순신 장군이 해전 때 쓰던 거리 측정법

  • 28

    조선시대 수학책 이름은?

    구일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