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영선사 일행으로 청에 가는 생도(시기)
1881년
2
원수부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관리(시기)
대한제국 시기
3
남연군 묘를 도굴하려는 독일 상인(시기)
1868년
4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우는 평양 관민(시기)
1866년
5
경부선 기차를 타고 부산으로 가는 기자(시기)
대한제국시기
6
황제 직속의 원수부를 설치했다
광무개혁
7
공사 노비법의 폐지를 결정했다
1차 갑오개혁
8
5군영에서 2영으로 군제를 개편했다(시기)
1881년
9
양전 사업을 실시하고 지계를 발급했다
광무개혁
10
박문국을 설치하여 한성순보를 발행했다(시기)
1883년
11
서양식 근대 교육기관인 육영 공원을 설립했다(시기)
1886년
12
을사늑약의 체결(시기)
1903년
13
한일 신협약의 체결(시기)
1907년
14
고종이 강제로 퇴위당했다(시기)
1907년
15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시기)
1896년
16
통감부가 설치되고 초대 통감이 부임했다(시기)
1906년
17
13도 창의군이 서울 진공 작전을 제개했다(시기)
1908년
18
일본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내정 개혁을 요구했다(시기)
1894년
19
유생 출신 유인석이 이끄는 의병이 충주성을 점령했다 (시기)
1895년
20
영국이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불법 점령했다(시기)
1885년
21
고종이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를 파견했다(시기)
1907년
22
이륭양행에 교통국을 설치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23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했다
조선어학회
24
태극 서관과 자기 회사를 운영했다
신민회
25
만민 공동회를 열어 민권 신장을 추구했다
독립협회
26
남만주 삼원보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했다
신민회
27
농촌 계몽을 위한 브나로드 운동을 전개했다
동아일보
28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독립 공채를 발행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29
대성 학교와 오산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 교육을 실시했다
신민회
30
최익현, 민종식 등이 주도했다
을사의병
31
을사늑약에 반발하여 봉기했다
을사의병
32
단발령의 시행에 반발하여 봉기했다
을미의병
33
고종의 해산 권고 조칙에 따라 해산했다
을미의병
34
양주에 집결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했다
정미의병
35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승인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정미의병
36
거중 조정의 조항을 포함했다
조,미 수호 통상조약
37
최혜국 대우를 처음으로 규정했다
조,미 수호 통상조약
38
천주교 선교를 인정하는 근거가 되었다
조,프 수호 통상조약
39
외국 상인의 내지 통상권을 최초로 규정했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40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부임하는 계기가 되었다
1차 한일 연합
41
함경도와 황해도에 방곡령이 선포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조,일 통상 장정
42
부산,원산,인천에 개항장이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강화도조약
43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중단되었다
국채 보상 운동
44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에 반대했다
독립협회
45
조선 사람 조산 것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물산 장려 운동
46
자작회,토산 애용 부인회 등이 활동하였다
물산 장려 운동
47
금주,금연을 통한 차관 갚기 운동을 전개했다
국채 보상 운동
48
대한매일신보 등 당시 언론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국채 보상 운동
49
일본,프랑스 등의 노동 단체로부터 격려전문을 받았다
원산 총파업
50
최초로 상업 광고가 개재되었다
한성주보
51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이었다
독립신문
52
국채 보상 운동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대한매일신보
53
외국인이 읽을 수 있도록 영문으로도 발행힜다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
54
순 한문 신문으로 열흘마다 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한성순보
55
단군을 숭배의 대상으로 했다
대종교
56
만세보를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힘썼다
천도교
57
여성 교육을 위해 이화 학당을 설립했다
개신교
58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했다
개신교
59
경향신문을 발간하여 민중 계몽에 기여했다
천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