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7세 어린이의 구강에 맹출한 영구치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치근이 짧고 치근단부가 넓다.
2
유치열기 우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미숙아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다.
3
치근단유도술의 시술과정과 기재의 연결이 옳은 것은?
약제도포-MTA(mineral trioxide aggregate)
4
진료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원활한 진료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물리적인 방법은?
신체속박법
5
8세 어린이의 하악좌측 제1,2 유구치가 상실되었고, 하악좌측 제1대구치 교합면은 치면열구전색이 되어 있다. 적합한 공간 유지장치는?
설측호선
6
뇌성마비 환자를 치료할 때 유의사항은?
환자의 머리를 고정한다.
7
치열 발육기에서 유치 맹출기에 나타나는 특징은?
유아기우식병
8
진료 중에 오디오나 비디오 등을 이용하여 치과치료에 대한 긴장을 줄여주는 행동조절법은?
분산
9
유구치 기성 금속관의 특징은?
당일 치료가 가능하다.
10
8세 어린이가 외상으로 상악 중절치가 파절되어 내원하였다. 검사 소견이 다음과 같을 때 시행할 수 있는 치료법은? - 치아동요는 없다. - 외상 후 1시간 정도 경과하였다. - 엑스선 영상에서 치근이나 치조골 파절은 없다.
치근단유도술(apexogenesis)
11
치수절단술에서 치수조직 제거 후 바로 이어지는 술식은?
근관형성
12
9세 어린이의 하악 좌측 제1,2 유구치가 상실되었을 때, 적합한 공간유지장치는?
설측호선
13
혼합치열기 전기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옳은 것은?
상악 제1대구치의 변위맹출
14
미성숙 영구치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소와 열구가 명확하다.
15
치과치료에 대한 불안이나 공포감을 가진 어린이에게 약한 것에서 강한 것으로 자극을 반복하여 극복시키는 행동조절법은?
체계적 탈감작법
16
7세 어린이가 하악우측 제1대구치의 우식치료를 받기 위해 내원하였다. 와동을 형성하는 중 1mm 이내의 치수노출이 있었다면 적합한 치료법은?
직접치수복조술(direct pulp capping)
17
유구치를 발치할 때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발치 전에 엑스선 영상 확인이 필요하다.
18
5세 어린이의 구강검사 결과이다. 적합한 공간유지장치는? - 하악좌측 유견치는 건전하다. - 하악좌측 제1유구치는 상실되어 있다. - 하악좌측 제2유구치는 치수치료가 되어 있다.
크라운 & 루프
19
미성숙영구치 우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유치 우식과 인접한 경우 이환율이 높다.
20
불안과 공포가 심하고 구역반사가 있는 어린이에게 적합한 행동조절 방법은?
아산화질소 - 산소 흡입 진정법
21
유구치 기성관 수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당일 수복이 가능하다.
22
외상으로 치수가 노출된 미성숙영구치의 치관부 치수를 제거하고 치근부 치수의 생활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치근단유도술(apexogenesis)
23
8세 어린이가 상악 중절치의 완전탈구로 내원하였다. 처치법으로 옳은 것은?
생리적 동요를 허용하고 고정한다.
24
영구절치가 맹출되는 시기에 나타나는 구강 내 현상으로 옳은 것은?
상악절치의 정중이개
25
다음의 특징이 나타나는 치열발육 단계는? - 전치부의 잦은 외상 -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 - 상악 중절치가 부챗살 모양으로 맹출
혼합치열기 전기
26
유치우식증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수복상아질 형성이 활발하다.
27
소아환자의 인상을 채득하는 과정에서 숫자를 세게 하거나 동영상을 보여 주는 행동조절법은?
주의분산
28
미성숙 영구치의 치관부 치수를 제거하고 치근단의 형성을 유도하는 술식에 사용하는 것은?
수산화칼슘
29
다음의 특징이 나타나는 치아외상은? - 타진에 민감함 - 특별한 치료 없이 주기적인 검사를 함
진탕
30
하악에 양측으로 다수의 유구치가 상실된 경우에 필요한 공간유지장치는?
설측호선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