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알고리즘문제해결 형성
  • ᄂ개솔

  • 問題数 52 • 1/2/2024

    記憶度

    完璧

    7

    覚えた

    20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배열의 원소 접근 시간복잡도

    O(1)

  • 2

    배열의 원소 삽입 시간복잡도

    O(n)

  • 3

    배열의 원소 삭제 시간복잡도

    O(n)

  • 4

    연결리스트 원소접근 시간복잡도

    O(n)

  • 5

    연결리스트 원소 삽입 시간복잡도

    O(1)

  • 6

    연결리스트 원소 삭제 시간복잡도

    O(1)

  • 7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여러 동작들의 모임

    ㅇㄱㄹㅈ

  • 8

    입력크기에 단위 연산이 몇번수행되는가 계산,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을 측정하는 지표

    ㅅㄱ ㅂㅈㄷ

  • 9

    입력 크기에 따라 작업 공간이 얼마나 필요한가 계산, 알고리즘의 필요 메모리를 측정하는 지표

    ㄱㄱ ㅂㅈㄷ

  • 10

    알고리즘의 복잡도는()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ㅂㅇㅍㄱㅂ

  • 11

    어떤 데이터들이 주어졌을때 이를 정해진 순서대로 나열하는 문제

    정렬

  • 12

    서로 이웃한 데이터들을 비교하며 가장 큰 데이터를 가장 뒤로 보내며 정렬하는 방식

    ㅂㅂㅈㄹ

  • 13

    선택정렬의 시간복잡도

    o(n2)

  • 14

    버블정렬의 시간복잡도

    o(n2)

  • 15

    ()의 경우 이미 정렬되어있는 데이터에 대해서는()의 시간복잡도를 갖고 최악의 경우에는()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삽입정렬 o(n) o(n2)

  • 16

    데이터들이 정렬되어있으면서 그 안에 어떤 값을 찾고자 할때, 데이터의 중간값과 찾고자하는 값을 비교하여 대소관계에 따라 탐색 범위를 절반씩 줄여나가는 기법

    ㅇㅈㅌㅅ

  • 17

    이진탐색의 시간복잡도

    o(logn)

  • 18

    전체 데이터의 크기를n이라고 할때 ()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o(logn)

  • 19

    프로그램이 자료를 저장하는 방식

    ㅈㄹㄱㅈ

  • 20

    책을쌓아두는 방식은

    스택

  • 21

    일렬로 자료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선형 자료구조

  • 22

    대표적인 선형 자료구조

    ㅅㅌ ㅋ ㅂㅇ ㅇㄱㄹㅅㅌ

  • 23

    스택에서 자료가 저장되어있는 가장 마지막 위치

    top

  • 24

    스택이 가득찼을때 원소 추가

    ㅅㅌㅇㅂㅍㄹㅇ

  • 25

    스택 비어있을때 원소 꺼내려하는경우

    ㅅㅌ ㅇㄷㅍㄹㅇ

  • 26

    자료가 삽입되는 끝을()라고함

    rear

  • 27

    자료가 삭제되는 끝

    front

  • 28

    입의접근이 가능한것은

    배열

  • 29

    임의접근 불가능

    연결리스트

  • 30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연결리스트

  • 31

    계층 관계를 갖는 자료들을 표현하기위해서는 ()를 활용할수있다

    트리

  • 32

    해군 조직도는 어떤 자료구조인가

    트리

  • 33

    트리의 최상위 노드

    루트노드

  • 34

    어떤 노드의 상위레벨에 연결된 노드

    부모노드

  • 35

    어떤 노드의 하위 레벨에 연결된 노드

    자식노드

  • 36

    동일한 부모노드를 갖는 노드

    ㅎㅈㄴㄷ

  • 37

    자료가 저장된 노드들이 간선으로 서로 연결되어있는 자료구조

    트리

  • 38

    트리에서 한 노드와 그의 자손들을 모두 모으면 그들도 하나의 투리가 된다 이렇게 자손들로 이루어진 트리를()라고한다

    서브트리

  • 39

    재귀적속성때문에 트리를 다루는 코드들은 대개 ()를 이용해 구현

    ㅈㄱㅎㅅ

  • 40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

    재귀함수

  • 41

    정점들과 정점 사이의 간선들로 구성되어있는 자료구조

    그래프

  • 42

    그래프의 대표적인 표현방식

    인접행렬 ㅇㅈ ㄹㅅㅌ

  • 43

    그래프에서 모든 정점쌍에 대한 간선의 정보를 저장하는 행렬

    ㅇㅈㅎㄹ

  • 44

    그래프의 각 정점마다 해당 정점에서 나가는 간선의 목록을 저장해서 그래프 표현

    인접리스트

  • 45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중 가장 널리사용되고있는 알고리즘

    dfs bfs

  • 46

    현재 정점과 인접한 간선들을 하나씩 검사하다가, 아직 방문하지 않은 정점으로 향하는 간선이 있다면 그 간선을 무조건 따라간다 이과정에서 더이상 갈곳없는 정점에 도달하면 마지막에 따라어ㅏㅆ던 간선을 따라 뒤로 돌아간다

    ㄱㅇㅇㅅㅌㅅ

  • 47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발견하는 가장 단순하고 고전적인 방법

    ㄱㅇㅇㅅㅌㅅ

  • 48

    시작점에서 가까운 정점부터 순서대로 방문하는 탐색알고리즘

    ㄴㅂㅇㅅㅌㅅ

  • 49

    이진탐색의 시간복잡도

    o(logn)

  • 50

    데이터를 삽입하고 삭제하는 과정이 한쪽 끝에서만 일어나는 형태의 자료구조

    스택

  • 51

    한쪽끝에서는 삽입, 한쪽끝에서는 삭제과정만 일어나는 자료구조

  • 52

    계층관계를 갖는 자료들을 표현하기위해 사용되는것

    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