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화약의 힘에 의해 포탄을 발사하여 인원 및 함정 등과 같은 표적을 살상 또는 파괴하는 무기
함포
2
15-25mm미만의 함포
소구경 함포
3
탄약의 기본구성
사출탄, 뇌관, 장약
4
추진장약의 폭발력에 의해 표적까지 비행하여 표적을 손상 또는 파괴시키는 부분
사출탄
5
뇌관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하면서 발생된 다량의 가스가 약실과 포신 내에서 높은 압력을 형성하여 포탄을 표적 지역까지 운반하는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동력원
장약
6
탄약의 분류 중 뇌관과 발사장약, 사출탄이 고정되어 있는 탄약
고정식 탄약
7
뇌관과 발사장약은 고정되어 있고, 사출탄은 분리되어 있는 탄약
반고정식 탄약
8
반고정식 탄약의 예시
127mm 함포탄약
9
127mm/54 함포를 사용하는 함정
DDH-1
10
스텔스 함포
5‘’/62 함포
11
76mm/62 함포를 사용하는 함정
FF, PCC
12
30mm G/K를 사용하는 함정
DDH-1/2, DDG, LPH
13
20mm Phalanx 사용하는 함정
FFG-1/2, LPH-2, AOE-2
14
유도탄이 표적을 인식하여 추적하는 방식
종말유도
15
유도탄 자체에서 전자파를 조사,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유도탄의 탐색기가 수신 후 표적으로 유도하는 방식
능동방식
16
함대함 유도탄으로 DDH-1,2에 사용되는 것
Harpoon
17
능동방식의 함대함 유도탄은?
해성
18
함대함 유도탄 종류 2가지
Harpoon, 해성
19
함대함 유도탄 공격 방법으로 고도를 유지하면서 표적을 향해 수평으로 돌진하는 기동 방법, 표적의 피해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 주갑판 아래 측면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해면밀착공격
20
함대함 유도탄의 공격형태로 표적 앞에서 상승 후 곧바로 하강돌진하는 기동, 소형 표적을 효과적으로 공격하거나 파도가 높은 해상 상태의 경우 적용시키는 것은?
경사공격
21
함대지 유도탄으로 호위함에 탑재되어 발사되며 발사 플랫폼이 다양하며 적 지대함 유도탄 기지, 해안포 통제 R/S등 연안표적 및 적 지상군 병력장비 타격 목표로 사용, 대지 공격 효율을 증가하기 위해 파편형 탄두 사용, GPS 수신체계를 이용하여 비행하므로 탐색기 미보유한 유도탄은?
해룡
22
반능동방식으로 대공구역을 방어하는 유도탄은?
Sea-Sparrow
23
함대함 유도탄이 아닌것은?
SM-2
24
수동방식의 함대공유도탄은?
RAM
25
함대공 유도탄이 아닌것은?
Harpoon
26
수동방식의 함대공 유도탄은?
미스트랄
27
Lynx 장착용 공대함 단거리 유도무기
Sea-Skua
28
AM-159 장착용 중거리 유도 무기
Spike
29
대유도탄 기만체계 아닌것은?
해룡
30
대유도탄 기만체계 2가지 이상
MASS, R-BOC, DAGAIE
31
중량 300kg, 직경 324mm, 길이 3m 이내의 어뢰
경어뢰
32
중량 1-1.5톤, 직경 533-650mm, 길이 6-7m 정도의 어뢰, 수상함 및 잠수함 공격을 목표로 운용(잠수함에 탑재)
중어뢰
33
잠수함이 운용하는 무기 아닌것은?
청상어
34
DDH-2급 구축함에 탑재, 유도탄에 의한 경어뢰 원거리 발사, 국내 최초의 복합수중무기
홍상어
35
수상함, 헬기 및 대잠 초계기에 탑재하여 적 잠수함을 공격하믄 경어뢰
청상어
36
직접적 위협뿐만 아니라 해양작전 거부 및 항만통제 위험 강요, 해역봉쇄하는 것은?
기뢰
37
기뢰의 부설위치로 틀린것은?
조종기뢰
38
폭발력이 매우 크며 잠수함의 공격용으로 운용되며 FF,PCC 등에서 사용
폭뢰
39
천해, 연안에서 주로 사용하며 공격/방어용으로 운용하고 침투하는 적에 대해 방어
소형폭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