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화산분출 등에 의해 지구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는 열을 말한다. 온천이나 난방 등으로 주로 이용하는 에너지는 무엇일까요?
지열에너지
2
하수 처리장, 쓰레기 매립장과 같은 사람들이 싫어하거나 피하는 시설의 땅을 활용하여 바이오가스,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를 생산·판매하는 이곳은 무엇일까요?
친환경 에너지 타운
3
생물 반응(미생물발효나 효소 등의 이용)에 의해 생성되는 연료용 가스를 총칭하며 주요한 것으로는 메탄과 수소가 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① CNG ② LNG ③ LPG ④ BIOGAS
BIOGAS
4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전기제품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대기전력이라고 합니다. 다음 가전제품들 중에서 대기전력 소비가 가장 높은 물건은 무엇일까요? ① 전기밥솥 ② 셋톱박스 ③ 에어컨 ④ 보일러
셋톱박스
5
살아 있는 생물로부터 생겨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무를 사용하여 땔감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식물에서 기름을 추출하여 액체 연료로 만드는 등 동식물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에너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바이오 에너지
6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지역 농산물을 말한다.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운송 거리가 짧아 영양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운송 거리가 짧기 때문에 일반 음식에 비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매우 적은 음식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로컬 푸드
7
자기가 사는 지역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재배·사육된 로컬푸드를 즐기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은 무엇일까요?
로커보어(Locavore)
8
다음 중 향이나 맛을 좋게 하는 식품 첨가물이 아닌 것은? ① 착향료 ② 조미료 ③ 감미료 ④ 유화제
유화제
9
해충을 없애고 벼를 제외한 나머지 풀들을 없애주며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이 방법은 무엇일까요? ① 퇴비 농법 ② 닭 농법 ③ 미꾸라지 농법 ④ 오리농법
오리농법
10
화학조미료라고 불리는 대중적이면서도 대표적인 식품 첨가물인 이것은 무엇일까요?
글루타민산나트륨(MSG)
11
‘제철 농산물’은 생산 과정에서 석유, 전기, 가스 등이 크게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배출 또한 줄어든다.
O
12
화학 비료나 농약을 전혀 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야채나 과일을 기르는 농법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유기농
13
잉어과에 속하는 이 물고기는 우리나라 강 상류와 중류의 물이 맑고 자갈이 깔린 여울에서 서식하는 토종 민물고기입니다. 이 물고기는 무엇일까요?
쉬리
14
북극에 사는 거대한 포유류인 이 동물은 얼음 위에서 바다표범이나 물개를 사냥하여 먹이를 얻는다. 하지만, 지구온난화에 따라 북극의 얼음이 줄어들어 사냥을 할 수 없게 된 이 동물은 점점 숫자가 줄어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 동물은 누구일까요? ① 펭귄 ② 북극곰 ③ 북극여우 ④ 고래
북극곰
15
야생동물이 도로나 댐 등의 건설로 인해서 서식지가 절단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야생동물이 지나는 길을 인공적으로 만든 것을 말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생태통로
16
나는 개똥벌레~ 친구가 없네~ 노래 개똥벌레의 일부분이다. 노래의 주인공인 개똥벌레는 실제 어떤 곤충일까요? ① 쇠똥구리 ② 반딧불이 ③ 장수하늘소 ④ 사슴벌레
반딧불이
17
이 나무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알려져 있는데 동식물 대부분이 멸종한 빙하기를 거치고도 살아남았기 때문입니다. 고생대 나무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귀한 생물입니다. 이 나무는 무엇일까요? ① 소나무 ② 은행나무 ③ 회화나무 ④ 소철
은행나무
18
고양이처럼 생겼으나 고양이보다 몸집이 크고 불분명한 반점이 많은 이 동물은 무엇일까요?
삵
19
생태계 속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서로 먹고 먹히는 관계를 맺고 있다. 이것을 쭉 연결해 보면 마치 사슬과 같은 모양이 된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먹이사슬
20
식물의 씨앗이 싹트고, 자라고, 다시 씨를 맺어 한 세대를 이어가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식물의 한살이
21
식물의 잎이 초록빛을 띠는 까닭은 잎의 엽록체에 있는 엽록소가 초록빛을 띠기 때문이다.
O
22
다음 중 부유식물이 아닌 것은? ①개구리밥 ②부레옥잠 ③돌매화나무 ④물상추
돌매화나무
23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여 애완동물을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라는 뜻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로 개칭하였는데 1983년 10월 27-28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를 주제로 하는 국제 심포지엄에서 처음으로 애완동물의 가치성을 재인식하여 이것으로 부르도록 제안되었다. 이 용어는 무엇일까요? ① 동반동물 ② 반려동물 ③ 희귀동물 ④ 평생동물
반려동물
24
번식력이 강한 외래종이 자연생태계에 유입되면서 토종서식지를 잠식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깨고 종의 다양성을 떨어뜨리는 외래종을 생태계교란종이라고 한다. 다음 중 생태계교란종이 아닌 것은? ① 뉴트리아 ② 블루길 ③ 큰입배스 ④ 맹꽁이
맹꽁이
25
생태계 안에서 조화롭게 어울려 사는 생물들을 통틀어 이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생물다양성
26
토끼풀은 우리나라 토종식물이다.
X
27
산호는 식물이다.
X
28
이것의 화석은 해저유전을 탐지하거나 오래전 기후, 환경변화를 연구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구멍이 있는 벌레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이것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유공충
29
다음 중 식물의 역할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① 신선한 공기를 제공한다. ② 산사태를 발생시킨다. ③ 먹을거리를 제공한다. ④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한다.
산사태를 발생시킨다.
30
족제비와 비슷하지만 훨씬 더 크고 수중생활을 하기에 알맞으며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되어있는 이 동물은 무엇일까요?
수달
31
번식력이 강한 외래종은 자연생태계에 유입되면서 토종생물의 서식지를 잠식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깨고 종의 다양성을 떨어뜨리는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동‧식물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
32
낙타의 혹에는 물이 아닌 지방이 들어있다.
O
33
녹색식물처럼 무기물을 가지고 광합성을 하여 유기물을 만들어내는 생물을 말한다. 다른 생물에게 영양이 되며 영양단계의 가장 아래 위치에 놓이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생산자
34
사람이 사는 집 주변에 머물며 그 구조물에 새끼를 키울 둥지를 틀며, 해충을 잡아먹는 이 새는 무엇일까요?
제비
35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동물 1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고, 야행성으로 낮에는 나뭇가지나 동굴 속에서 쉬고 밤에 먹이활동을 하는 이 동물은 무엇일까요?
붉은 박쥐
36
주로 해안의 경사가 완만하고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큰 해안에 오랫동안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육상과 해양의 두 생태계가 만나는 이곳을 무엇이라 하는가?
갯벌
37
일정한 방향을 향해 일정한 빠르기로 이동하는 바닷물의 흐름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해류
38
폭풍이나 지진에 의하여 해수면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육지로 넘쳐 들어오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해일
39
다음 중 세계 5대 연안습지가 아닌 것은? ① 유럽 와덴해 ② 캐나다 동부 연안 ③ 아마존강 하구 ④ 미국 동부 연안 ⑤ 대한민국 동해 연안
대한민국 동해 연안
40
해양에서 생물 군집과 그것들을 둘러싼 환경과의 유기적, 기능적인 물질 순환계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① 하늘군집 ② 바다군집 ③ 해양생태계 ④ 육지생태계
해양생태계
41
해안의 만이 바다로부터 분리되어 생긴 호수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① 해양호 ② 석호 ③ 진양호
석호
42
밀물과 썰물의 차가 최대가 되는 시기를 (A), 밀물과 썰물의 차가 가장 작은 때를 (B)이라고 한다.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A : 사리 B : 조금
43
전라남도 해남과 진도 사이의 좁은 바닷길입니다. 조류가 매우 빠른 곳으로 이순신 장군은 이곳의 빠른 조류를 이용해 명량해전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이곳은 어디일까요?
울돌목(명량해협)
44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촉구하는 국제협약으로, 1971년 2월 이란의 람사르에서 채택됐고 우리나라는 1997년 7월 101번째로 가입했다. 이 협약은 무엇일까요?
람사르 협약
45
동해안으로 갯벌을 탐사하러 가려고 합니다. 동해안에는 갯벌이 있을까요?
X
46
습지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인 람사르 협약에 의해 지정된 습지를 람사르 습지라고 하는데, 전북 지역에서는 고창군 운곡 습지 만이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있다.
X
47
습지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생물의 서식지이다. ② 홍수 예방과 물을 저장한다. ③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시킨다. ④ 물을 깨끗하게 걸러주는 작용을 한다.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시킨다.
48
「습지보전법」은 갯벌을 ‘연안습지’로 규정하고 보호위주로 관리하였다면, 「갯벌법」은 한 발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이용을 목표로 보전·관리·복원과 함께 현명한 이용을 위해 지역 사회에 도움이 되는 ( ),과 ( )등 여러 분야를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어업, 관광
49
금강 수변을 끼고 조성한 넓은 공원으로, 국내 철새 탐조 명소로 손꼽히는 이곳은 어디일까요?
금강습지생태공원
50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와덴해 갯벌보다 우리나라 갯벌의 생물다양성이 더욱 우수하다.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