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콜버그의 도덕적 딜레마 토론을 통한 접근은 그의 ()이론에 근거한다. ()수준 1 () 2 () ()수준 3 () 4 () ()수준 5 () 6 ()
3수준 6단계론, 인습이전, 처벌과복종의 정향, 도구적상대주의 정향, 인습, 착한아이 정향, 사회유지의 정향, 인습 이후, 사회계약적 정향, 보편적윤리적 정향
2
1단계 처벌과 복종의 정향 -()과 같은 외적규제를 피하거나 ()에 무조건 복종하는 수준 -특정행위의 결과가 지니는 가치나 의미를 도외시한 채, 그 행위가 가져다주는 ()가 선악판단의 기준이 된다.?
처벌, 권위, 물리적 결과, o
3
2단계 -()되거나 ()을 충족시켜주는 행위는 선 -서로 이익을 주고 받는 일종의 ()로서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의 지배를 받게 된다.
이익, 필요, 교환관계, 상대적쾌락주의
4
3단계 -올바른 행위란 ()을 기쁘게 하고 도와주며 그렇게함으로써 다른사람이 ()하는 행위이다. - ()이 도덕적 기준이 된다 -비로소 ()나 내적특정을 고려하게 된다.
다른사람, 승인, 타인의 반응, 행위자의 의도
5
4단계 -아동은 ()와 ()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사회질서 유지, 법
6
5단계 -사회적 합의로서 법과 제도가 중요시 되지만, ()와 ()이 따라 법과 제도가 바뀔 수도 있다는 사실 또한 중요시 된다. -()의 가치가 법보다 상위이 있다.
사회적 유용성 합리성, 행복추구의 가치*
7
6단계 -법은 대게 자신이 구성한 윤리적 원리에 일치하기 때문에 따르지만, 이 원리와 충돌할 때에는 법에 따라 행동한다? -핵심키워드 ()()()
x, 인간존엄 정의 공정
8
()의 원리 ()의 원리
인간존엄, 정의
9
콜버그는 도덕교육방안을 ()을 통합 접근과 ()을 통한 접근으로 크게 나누었다.
도덕 딜레마, 정의로운 공동체 학교
10
도덕적 사고력 판단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을 불러일으키고, 더 ()단계와의 접촉과 교류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는 ()을 적절히 해야한다.
인지적 불균형, 높은, 발문
11
단계명 1 () 2 () - ()()() 3 () - ()()()() 4 ()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도덕적 토론의 도입 - 도덕적문제 부각, 왜라는 질문하기, 상황복잡하게하기, 도덕적 토론의 심화 - 심층적질문하기, 인접단계의 논의 강조하기, 명료화와 요약하기, 역할채택하기, 실천 동기 강화 및 생활에의 확대적용
12
1. 도덕적문제사태의 제시 -()인 것과 ()인 문제 모두 사용가능 -()을 내포해야함
가상 현실, 갈등
13
2. 도덕적 토론의 도입 -도덕적 문제 부각 : ()을 정하는 것 -왜 라는 질문하기: 자신이 정한 태도의 근거가 무엇인지 ()해보는 것 -상황 복잡하게 하기: ()을 증대 + () 방지
자신의 견해를 정하는 것, 성찰, 복잡성과 인지적 갈등 증대, 문제에의 직면 회피
14
3. 도덕적 토론의 심화 - 심층적 질문하기 ()()()()() -인접단계 논의강조하기 : () -명료화와 요약하기 -역할채택하기
명료화 질문 , 특정문제탐색 질문 , 갈등해소를위한 질문 , 역할바꿔생각해보기 질문**, 보편적결과고려해보기 질문**, +1전략
15
명료화질문 학생이 사용하는 말의 ()가 애매하거나 뜻하는 바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할 때 이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 하는 질문
의미
16
특정문제탐색 질문 문제사태와 관련된 특정문제에 초점을 맞춰 자기의 생각을 더 깊이 ()해보도록 자극하는 질문
성찰숙고
17
역할바꿔 생각해보기 ()을 바꿔놓고 생각해보도록 요구하는 것
입장
18
보편적 결과 고려해보기 질문 만일 모든 사람들이 자신처럼 행동한다면 어떤 결과가 올것인가? 자기가 취한 입장의 ()을 검토하도록 하는 질문
보편화가능성
19
3 도덕적 토론의 심화 - 역할채택 강조하기의 목적은? ()을 벗어나 타인의 관점, 사고, 느낌, 권리 등 다양하게 고려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자기중심성
20
인접단계 논의 강조하기 ex. 똑같이 악플을 달겠다는 너의 주장을()?
친구나 가족 또는 선생님이 들으신다면 기뻐하시리라 생각했겠니
21
역할바꿔 생각해보기 질문과 역할채택의 공통점은 ()이고. 차이점은 ()()이다.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능력 길러주기, 질문 다양한활동
22
이론의 특징 -() : 같은 문제상황 - 다른 문제해결방식 -() : 122 -() : 어떤상황에서도 같은 사고 -() : 높은 단계가 낮은 단계 이해 -() : 세계어디서나
질적차이, 불변적계열, 구조적전체, 위계적통합체, 계열의 보편성
23
()측면 - ()차시 - ()형
인지적 3 ‘가치’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