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치질의 불소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건전치질의 상아질
2
치면열구전색은 치아요인 중 어떤 요인을 개선하는 방법인가?
형태
3
4단 치아우식병에 속하는 것은?
치면세균막 관리
4
일반 대중에게 가장 효과적인 불소이용법은?
수돗물 불소농도조정법
5
불소용액양치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약물복용으로 타액 분비가 감소되어 우식 형성이 증가한 경우에 권장한다.
6
평활면 치아우식병 예방효과가 높은 것은?
불소이용법
7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마모도가 적정한 수준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세치제는?
크린세치제
8
치아표면에 부착된 치면세균막을 깨끗하게 세정하고, 치아표면을 연마하고 활택하는 작용을 하는 가장 많은 세치제의 성분은?
세마제
9
대상자별 세치제 선정법으로 옳은 것은?
치주조직은 건전하지만 구강환경상태가 불량한 사람은 강한 마모력의 세치제를 권장한다.
10
칫솔의 선택기준으로 옳은 것은?
손잡이가 직선형이거나, 목 부위에서 15도 미만으로 약간 경사진 것
11
칫솔 단면의 모양이 물결이나 조개껍질 모양으로 치간 청결에 유용한 칫솔은
요철형 칫솔
12
치실 사용에 따른 효과 및 목적으로 옳은 것은?
치간 치면세균막 제거
13
시험관 닦는 솔과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져 치간 청결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구강관리용품은?
치간칫솔
14
고무치간자극기의 사용에 따른 효과 및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정성 교정장치 환자의 bracket 주변 잔사 제거
15
치간칫솔을 추천하기에 옳은 대상자는?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한 환자
16
20대 남자로 치은퇴축이 심해 치주수술을 받았으며,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환자에게 권장하는 구강관리용품은?
치간칫솔
17
80대 노인으로 하악 제1대구치만 남고 치아를 발거한 경우 대상자에게 권장되는 구강관리용품은?
첨단칫솔
18
칫솔질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음식물 잔사와 착색으로부터 치아를 깨끗이 한다.
19
칫솔의 운동 형태로 옳은 것은?
차터스법 - 진동동작
20
차터스법으로 칫솔질을 해야 하는 대상자로 옳은 것은?
계속가공의치 장착자
21
바스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치은열구 내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가 높다.
22
대상자별 칫솔질 교습법으로 옳은 것은?
치경부 마모증 환자 - 회전법
23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 칫솔: 강모단면이 톱니모양의 요철형으로 된 것을 사용 세치제: 마모력이 높지 않은 것 사용
가공의치 장착환자
24
다음에서 설명하는 구강관리용품으로 옳은 것은? 최후방 구치의 원심면, 치아가 없는 부위의 인접면, 고립된 치아를 닦기에 편리함
첨단칫솔
25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최후방 구치의 원심면이나 고립된 치아는 첨단칫솔을 사용한다.
26
칫솔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오목형은 순면과 협면의 청결에 유용하다.
27
대상자별 칫솔 선정 시 인적요인으로 옳은 것은?
일일 칫솔질 빈도
28
대상자별 칫솔 선택으로 옳은 것은?
치경부 마모증이 있는 환자에게 약강도 칫솔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