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절연통보호장치설치 기준 중 틀린 것은?
편단접지는 선로 끝단에서 구성 (써지에 강함)
2
케이블 금속시스3상을 연가한 후 접지하는 것으로 경간을 균등히 조정하면 시스템 전압을 작게할수 있는 접지방식은?
크로스본드접지
3
케이블 시스순환전류 불평형요소가 아닌 것은?
케이블 스네이크 포설
4
케이블 설계에 대한 사항중 틀린것은?
허용전류 계산시 주변온도는 전력구 25도 관로 40도 이다
5
케이블 손실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방식층손실
6
유전체 손실률에 대한 설명이다. 이중 틀리게 기술한것은?
tan쎄타가 크면 클수록 우수한 절연체이다
7
다음은 케이블 정전용량에 대한 설명이다.틀리게 설명된것은?
절연체의 지름이 크면 클수록 정전용량은 커진다
8
케이블 손실에 대한 설명중 틀리게 설명한것은?
케이블의 손실은 열을 발생시키고 주위의 공기나 대지로 발산되어 송전용량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9
다음중 케이블 접지와 관련이 적은것은?
인근통신선로에 유도장해를 개선한다
10
다음중 시스전압 제한기에 대한 설명중 틀린것은?
154용 선로방전등급은 2등급이다
11
지중송전케이블 선정중 잘못기술된것은?
케이블 방식층의 재질은 관로내는pvc 전력구는 pe로 한다
12
xlpe케이블 포리세칠렌을 가교시켜 폴리세칠렌의 결점이 열연화성을 대폭 개선한것으로 국내 전력케이블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 xlpe케이블은 600v에서345kv까지 넓은 전압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주요장점중 틀린것은?
다루기 쉽기때문에 포설에 용이하나 내약품성이 열악하다
13
다음은 케이블포설에 대한 설명 중 맞는것은?
전력구케이블여유길이는 0.5% 이하
14
다음은 열화요인과 열화형태의 관계다 기점과 열화형태가 잘못 연결된것은?
기계력ㅡ 전기트리 열화
15
xlpe 케이블에서 금속시스를 하는 경우 금속시스와 코어간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큐선층을 설계한다 고려사항이 아닌것은?
기계적특성의 완화
16
다음 설명중 크로스본즈 접지방식으로 적당한것은?
a>b, b>c , c>a 상의 시스를 상호 연결시키는 접지방식이다
17
방식층 및 절연통 보호장치의 접지방식이 아닌 것은?
유효 접지방식
18
케이블 도체저항에 대해 기술한 내용이다 이중 잘못 기술된것은?
교류도체에 있어서 도체중심일수록 전류 흐름이 크다
19
다음 금속중에서 체적저항률이 가장 낮은 금속은?
알루미늄
20
6.6kv이상의 xlpe 케이블의 경우 도체표면의 전계완화와 도체와 절연체 사이의 보이드에 의해 발생되는 부분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반도전층을 두고 있으며 내부반도전층이 가져야할 필요 성능중 틀린것은?
뇌 충격전압등에 의해 반도전층이 절연층보다 먼저 파괴되어야한다
21
xlpe 케이블 제조공정순서가 옳은것은?
연선 가교 건조 테이핑 금속시스 방식
22
케이블 직선작업에서 적정온도와 시간은?
85. 5시간
23
교류전류가 흐를때 도체의 저항이 더 크게 나타나는 주요원인으로 맞게 짝지은 것은?
표피효과 근접효과
24
케이블 도체 표면의 전계 완화를 위해 여러장의 카본지나 금속화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은?
내부 반도전층
25
xlpe케이블의 열화의 종류로서 틀린것은?
전류열화
26
pmj접속함 시공순서중에 빈칸에 알맞은것은? 절연체 다듬질 -빈칸-도체압축-
고무슬리브 삽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