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0.75
2
1.5
3
10
4
직류 저압의 범위는 __[kV]~__[kV] 이다
0, 1.5
5
교류 저압의 범위는 __[kV]~__[kV] 이다
0, 1
6
접지극에 합성수지관 몰드 사용시 두께 ____ [mm] 이상
2.0
7
전자 개폐기 조작 회로, 초인벨, 경보벨에 접속하는 회로?
소세력 회로
8
가공 전선로 지지물의 기초 안전율?
2이상
9
금속제 가요 전선관 공사시 점검 가능한 장소는 무엇이 가능한가?
1종•2종 금속제 가요 전선관 모두 사용 가능
10
L3 전선 색깔
회색
11
나전선 상호 접속시 전선의 세기 최대 ____[%] 이상 감소 금지
20
12
금속제 가요 전선관 공사시 물기가 있는 장소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비닐 피복 가요 전선관 사용
13
0.1
14
6
15
70
16
누전 차단기 설치 제외
17
50
18
1.5
19
초가지붕, 유사경우 수뢰부 시스템과 이격 거리는 ___[m] 이상
0.15
20
터미널 러그에 완전히 접속하는 전선은?
동극의 각전선
21
강관 철탑 갑종 풍압 하중 ____[Pa]
1255
22
선도체와 동일
23
최소 2가닥 이상
24
고압용 비포장 퓨즈는 정격 전류의 ____배 전류 견디고 __배 전류에 __분 이내 용단 되어야 한다
1.25, 2, 2
25
합성 수지관 공사시 접착제 미사용 후 관 상호간 삽입하는 깊이?
관의 바깥지름X 1.2배
26
고압용 포장 퓨즈는 정격 전류의 ____배 전류 견디고 __배 전류에 __분 이내 용단 되어야 한다
1.5, 2, 120
27
60 [kV] 초과인 중성점 접지 선로의 시험 전압은 최대 사용전압의 ___배 이다
1.1
28
합성 수지관 공사시 접착제 사용 후 관 상호간 삽입하는 깊이?
관의 바깥지름X 0.8배
29
누전 차단기 시설 제외
30
60 [kV] 초과~170[kV] 이하인 직접 접지 선로의 시험 전압은 최대 사용전압의 ___배 이다
0.72
31
금속관을 콘크리트 이외 물질에 매설시 전선관 두께는 ____[mm] 이상이다
1.0
32
170[kV] 초과인 직접 접지 선로의 시험 전압은 최대 사용전압의 ___배 이다
0.64
33
금속관 공사시 새틀 지지점간 거리는__[m] 이하 이다
2
34
을종 풍압 하중 사용 장소?
빙설 많은곳/일반지역/저온계절
35
금속관을 콘크리트에 매설시 전선관 두께는 ___[mm]이상 이다
1.2
36
접지극은 철주 밑면으로부터 __[m] 이상 이격 되어야 한다
0.3
37
갑종•을종 풍압 하중 혼용 장소?
빙설 많은곳/바람부는지역/저온계절
38
접지극을 땅에 매설할시 지표면으로 부터 깊이 __[m] 이상으로 매설 하여야 한다
0.75
39
절연
40
변압기,발전기등 사용전압 400[V] 초과 전로에 무엇을 해야 하는가?
누전 차단기 설치
41
변압기 2차측 전압 ___[V] 이하일경우 누전 차단기 설치 제외이다
300
42
보호도체에 ___[A] 초과 전류가 흐르면 증강 해야 한다
0.01
43
금속 덕트 공사시 지지점 간 거리는 ___[m] 이하 로 한다
3
44
라이팅 덕트 공사시 지지점간 거리는 ____[m] 이하로 한다
2
45
버스 덕트 공사시 지지점간 거리는 ___[m] 이하로 한다
3
46
덕트 공사시 덕트 안 밖은 무엇을 하나?
산화 방지 아연 도장
47
병종 풍압 하중 사용 장소?
빙설 없는 곳/일반-바람/저온 계절
48
1.5
49
0.75
50
2.5
51
감전 보호용 등전위 본딩 사용도체 굵기는 가장 큰 보호도체의 굵기의 몇 [%] 이상인가?
50
52
건축물•구조물과 분리된 피뢰시스템의 인하도선 개수?
최소 1가닥 이상
53
옥외등(간판등)의 사용 전압은 ___[V] 이하 이다
300
54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장소에 콘센트 시설시 시설해야 하는것은?
용량 3[KVA] 이하 절연 변압기 설치, 접지, 인체 감전보호용 누전 차단기
55
플로어 덕트 공사는 주로 어디에 설치하나?
점검 할 수 없는 은폐된 장소
56
라이팅 덕트 공사는 무엇이 금지 인가?
조영재 관통 금지
57
케이블 공사 지지점간 거리는 ___[m] 이하 이다
2
58
셀룰러 덕트 공사시 덕트 최대폭 150[mm] 이하시 덕트 판 두께는 ___[mm] 이상 이다
1.2
59
셀룰러 덕트 공사시 덕트 최대폭 150[mm] 초과 200[mm] 이하시 덕트 판 두께는 ___[mm] 이상 이다
1.4
60
셀룰러 덕트 공사시 덕트 최대폭 200[mm] 초과시 덕트 판 두께는 ___[mm] 이상 이다
1.6
61
케이블 공사 켑타이어 케이블 사용시 지지점간 거리는 ___[m] 이하 이어야한다
1
62
케이블 트레이 공사시 재료 성질?
불연성, 내식성, 난연성
63
전주 외등의 사용 전압은 ___[V] 이하이다
300
64
바닥밀폐형, 사다리형, 메시형, 펀칭형
65
합성 수지관 공사, 금속관 공사, 케이블 공사
66
합성 수지관 공사, 케이블 공사, 애자 공사, 금속관 공사
67
교통 신호등 사용 전압은 ___[V] 이하 이다
300
68
케이블 트레이 공사시 안전율?
1.5 이상
69
인체 감전 보호용 누전 차단기 정격 감도 전류, 동작 시간?
15[mA] 이하, 0.03초 이하
70
네온 방전등 사용전압은 ___[V] 이하 이다
300
71
네온 방전등 애자 공사시 지지점간 거리는 ___[m] 이하 이다
1
72
0.06
73
교통 신호등 인하선 높이는 ____[m] 이상이다
지표상 2.5
74
관등회로 (1[kV] 이하 방전등) 접지 생략 가능 기준?
전류 50[mA] 이하
75
수중 조명등 경우 2차측에 무엇이 금지인가?
접지
76
수중 조명등 2차측 누전 차단기 설치기준?
2차측 전압 30[V] 초과
77
수중 조명등 혼촉 방지판 설치 기준?
2차측 전압 30[V] 이하
78
합성 수지관 공사, 금속관 공사, 케이블 공사, 가요 전선관 공사
79
전기 울타리 사용 전압은 ___[V] 이하 이다
250
80
전기울타리 전선←→ 수목간 이격 거리 는?
30[cm] 이상
81
전기 울타리←→ 기둥간 이격거리는 ___[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25
82
2[m] 이상
83
전기 울타리 사용시 전선의 인장강도는 ___[kN] 이상 이어야 한다
1.38
84
전기 울타리 사용시 전선의 지름은 ___[mm] 이상이어야 한다
2.0
85
전기 온상(비닐 하우스) 사용 전압은 ___[V] 이하이다
300
86
전기온상(식물원,비닐 히우스) 발열선 지지점 간 거리는 ____[m] 이하 이다
1
87
전기 살충기 설치시 필요 높이는 지표상 ___[m] 이상으로 설치한다
3.5
88
전기 살충기 설치시 7[kV] 이하 변압기를 설치하면 설치 높이는 지표상 ___[m] 이상이다
1.8
89
온천 온수기 사용 전압은 ___[V]이하이다
400
90
전기욕기 사용 전압은 ___[V] 이하이다
2차측 사용 전압 10[V]
91
전기욕기 욕기내 전극간 거리는 __[m] ___이다
1, 이상
92
아크 용접기 사용전압 ___[V] 이하이다
300
93
아크 용접기 1차측 용접 변압기 가까운곳에 시설하는 것은?
개폐기
94
유희용 전차 1차측 사용전압은 ___[V] 이하 이다
400
95
유희용 전차 2차측 사용전압 ___[V] 이하이다
직류 60, 교류 40
96
유희용 전차 승압용 변압기 사용시 2차측 사용 전압은 ___[V] 이하이다
150
97
도로•주차장 공급되는 대지 전압 ___[V] ___
300, 이하
98
합성 수지관 공사, 금속관 공사, 케이블 공사
99
금속관 공사, 케이블 공사
100
폭발성 가스등 위험장소(화약류) 사용 전압은 ___[V] 이하이다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