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화랑도를 만들어 인재를 양성하고 백제와 연합하여 한강상류를 차지한 왕
진흥왕
2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고 진골귀족 세력을 대거 숙청함
신문왕
3
삼국통일을 완성한 왕
문무왕
4
수도를 사비로 옮기고 22부의 관청을 설치하고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한 왕
성왕
5
22담로를 설치하고 지방 통제를 강화시키고 중국와 우호관계를 이루어 문화교류를 한 왕
무령왕
6
만주와 요동지역을 차지하고 스스로를 태왕이라고 칭했던 왕
광개토대왕
7
6두품 세력이 왕의 정치적 조언자로 성장한 왕
신문왕
8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고 남진정책을 추진한 왕
장수왕
9
수도와 지방을 5부로 나눠 관리를 파견하고 진대법을 시행하여 빈민을 구제한 왕
고국천왕
10
중국 전연의 침입으로 수도가 함락되고 백제가 평양성을 공격하여 왕이 전사했던 시기의 왕
고국원왕
11
나라이름을 신라로 정하고 왕 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소를 이용한 농사를 장려, 우산국을 정복한 왕
지증왕
12
진골 출신으로는 최초로 왕이 되었고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 왕
무열왕
13
당이 흑수말갈, 신라와 함께 발해를 견제하고 돌궐, 일본과 친선관계를 맺고 장문휴를 앞세워 당의 산둥지방을 공격한 발해의 왕
무왕
14
중국에서 불교를 수용하고 태학을 지어 인재를 양성하고 율령을 반포한 왕
소수림왕
15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지역을 차지하고 신라가 왜의 공격을 받자 도와준 왕
광개토대왕
16
중국에서 불교를 수용한 백제의 왕
침류왕
17
충주 고구려비를 세우고, 고구려는 천하의 중심이라고 생각했던 왕
장수왕
18
발해는 어느나라의 침략을 받아 멸망?
거란
19
전국을 9주로 나누고 주요지방에는 5소경을 설치한 삼국통일 이후의 통치 제도
지방 행정
20
고구려를 멸망시킨 신라 왕
문무왕
21
동해안 옥저를 정복하고 요동지방까지 진출한 왕
태조왕
22
김씨가 왕위를 독점하고 왕의 칭호로 마립간을 사용한 왕
내물왕
23
왕명을 수행하는 집사부를 중신으로 나라를 통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귀족회의인 화백회의의 힘이 약화된 통치제도
중앙정치
24
나제동맹을 맺고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한 왕
장수왕
25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정책으로인해 한성이 함락당하고 왕이 살해당한 시기의 왕
개로왕
26
나당전쟁에서 승리한 왕
문무왕
27
불교를 공식적인 종교로 인정하고 율령을 발표한 신라의 왕
법흥왕
28
고령의 대가야를 정복하고 고구려 영토인 함흥평야까지 진출하고 점령한 지역에 순수비를 세워 영토확장을 기념한 왕
진흥왕
29
중앙군 9서당과 지방군 10정을 배치한 삼국통일 이후의 통치제도
군사제도
30
관리의 등급에 따라 관복의 색을 다르게 했던 왕
고이왕
31
당과 친선관계를 맺고, 신라와 신라도라는 교통로 개설, 일본에 사신을 파견한 발해 왕
문왕
32
국학을 설치하여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한 신라 왕
신문왕
33
동쪽으로는 연해주에서 요동지방까지 영토를 넓히고 중국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 불리고 발해의 전성기를 맞이한 왕
선왕
34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고 황해도 일부를 차지, 해상교통로를 이용하여 중국과 왜와 교류한 왕
근초고왕
35
마한의 남은 세력을 정복하고 남해안까지 진출한 왕
근초고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