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5회 수목관리학 기출
  • Sungsam Cha

  • 問題数 26 • 7/9/2023

    記憶度

    完璧

    3

    覚えた

    1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140.[2021년 산림병해충 예찰 방제계획]상 소나무림 보호지역 별 소나무재선충병 예방나무주사 우선순위(1-2-3-4순위)가 바르게 배열된 것은?

    천연기념물 - 문화재보호구역 - 도시림, 생활림, 가로수 - 도시공원

  • 2

    101.가지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가지 밑에 생기는 불룩한 조직으로, 목질부를 보호하기 위한 화학적 보호층을 가지고 있는 조직은?

    지륭

  • 3

    114.결핍증상이 수목의 어린잎에서 먼저 나타나는 원소들은?

    철, 칼슘

  • 4

    129.곤충의 키틴 합성을 저해하여 탈피, 용화가 불가능하게 하므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계통은?

    벤조일우레아계

  • 5

    130.국내에서 농약을 제조하여 판매하려면 품목별로 등록하여야 한다. 한국의 농약 품목 등록권자는 누구인가?

    농촌진흥청장

  • 6

    128.농약 제품의 포장지에 반드시 표기해야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화학명

  • 7

    127.농약의 보조제 중 그 자체만으로는 약효가 없으나, 혼용하였을 때 농약 유효성분의 약효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협력제

  • 8

    138.농약이 생태계에 잔류되어 생물체 내에 축적되는 생물농축 현상과 이를 계수로 나타낸 생물농축계수(Biocon centration factor, BCF)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농약이 옥타놀/물 양쪽에 분배되는 비율인 분배계수(LogP)가 높을수록 BCF는 낮아진다.

  • 9

    125.대기오염물질과 피해증상을 옳게 나타낸 것은?

    ㄷ - b

  • 10

    131.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농약 원제를 물에 대한 친화성이 강한 특수용매를 사용하여 계면활성제와 함께 녹여 만든 제형은?

    분산성액제

  • 11

    136.생물체 내에 침투된 무극성의 지용성 농약은 Phase I 및 Phase II 반응을 받아 수용성으로 변환되어 해독되고 배설된다. Phase I 반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글루코오스 콘쥬게이션(glucose conjugation)

  • 12

    107.수목 진료와 관련된 용어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갈색부후균: 목질부의 주성분인 리그닌과 헤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등 모든 성분을 분해하여 이용하는 곰팡이

  • 13

    104.수목관리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목관리는 일반 개념을 특정 유전자형에 적용하지 않는다.

  • 14

    112.수목에 의한 구조물 손상에 대처하는 대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웅덩이를 만들어 적절한 지표배수를 확보한다.

  • 15

    103.수피 상처치료 방법 중 피해 부위가 위아래로 넓을 때 사용하는 교접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교접은 잎에서 만든 탄수화물이 뿌리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드는 것이다.

  • 16

    110.식재수목의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만성적 대기오염의 피해는 침엽수보다도 활엽수가 높게 나타난다.

  • 17

    134.아바멕틴 미탁제(유효성분함량 1.8%, 주입량 원액1ml/흉고직경cm) 수간주사액(용기 용량 5ml)을 이용하여 흉고직경 20cm인 소나무에 주사하고자 한다. 용기 개수와 원액의 농도는?

    4개, 18,000ppm

  • 18

    135.아세페이트 캡슐제의 작용기작으로 표시된 1b의 의미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 저해

  • 19

    123.염류에 의한 수목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설제에 의하여 잎과 가지의 끝에 괴저가 나타난다.

  • 20

    113.위험 수목의 부후를 탐지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장비가 아닌 것은?

    정적 견인실험(static pull test)

  • 21

    122.저온에 의한 수목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생육 후기에 시비하여 저온 저항성을 높여 피해를 줄인다.

  • 22

    116.절토(切土)에 의한 수목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질소시비로 생육을 개선하여 피해를 줄인다.

  • 23

    120.제초제에 의한 수목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비호르몬계열인 2, 4-D는 이행성이 강하여 잎에 피해가 나타난다.

  • 24

    126.한국의 농약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농약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살서제

  • 25

    124.휘감는 뿌리에 의한 수목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협착이 일어나는 아랫부분의 수간이 위보다 더 굵어진다.

  • 26

    133.농약 보조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계면활성제의 친수 - 친유 균형비(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