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치매 대상자의 가족에게 치매 약물 복용의 중요성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치매약은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이 돼요."
2
치매약 처방이 바뀐 뒤 대상자가 불안해 하며 방 안을 왔다 갔다할 때 돕는 방법은?
증상을 메모하여 병원에 가지고 간다.
3
입소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돕는 방법은?
원한다면 집에서 쓰던 이불을 가져와 쓰게 한다
4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방법으로 옳은 것은?
남아 있는 기능을 유지하게 한다.
5
치매 대상자에게 일상생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금방 잊어버린다.
6
치매 대상자가 식사를 하지 않으려고 할 때 돕는 방법은?
약의 부작용인지 확인한다.
7
의치를 사용하는 치매 대상자가 식사 중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질식
8
치매 대상자의 식사 돕기 기본원칙으로 옳은 것은?
접시보다는 사발을 사용하여 덜 흘리게 한다.
9
치매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의치가 느슨하면 의치를 빼고 식사하게 한다.
10
씹는 행위를 잊어버린 치매 대상자에게 고기를 제공할 때 올바른 방법은?
갈아서 제공한다.
11
치매 대상자의 식사 돕기 중 옳은 것은?
사레가 자주 걸리면 좀 더 걸쭉한 액체음식을 제공한다.
12
치매 대상자가 음식을 손으로 먹는 등 장난을 칠 때 요양보호사의 행동으로 옳은 것은?
비닐로 된 식탁보를 깔아준다.
13
치매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숟가락을 인지할 수 있게 약간 무거운 것을 사용한다.
14
치매 대상자의 식사 돕기 방법으로 옳은 것은?
빨대와 플라스틱 덮개가 부착된 물컵을 준비한다.
15
치매 대상자에게 식사를 제공할 때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한 가지 음식을 먹고 난 후 다른 음식을 내어 놓는다.
16
치매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생선 가시는 미리 발라서 준다.
17
식욕부진으로 영양결핍이 우려되는 치매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수프 두유 등의 간식을 제공한다.
18
치매 대상자가 식사를 하지 않아 체중이 감소되었을 때 대처방법은?
걸쭉한 액체음식을 준다.
19
대상자가 바지 뒷부분을 잡고 안절부절못하며 구석진 곳을 찾을 때 대처방법은?
화장실로 데리고 간다
20
치매 대상자의 배설 돕기로 옳은 것은?
화장실 가까운 곳에 방을 배치한다.
21
화장실을 잘 찾지 못하는 치매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눈높이에 맞추어 '화장실' 표시를 한다.
22
변실금이 있는 치매 대상자의 배설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손동작으로 보여주어 스스로 뒤처리하도록 돕는다.
23
초기 치매 대상자의 배설관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안전을 위해 야간에는 이동식 변기를 사용한다.
24
요실금 대상자의 배설을 돕는 방법은
아랫배를 눌러 주어 방광을 완전히 비운다.
25
치매 대상자에게 요실금이 나타날 때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배뇨 후 치골상부를 눌러준다.
26
치매 대상자가 실금하여 옷이 젖은 것을 발견했을 때 대처 방법은?
더러워진 옷을 갈아입히고 안정시킨다.
27
치매 대상자가 변비인 경우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변기에 앉혀 배변을 유도한다.
28
치매 대상자의 목욕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목욕을 강요하지 말고 목욕과정을 단순화 시킨다
29
치매 대상자의 목욕 돕기 방법으로 옳은 것은?
욕조 바닥에 미끄럼방지 매트를 깔아준다
30
치매 대상자가 물에 대한 거부반응을 보일 때 목욕 돕기 방법은?
작은 그릇에 물을 떠서 장난하게 해준다.
31
치매 대상자의 구강위생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삼켜도 되는 어린이용 치약을 사용한다.
32
누워서 지내는 치매 대상자의 양치질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대상자의 뺨에 물받이 그릇을 대준다.
33
치아가 없는 치매 대상자의 식후 구강위생 방법은?
차 또는 물을 마시도록 한다
34
치매 대상자의 옷 선택 시 옳은 것은?
대상자가 좋아하는 옷
35
치매 대상자의 옷 입기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입지 못하는 경우 속옷부터 순서대로 놓아
36
치매 대상자의 옷 갈아입기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시간이 걸려도 혼자 입도록 격려한다.
37
치매 대상자의 옷 입기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옷 입기를 거부하면 기다린 뒤 다시 시도한다.
38
치매 대상자의 운동을 돕는 방법은?
걷는 시간을 서서히 늘린다
39
치매 대상자의 운동 돕기 방법으로 옳은 것은?
매일 같은 시간대에 운동하도록 한다.
40
치매 대상자의 안전한 주거환경으로 옳은 것은?
현관에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게 의자를 놓아둔다
41
치매 대상자의 안전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은?
거울에 덮개를 씌워 놀라지 않게 한다.
42
대상자의 주거환경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은?
대상자의 방에 비상벨을 달아둔다.
43
치매 대상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유리문이나 큰 유리창에는 그림을 붙여 놓는다.
44
낙상 우려가 있는 치매 대상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은?
침대보다는 바닥에 요와 이불을 사용하게 한다
45
치매 대상자의 안전을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부엌의 가스선은 밖에서 잠가둔다
46
치매 대상자가 반복적 질문이나 행동을 할 때 요양보호사의 올바른 대처방법은?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린다.
47
치매 대상자의 반복적 질문과 행동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다독거리며 안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8
다음은 치매 대상자의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방법이다. 해당하는 문제행동은? •크게 손뼉을 쳐서 관심을 바꾼다. 치매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제공한다. 좋아하는 노래를 함께 부른다.
반복적 행동
49
주간보호 시설에 있는 치매 대상자가 집에 언제 갈 수 있는지 반복질문을 할 때 대처방법은?
손뼉을 치며 좋아하는 노래를 함께 부른다.
50
치매 대상자가 짐을 싸다가 다시 풀어놓는 행동을 하루 종일 반복하는 경우 적절한 대처방법은?
콩나물 다듬는 일을 도와달라고 부탁한다
51
치매 대상자가 반복적으로 아들에게 전화해달라고 요구할 때 요양보호사의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어르신! 좋아하시는 노래 같이 부를까요?
52
3년전 딸을 잃은 치매 대상자가 "딸이 왜 이렇게 안 오지?" 라고 반복적으로 물어볼 때 대처방법은?
딸과의 행복했던 일들을 이야기한다
53
치매 대상자가 밥을 먹은 직후 배가 고프다며 밥을 또 달라고 할 때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식사가 부족하셨어요? 준비할 테니 조금만 기다리세요
54
방금 식사를 마친 치매 대상자가 '밥을 안 먹었다'며 또 달라고 할 때 대처방법은?
매 식사 후 달력에 먹었다는 것을 표시하게 한다.
55
치매 대상자가 식사를 하려고 하지 않을 때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대상자가 좋아하는 대체식품을 이용한다
56
치매 대상자가 갑자기 이동변기에 있는 대변을 먹는 증상은?
이식중
57
치매 대상자가 밤중에 잠에서 깨어 베개 솜을 뜯어먹고 있을 때
솜 베개 대신 두꺼운 수건을 베게 한다.
58
음식 욕심이 많아서 지나치게 많이 먹는 치매 대상자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작은 그릇에 담아 식사량을 조절한다.
59
치매 대상자가 제공된 식사를 먹지 못하고 쳐다보고만 있을 때 대처방법은?
식사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가르쳐 준다
60
치매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치매 말기에는 갈거나 으깬 걸쭉한 음식을 준다.
61
매 대상자가 밥을 먹은 직후에도 배고픔을 계속 호소할 때 올바른 대처방법은?
먹고 난 빈 식기를 보여주며 식사를 방금 했다고 말한다.
62
치매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수면장애의 특징은?
2~3일간 잠을 안 자다가 몰아서 잔다.
63
치매 대상자가 수면장애를 보일 때 돕는 방법은
낮에 산책과 같은 운동을 하도록 돕는
64
밤에 일어났다 누웠다 하는 치매 대상자의 수면을 돕는 방법은?
낮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낮잠을 줄인다.
65
기억력 상실이나 시간과 방향감각의 저하로 인해 아무런 계획도 목 적지도 없이 돌아다니는 치매 대상자의 문제행동 유형은?
배회
66
치매 대상자가 야간에 초조한 표정으로 이리저리 배회할 때 돕는 방법은?
잠옷이 젖었는지 확인한다
67
치매 대상자에게 배회 증상이 나타날 때 돕는 방법은?
주위에 위험한 물건을 치워 놓는다
68
야간에 집안에서 이곳저곳을 초조하게 배회하는 치매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집 안에 배회코스를 만들어 걷게 한다
69
치매 대상자가 불안해 하며 집안을 계속 배회할 때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출입문에 벨을 달아 출입하는 것을 관찰한다.
70
치매 대상자가 '여긴 내 집이 아니야' 라며 밖으로 나가려고 할 때 올바른 대처방법은?
복잡한 일거리를 주어 분주하게 만든다.
71
딸이 면회를 하고 돌아갔는데 이를 기억하지 못하고 또 기다리며 배회하는 경우 요양보호사의 적절한 대처방법은?
"따님 사진보러 방에 가실래요?"라고 말하며 방으로 들어간다.
72
치매 할아버지가 키가 작고 파마머리를 한 요양보호사만 보면 "여보"라고 부르며 따라 다닌다. 대처 방법으로 옳은 것은?
(마주보며) 할머니가 보고 싶으신가 봐요."
73
치매 대상자가 선물로 받은 지갑을 다른 사람이 훔쳐갔다고 의심하며 화를 낼 때 대처방법은?
함께 지갑을 찾아본다.
74
요양원에 입소한 치매 대상자가 문을 잡고 두드리며 집에 가야 한다고 나가려고 한다.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화투 좋아하시죠? 저랑 같이 화투 칠까요?" 라며 관심을 돌린다.
75
치매 대상자가 갈비 굽는 냄새가 난다며 없는 갈비를 달라고 할 때 요양보호사의 대처방법은?
"갈비가 드시고 싶군요. 드시러 함께 나가 봐요."
76
시설에서 생활하는 치매 대상자 할머니가 저녁에 손주 밥을 해야 한다며 집으로 가야겠다고 할 때 대처방법은?
반찬거리를 사러 가자며 같이 산책을 한다
77
치매 대상자가 방을 뛰쳐나오며 "엄마 어디가?" 하며 환각 상태를 보일 때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대상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78
치매 대상자에게 식사를 제공할 때, 다음과 같은 경우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대상자: 누가 나를 죽이려고, 내 밥에 독약을 넣었어. 안 먹어. 요양보호사: ()
제가 먼저 먹어볼게요. 같이 드세요.
79
시설에서 치매 대상자가 같은 방을 쓰는 다른 대상자를 가리키며 다음과 같이 말할 때, 요양보호사의 대처방법은? 대상자: 저 여편네는 참 뻔뻔스러워. 남의 집에 들어와 살면서 몇 달째 월세를 안 내고 있어. 요양보호사: ()
시설에 있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인식시킨다
80
치매 대상자가 창밖에 지나가는 사람을 아들로 착각하여 나가려고 할 때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대상자가 좋아하는 노래를 함께 부른다.
81
치매 대상자가 요양보호사에게 돈이 없어졌다고 화를 낸다.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돈이 없어졌어요? 함께 찾아볼까요?"
82
치매 대상자가 도둑망상으로 자신의 방을 지키려고 고집을 부리는 경우 올바른 대처방법은?
위험하지 않는 한 방에 있도록 한다.
83
치매 대상자가 자신의 양말을 다른 사람이 훔쳐갔다고 의심하며 화를 낼 때 대처방법은?
같은 양말을 사 두었다가 대체한다
84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치매 대상자가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할 때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 거실에 있는 의자가 자신의 것이라면서 다른 사람이 앉지 못하게 한다 . 다른 사람이 앉지 못하게 긴 의자를 혼자 차지하고 눕는다.
차분하게 대하고 다른 곳으로 관심을 돌린다.
85
다음과 같은 치매 대상자의 문제행동 유형은? • 난폭한 행동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난폭한 행동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초기 분노 에너지가 소모되면 행동을 중지한다.
파괴적 행동
86
치매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파괴적 행동의 특징은?
질병 초기에 나타난다.
87
치매 대상자가 시설에서 같은 방을 쓰는 동료 노인과 마주칠때마다, 욕하고 화를 내며 매일 말싸움을 할 때 돕는 방법은?
방을 바꾸어서 서로 마주치지 않게 한다.
88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던 치매 대상자가 흥분하여 갑자기 고함을 지르며 공격적인 행동을 할 때 대처방법은?
참여 중인 활동을 중지하고 다른 자극을 주지 않는다
89
치매 대상자가 흥분하여 탁자를 치며 난폭한 행동을 보일 때 대처방법은?
정원으로 데리고 나가 안정시킨다.
90
치매 대상자가 심한 욕설과 난폭한 행동을 보일 때 올바른 대처방법은?
부드럽고 온화한 태도로 진정시킨다.
91
치매 대상자가 석양증후군으로 밤에 잠을 못 잘 때 돕는 방법은?
낮에 움직이거나 활동하게 한다
92
치매 대상자에게 발생하는 석양증후군의 문제행동 유형으로 옳은 것은?
낮에는 유순하지만 저녁이 되면 방을 왔다갔다하며 불안해 한다
93
치매 대상자가 해질녘이 되면 신발을 신고 밖으로 나가려고 할 때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말벗을 해주며 함께 있는다.
94
치매 대상자가 한밤중에 창밖을 보며 "저기 누가 있어!"하며 소리칠 때 대처방법은?
불을 켜주고, 따뜻한 음료수를 마시게 한다.
95
다음 사례에서 치매 대상자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시설에서 낮 동안 잘 지내던 대상자가 해 질 녘이 되면 "오늘도 수고하셨어요. 저는 퇴근합니다."라고 하면서 밖으로 나가려고 한다.
대상자가 좋아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켜준다.
96
치매 대상자가 해 질 녘이 되면 '남편 밥 해줘야 한다'며 집에 간다고 밖으로 나가려고 한다. 대처방법은?
"저랑 같이 갈까요?" 하며 함께 산책을 한다.
97
방문요양 서비스 중 치매 대상자가 바지를 벗고 다가와 껴안으려고 할 때 요양보호사의 대처방법은?
단호하게 그만두라고 말한다.
98
시설에 입소한 치매 대상자가 사람들 앞에서 옷을 벗을 때 대처방법은?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옷을 입힌다.
99
시설에서 생활하는 치매 대상자가 거실에 나와 바지를 벗으며 성기를 노출할 경우 대처방법은?
좋아하는 물건이나 활동을 통해 관심 전환을 유도한다.
100
치매 대상자에게 원인을 알 수 없는 체중감소가 나타났을 때 돕는 방법은?
고열량의 액체음식을 제공한다